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長期失業者深層追跡相談프로그램 開發 및 失業解消方案 硏究

長期失業者深層追跡相談프로그램 開發 및 失業解消方案 硏究 (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단체저자명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長期失業者深層追跡相談프로그램 開發 및 失業解消方案 硏究 /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연구.
발행사항
서울 :   실업극복국민운동위원회 ,   2002.  
형태사항
408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부록: 1, 상담시행기관에 대한 연구용역단의 당부사항. 외  
000 00752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794679
005 20100805040416
007 ta
008 021111s2002 ulka 000a kor
035 ▼a KRIC08453014
040 ▼a 211064 ▼c 211064 ▼d 211064 ▼d 211064 ▼d 211009
049 1 ▼l 111228569 ▼f 개가 ▼l 121067419 ▼f 과학
082 0 4 ▼a 331.137 ▼2 21
090 ▼a 331.137 ▼b 2002
110 ▼a 숙명여자대학교. ▼b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45 1 0 ▼a 長期失業者深層追跡相談프로그램 開發 및 失業解消方案 硏究 / ▼d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연구.
260 ▼a 서울 : ▼b 실업극복국민운동위원회 , ▼c 2002.
300 ▼a 408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 1, 상담시행기관에 대한 연구용역단의 당부사항. 외
950 1 ▼a 비매품 ▼b \12240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31.137 2002 등록번호 121067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331.137 2002 등록번호 1112285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331.137 2002 등록번호 1210674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 청구기호 331.137 2002 등록번호 11122856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要約 = 1
제1부 硏究用役事業의 目的과 推進經緯 = 33
   제1장 연구용역사업의 목적과 필요성 = 39
   제2장 연구용역사업의 주요과제와 추진경위 = 42
      Ⅰ. 장기실업자 심층추적상담프로그램의 개발 = 42
      Ⅱ. 16개 상담시행기관에 대한 교육 및 감독 = 47
      Ⅲ. 장기실업자 실태조사 = 49
      Ⅳ. 종합적 장기실업해소 방안 도출 = 49
   제3장 개발 상담프로그램의 개요 = 50
      Ⅰ. 프로그램의 목적과 성격 = 50
      Ⅱ. 기본 틀(framework) = 52
      Ⅲ. 단계별 주요 프로그램 개요 = 53
      Ⅳ. 프로그램의 개발절차와 과정 = 57
      Ⅴ. 상담시행원칙과 기준 = 59
제2부 長期失業者 實態調査 分析 = 63
   제1장 실태조사의 목적과 조사방법 = 65
      Ⅰ. 실태조사의 목적과 의의 = 65
      Ⅱ. 조사방법 = 66
   제2장 피조사 장기실업자의 특성 = 68
      Ⅰ. 조사기관별 피조사자 수 = 68
      Ⅱ. 인구학적 특성 = 69
      Ⅲ. 전직실업의 경우 = 71
      Ⅳ. 신규실업의 경우 = 73
   제3장 장기실업의 원인 = 74
      Ⅰ. 실업의 원인 : 전직실업인 경우 = 75
      Ⅱ. 실업의 원인 : 신규실업의 경우 = 84
   제4장 장기실업자들의 생활상태 = 89
      Ⅰ. 피조사자 개인 월 소득 및 가계 주요 수입원별 소득 = 90
      Ⅱ. 실업 후의 소득 변화 = 94
      Ⅲ. 소득감소에 대처하기 위한 가구원의 노력 = 96
      Ⅳ. 보유 동산 및 부동산 = 97
      Ⅴ. 실업 이후 가정의 소비 변화 = 99
      Ⅵ. 실업 후 가정 생활의 변화 = 100
      Ⅶ. 실업 후 배우자와의 관계 = 103
      Ⅷ. 개인의 심리상태 = 105
      Ⅸ. 우울증 척도 = 108
      Ⅹ. 실업 후의 시간 활용 = 109
   제5장 실업의 장기화 요인 = 110
      Ⅰ. 구직활동방법 = 111
      Ⅱ. 구직활동 여부와 정도 = 112
      Ⅲ. 일자리를 얻지 못한 주된 이유 = 116
      Ⅳ. 제의 받은 일자리에 응하지 않은 이유 = 118
      Ⅴ. 유사한 일자리를 제의 받을 경우 = 120
      Ⅵ. 희망 임금수준 = 121
      Ⅶ. 새로운 일자리에 대한 전망 = 123
      Ⅷ. 구직을 위한 사람이나 기관과의 접촉 = 125
   제6장 요약 및 결론 = 129
      Ⅰ. 실태조사의 특징 = 129
      Ⅱ. 실업의 원인 = 130
      Ⅲ. 장기실업자들의 생활상태 = 131
      Ⅳ. 실업의 장기화 요인 = 132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133
제3부 長期失業者深層追跡相談 프로그램의 評價 = 135
   제1장 프로그램의 구조와 특징 = 137
      Ⅰ. 입문단계 = 137
      Ⅱ. 중심단계 = 137
      Ⅲ. 사후관리관계 : 추후 상담 = 141
   제2장 시행기관의 실행 프로그램 = 141
      Ⅰ. 실행 프로그램 작성 원칙 = 141
      Ⅱ. 실행 프로그램의 개요와 특징 = 142
   제3장 프로그램의 적합성 평가 = 178
      Ⅰ. 서론 = 178
      Ⅱ. 프로그램의 적합성 평가결과 = 179
      Ⅲ. 적합성의 향후과제 : 통합 및 결론 = 206
   제4장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 211
      Ⅰ. 서론 = 211
      Ⅱ. 효과성 평가 결과 = 212
      Ⅲ. 효과성의 향후과제 : 통합 및 결론 = 232
   제5장 프로그램의 개선방안 = 235
      Ⅰ. 서론 = 235
      Ⅱ. 16개 상담 실행기관의 제안점 및 개선방안 = 236
      Ⅲ. 16개 기관의 종합견해 = 247
      Ⅳ. 본 프로그램의 회차별 개선방안 = 250
      Ⅴ. 여성, 장애인 상담기관의 평가 및 대안프로그램 = 254
      Ⅵ. 상담진행방법 및 유형별 프로그램의 필요성 여부 = 267
제4부 長期失業者深層追跡相談의 成果와 總括 評價 = 273
   제1장 상담사업의 성과 - 취업실태를 중심으로 = 275
   제2장 모범사례 = 279
   제3장 상담사업의 총괄평가 = 287
제5부 綜合的 長期失業 解消方案 = 299
부록 = 321
   〈부록 1-1〉 상담시행기관에 대한 연구용역단의 당부사항(2002. 1. 19) = 323
   〈부록 1-2〉 상담결과 종합 보고서 작성요령(2002. 03. 28) = 325
   〈부록 1-3〉 상담시행기관 정기방문 교육·감독 결과 보고서 = 328
   〈부록 2-1〉 장기실업자실태조사통계분석결과(세부사항) = 335
   〈부록 2-2〉 장기실업자 실태조사표 = 398

관련분야 신착자료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
김의환 (2022)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