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61c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00794612 | |
005 | 20100805040249 | |
007 | ta | |
008 | 000530s2000 gnkag 001a kor | |
020 | ▼a 8985244787 ▼g 93670: ▼c \25000 | |
035 | ▼a KRIC07613636 | |
040 | ▼a 223005 ▼d 223005 ▼d 211009 ▼d 211010 | |
082 | 0 4 | ▼a 781.743009519 ▼2 21 ▼a 781.74300953 |
090 | ▼a 781.743 ▼b 2000 | |
100 | 1 | ▼a 박범훈 , ▼d 1948- ▼0 AUTH(211009)138023 |
245 | 1 0 | ▼a 한국불교음악사연구 / ▼d 박범훈 지음. |
246 | 1 1 | ▼a (A) study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music |
246 | 0 3 | ▼a 불교음악의 전래와 한국적 전개에 관한 종합적 ·입체적 연구서 |
260 | ▼a 합천 : ▼b 藏經閣 , ▼c 2000. ▼g 2002 | |
300 | ▼a 650 p. : ▼b 삽도, 악보 ; ▼c 23 cm. | |
500 | ▼a 영문초록 수록 | |
500 | ▼a 부록: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원문 | |
504 | ▼a 참고문헌(p. 544-562)과 색인(p. [569]-602) 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112297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112297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410180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510860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510860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1122973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1122973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4101803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510860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1.743 2000 | Accession No. 15108606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범훈(지은이)
범성凡聲(뭇소리) 박범훈은 예술가, 교육자 및 교육행정가로서 누구도 넘지 못할 뛰어난 업적을 쌓아왔다. 86아시안게임, 88서울올림픽, 2002한일월드컵, 대구유니버시아드 개막의 작곡 및 지휘 등을 맡았다. 또한, ‘중앙국악관현악단’, ‘국립국악관현악단’, 한중일 3국의 ‘오케스트라 아시아Orchestra Asia’를 창단하여 국악 대중화 및 세계화를 주도하였다. 대한민국 국민훈장 석류장(No 602호), 한국무용음악 작곡상, KBS국악대상 작곡상, 대한민국 작곡대상, 대한민국 예술인상(대통령상), 서울특별시 문화상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피리산조 연구>, <작편곡을 위한 국악기 연구>, <한국 불교음악의 연구>, <박범훈의 예술세계>, <소리연>, <추임새> 등이 있으며, ‘전통음악으로 본 한국인의 멋’, ‘경기음악의 보존과 전승발전을 위한 연구’, ‘문화산업 시대의 국악의 역할’, ‘산조의 역사적 의의와 중요성’ 등의 연구논문이 있다. 중앙대학교 학장, 부총장, 총장, 대통령 취임준비위원장, 대통령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재)뭇소리 중앙예술원 이사장, 중국 중앙음악학원 객좌교수 등으로 활약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부치는 글 / 박범훈 = 5 하늘의 소리, 사람의 노래 / 목정배 = 19 예술가의 눈으로 본 불교음악 연구 / 홍윤식 = 21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31 2.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 37 3. 연구내용 = 39 제1장 불전에 기록된 불교음악 Ⅰ. 불전상에 표현된 불교음악 = 44 1. 석존에 관한 음악 = 44 2. 석존의 음악관 = 61 3. 찬탄과 공양 = 76 4. 장엄과 의식음악 = 79 5. 비유와 교차 = 93 Ⅱ. 불전상의 악기 = 105 1. 악기에 관한 기록 = 107 2. 약기의 분류 = 120 3. 악기의 전래와 활용 = 121 4. 불전에 기록된 악기의 한국 전래 = 141 Ⅲ. 불전상의 음악용어와 그 의미 = 151 1. 음악용어의 기록 = 152 2. 음반용어의 종류 = 156 3. 음악용어 풀이 = 158 Ⅳ. 요약 = 190 제2장 불교음악의 전래 Ⅰ. 범패의 전래와 변천 = 196 1. 인도의 불교음악 = 198 2. 중국의 불교음악 = 200 Ⅱ. 중국범패에 관한 기록 = 208 1. 불전에 보이는 기록 = 208 2. 기타 문헌에 보이는 기록 = 231 Ⅲ. 한국의 불교음악 = 236 1. 범패의 전래 = 236 2. 진감국사와 범패 = 239 3. 엔닌이 기록한 적산원의 범패 = 242 4. 현존하는 한국범패 = 248 Ⅳ. 화청(和請) = 268 1. 화청의 생성과 유래 = 268 2. 화청의 음악적 특징 = 270 Ⅴ. 요약 = 280 제3장 불교음악의 한국적 전개 Ⅰ. 불교음악으로서의 향가 = 287 1. 향가의 종류 = 289 2. 향가의 불교음악적 특징 = 290 Ⅱ. 조선시대 불교음악의 관심 = 318 1. 세종대왕의 창작불교음악 = 320 2. 『사리영응기』에 기록된 불교음악 = 322 3. 『사리영응기』에 기록된 악기 = 326 4. 세종이 창제한 불교음악의 특징 = 327 5. 세종의 불가 창제 동기 = 333 Ⅲ. 불교음악의 전통음악적 전개 = 345 1. 기악합주곡 = 345 2. 민요 = 350 Ⅴ. 요약 = 362 제4장 창작찬불가 Ⅰ. 창작찬불가의 의의와 창작 배경 = 370 1. 창작찬불가의 의의 = 370 2. 찬불가의 창작 배경 = 372 Ⅱ. 제1기 승려들에 의한 찬불가운동 = 375 1. 찬불가의 탄생기(1920∼40년대) = 375 2. 찬불가의 재기(1960년대) = 416 Ⅲ. 제2기 재가불자에 의한 찬불가 운동 = 459 1. 찬불가의 개화기(1970년대) = 471 2. 찬불가의 성숙기(1980년대) = 505 Ⅳ. 제3기 찬불가의 한국적 전개 = 526 1. 불교방송국의 찬불가운동(1990년대) = 527 2. 국악찬불가운동 = 531 Ⅴ. 찬불가의 회고와 발전적 제언 = 543 1. 찬불가의 회고 = 543 2. 찬불가의 발전적 제언 = 545 3. 마무리 = 549 결론 = 551 참고문헌 = 554 ABSTRACT = 563 찾아보기 = 569 부록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 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