
000 | 00616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795113 | |
005 | 20100805042030 | |
007 | ta | |
008 | 021127s2002 ulk 001a kor | |
020 | ▼a 8977359252 ▼g 93700 : ▼c \17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22712 ▼f 개가 ▼l 111222713 ▼f 개가 |
082 | 0 4 | ▼a 401.93 ▼2 21 |
090 | ▼a 401.93 ▼b 2002a | |
100 | 1 | ▼a 김진우 ▼0 AUTH(211009)18645 |
245 | 1 0 | ▼a 第二語 習得硏究 : ▼b 現況과 展望 / ▼d 金鎭宇.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2. | |
300 | ▼a 513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489-500)과 색인수록 | |
940 | ▼a 제2어 습득연구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93 2002a | 등록번호 1112227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93 2002a | 등록번호 1112227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진우(지은이)
陸軍士官學校 卒業 서울大學校 文理大 英文學科 卒業 하와이大學校 大學院 碩士課程 卒業 陸軍士官學校 英語科 敎授歷任 전 中央大學校 文科大 英文學科 敎授(英語學) 주요 저서 英語敎育의 原理와 方法(裕豊出版社, 1983) 英語敎授法(共著, 新雅社, 1984) 現代言語學의 理解(翰信文化社, 1986) 言語와 心理(翰信文化社, 1988) 言語敎育과 心理學(中央大 出版部, 1990) 人間과 言語(集文堂, 1992) 言語와 意思疏通(翰信文化社, 1994) 言語와 文化(中央大 出版部, 1996) 詩와 言語(한국문화사, 1998) 認知言語學의 理解(한국문화사, 1999) 言語習得의 理論과 實相(한국문화사, 2001) 第二語 習得硏究(한국문화사, 2002) 言語와 認知(한국문화사, 2004) 隱喩의 理解(나라말, 2005) 言語의 起源(한국문화사, 2006) 言語와 思考(한국문화사, 2008) 言語와 修辭(한국문화사, 2010) 言語와 腦(한국문화사, 2011) 言語와 精神(한국문화사, 2012) 言語와 言語理論(한국문화사, 2014) 言語와 意味(한국문화사, 2016) 言語와 談話(한국문화사, 2017) 言語와 言語學(한국문화사, 2020)

목차
목차 제1장 제2어 습득연구의 현황 1.0 역사적 배경 = 15 1.0.1 대조분석으로부터 중간언어의 이론까지 = 21 1.0.2 자연적 순서의 가설 = 28 1.1 도전적인 신학문 = 32 1.1.1 새로운 학문적 자세와 동기 = 32 1.1.2 학제적 노력 = 36 1.1.3 세 가지 특징 = 39 1.2 과학적인 연구방법의 모색 = 41 1.2.1 종합적인 연구방법 = 43 1.2.2 양적 분석법 = 48 1.2.3 미래의 학풍 = 51 제2장 다양한 가설 2.0 Long(1995)의 견해 = 54 2.1 Klein(1986)의 견해 = 56 2.1.1 동일성의 가설 = 57 2.1.2 대조분석의 가설 = 58 2.1.3 Krashen의 감청이론 = 60 2.1.4 중간언어의 이론 = 61 2.1.5 피진화의 이론 = 63 2.2 Elis(1985)의 견해 = 65 2.2.1 문화변용의 모형 = 66 2.2.2 문화적응의 이론 = 69 2.2.3 담화 이론 = 71 2.2.4 모니터의 모형 = 74 2.2.5 변이 능력의 모형 = 76 2.2.6 보편성의 가설 = 78 2.2.7 신경기능적 이론 = 81 2.3 종합적인 평가 = 86 2.3.1 세 가지 사실들 = 87 2.3.2 두 가지 통합화 작업 = 89 제3장 보편문법의 가설 3.0 가장 중요한 가설 = 93 3.1 자연스런 습득의 서순성 = 96 3.1.1 어형소의 습득순서 = 97 3.1.2 부정문의 습득순서 = 100 3.1.3 의문문의 습득순서 = 105 3.2 매개변항의 이론 = 108 3.2.1 Hilles의 강경론 = 109 3.2.2 Flynn의 유연론 = 110 3.3 유표성의 이론 = 114 3.3.1 자질습득의 5단계설 = 117 3.3.2 보문구조의 습득 = 118 3.3.3 유표성 차이의 가설 = 119 3.4 학습가능성의 이론 = 123 3.4.1 열 개의 원리 = 124 3.4.2 인접순환의 원리 = 125 3.5 반증과 대안 = 127 3.5.1 Bardovi-Harlig의 실험 = 128 3.5.2 언어창출능력의 이론 = 131 3.5.3 교육가능성의 가설 = 133 제4장 제1어 습득절차와 제2어 습득절차의 상이성 4.0 공통성과 상이성 = 137 4.0.1 보편성의 추구 = 137 4.0.2 다섯 가지 차이점 = 140 4.1 습득 연령상의 차이 = 142 4.1.1 뇌 생리적 차이 = 144 4.1.2 지력의 차이 = 145 4.1.3 심리적 성향상의 차이 = 147 4.2 습득환경상의 차이 = 152 4.2.1 여섯 가지 차이점 = 153 4.2.2 Ellis의 실험 = 158 4.3 학습책략상의 차이 = 161 4.3.1 자연적인 학습책략의 특징들 = 162 4.3.2 지력과 지식력 의존의 학습책략 = 163 4.3.3 제1어 의존의 학습책략 = 170 4.3.4 반복 및 암기중심의 학습책략 = 173 4.3.5 피동적 학습책략 = 180 4.4 심리 및 태도상의 차이 = 183 4.4.1 강화된 자의식 = 184 4.4.2 부정적 심리상태 = 187 4.5 동기상의 차이 = 191 4.5.1 본능적 동기 = 191 4.5.2 Gardner와 Lambert의 이론의 문제점 = 193 4.5.3 Noels의 실험 = 195 4.6 개별적 변이성 = 199 4.6.1 두 측면에 있어서의 변이성 = 199 4.6.2 침묵기에 대한 연구 = 201 제5장 대조분석의 가설과 중간언어의 이론 5.0 중간언어의 이론에 관한 연구가 차지하는 위치 = 205 5.0.1 지금까지의 기여 = 205 5.0.2 앞으로의 전망 = 207 5.1 대조분석의 가설 = 209 5.1.1 발전의 역사 = 211 5.1.2 난이동의 위계성 = 213 5.1.3 한계성과 허구성 = 218 5.1.4 외국어의 어휘학습에 모국어가 끼치는 영향 = 225 5.2 오류분석의 이론 = 230 5.2.1 한정된 기여도 = 231 5.2.2 경쟁에서의 탈락 = 235 5.3 중간언어의 이론의 세 가지 원리 = 238 5.3.1 독자성의 원리 = 240 5.3.2 체계성의 원리 = 240 5.3.3 보편성의 원리 = 242 5.4 중간언어의 이론의 문제점 = 244 5.4.1 단계화 작업의 어려움 = 245 5.4.2 화석화의 현상 = 246 5.4.3 변이성의 현상 = 249 5.4.4 연구방법의 답습 = 251 제6장 제2어 학습자의 인성적 요소 6.0 심리학적 접근법의 중요성 = 261 6.0.1 개인차의 중요성 = 262 6.0.2 인성적 요소의 중요성 = 262 6.0.3 상호보완관계 = 263 6.1 학습자의 지력이 제2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265 6.1.1 언어력과 지력의 관계 = 265 6.1.2 지력과 학업성적의 관계 = 267 6.1.3 복합지력이론 = 269 6.1.4 제2어 학습자의 경우 = 272 6.1.5 지력과 적성의 관계 = 275 6.1.6 지력주의적 견해 = 280 6.2 정의적 요소가 제2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287 6.2.1 네 가지 발견 = 289 6.2.2 개인차의 문제 = 291 6.2.3 후천적인 학습 = 295 6.2.4 세 가지 문제점 = 296 6.2.5 불안심리에 대한 실험 = 298 6.2.6 상황특수적 측정모형 = 302 6.3 다양한 인지양식 = 305 6.3.1 네 가지 발견 = 308 6.3.2 인지적 특성의 측정방법 = 309 6.3.3 개별화 = 310 6.3.4 학습의 효과 = 313 6.3.5 세 가지 문제점 = 317 6.3.6 측정방법의 수준 = 319 6.3.7 상반된 결론 = 320 제7장 학습책략과 좋은 언어학습자 7.0 학습책략의 연구가 각광을 받아온 이유 = 325 7.0.1 다섯 가지의 특징 = 326 7.0.2 기여와 역할 = 329 7.1 학습책략 연구의 세 가지 과제 = 331 7.1.1 자기 고유의 분류법 = 331 7.1.2 변수처리의 방법 = 334 7.1.3 학습행위와의 관계 = 337 7.2 의사소통 책략에 대한 연구 = 341 7.2.1 다섯 가지 합의점 = 343 7.2.2 두 가지 문제점 = 346 7.3 좋은 언어학습자에 대한 연구 = 352 7.3.1 네 가지 합의점 = 354 7.3.2 통일된 기준의 설정 = 357 7.3.3 Stern, Brown, Ellis의 안들 = 358 7.3.4 연구과제의 정교화 = 363 제8장 입력과 제2어 학습 8.0 입력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활기를 띠게된 이유 = 371 8.0.1 Krashen의 충격 = 371 8.0.2 교재 중시의 전통 = 376 8.1 좋은 입력의 요건 = 381 8.1.1 학습환경상의 제약 = 381 8.1.2 모형선택상의 제약 = 384 8.1.3 말과 글의 관계 = 388 8.1.4 문법교육의 문제 = 390 8.2 입력과 교수법의 관계 = 394 8.2.1 교수법의 중요성 = 395 8.2.2 연습량의 극대화 = 397 8.2.3 흥미와 두뇌활동의 유발 = 403 8.2.4 언어사용의 장려 = 408 8.3 수정된 입력 = 412 8.3.1 수정된 입력의 특징 = 414 8.3.2 교사의 대책 = 417 제9장 교실지향적 연구 9.0 제2어 습득연구의 주류 = 421 9.0.1 태생적 배경 = 421 9.0.2 교실의 이점 = 422 9.0.3 이론과 응용의 직결성 = 422 9.1 교실관찰법 = 424 9.1.1 FLint법과 FOCUS법 = 425 9.1.2 교사지향적 연구 = 426 9.1.3 Nystrom의 실험 = 428 9.2 교수법의 검증 = 434 9.2.1 의사소통접근법의 전파 = 437 9.2.2 읽기와 쓰기의 교수법에 대한 관심 = 442 9.2.3 전체언어의 원리 = 446 9.3 회고와 전망 = 451 9.3.1 편입이전의 시기 = 452 9.3.2 편입이후의 시기 = 454 9.3.3 앞으로의 전망 = 458 제10장 이중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 10.0 이중 언어사용에 관한 연구와 제2어 습득연구의 관계 = 461 10.1 학교에서의 이중 언어교육 = 463 10.1.1 지금까지의 역사 = 463 10.1.2 두 가지 쟁점들 = 468 10.2 이중 언어습득의 절차와 영향 = 471 10.2.1 복합적 이중 언어습득과 등위적 이중 언어습득 = 471 10.2.2 언어습득자에게 미치는 영향 = 477 10.3 신경심리학적 연구 = 481 10.3.1 측위화의 가설의 재검토 = 481 10.3.2 결정적 시기의 가설의 재검토 = 485 참고문헌 = 489 찾아보기 = 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