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개인투자자가 가장 알고 싶은)투자의 비밀

(개인투자자가 가장 알고 싶은)투자의 비밀 (Loan 4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Kostolany, Andre, 1906- 최병연, 역
Title Statement
(개인투자자가 가장 알고 싶은)투자의 비밀 / 앙드레 코스톨라니 지음 ; 최병연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미래의창,   2002  
Physical Medium
255 p. ; 23 cm
Varied Title
Kostolanys Borsenseminar : fur Kapitalanleger und Spekulanten
ISBN
8989353254:
General Note
부록수록  
000 00852namcc2200277 c 4500
001 000000794521
005 20100915181511
007 ta
008 020716s2002 ulk 000a kor
020 ▼a 8989353254: ▼g 03320
035 ▼a KRIC08221693
040 ▼a 211042 ▼c 211042 ▼d 211009
041 1 ▼a kor ▼h ger
049 1 ▼l 111221696 ▼l 111221697
082 0 4 ▼a 332.6322 ▼2 22
085 ▼a 332.6322 ▼2 DDCK
090 ▼a 332.6322 ▼b 2002t
100 1 ▼a Kostolany, Andre, ▼d 1906-
245 2 0 ▼a (개인투자자가 가장 알고 싶은)투자의 비밀 / ▼d 앙드레 코스톨라니 지음 ; ▼e 최병연 옮김
246 1 9 ▼a Kostolanys Borsenseminar : ▼b fur Kapitalanleger und Spekulanten
260 ▼a 서울 : ▼b 미래의창, ▼c 2002
300 ▼a 255 p. ; ▼c 23 cm
500 ▼a 부록수록
700 1 ▼a 최병연, ▼e▼0 AUTH(211009)75797
900 1 0 ▼a 코스톨라니, 앙드레,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112216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511342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511342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511373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112216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5113429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5113429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332.6322 2002t Accession No. 1511373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앙드레 코스톨라니(지은이)

1906년 헝가리에서 출생한 그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증권투자의 대부였다. 철학과 미술사를 전공했지만, 사실은 피아니스트가 되는 게 꿈이었다. 16세에 아버지의 친구에게 투자를 배우기 위해 파리에 오면서 증권계에 입문하였고 20대에 첫 투자를 시작한 이래, 금융세계는 늘 그를 필요로 했다. "박학다식한 저술가, 유머 넘치는 칼럼니스트이자 유쾌한 만담가"(슈피겔지)인 그는 생전에 10여 권이 넘는 책을 저술하였으며 8개 국어로 번역된 그의 책들은 진정한 투자의 지혜를 갈망하는 전 세계의 수백만이 넘는 독자들을 매료시켰다. 한 번도 정식 경제학 교육을 받지 않았으나 수많은 대학에서 강연을 하였고, 마치 날씨나 아름다운 여인처럼 '논리가 통하지 않는 주식시장'을 '과학적 논리'로 해명하려 드는 경제학자들보다 언제나 한 수 위에 있었다. 90이 넘어서도 필력을 과시하였던 코스톨라니는 혼신의 힘을 기울여 이 책을 저술하였으나 끝내 서문은 쓰지 못하고 1999년 9월 14일 94세를 일기로 파리에서 영면하였다. 그의 사후에 출간된 이 책은 출간 즉시 독일 내 종합 베스트셀러 1위 자리에 올랐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이것이 증권시장이다 = 23
 증권 시장이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5
 유가증권이란 무엇인가? = 25
 동산, 즉 유가증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6
 주식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6
 증권 시장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 27
 유가증권의 거래량은 어느 정도나 되나? = 28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어떤가? 사회주의 국가에도 그런 산업은 있지 않는가? = 29
 어떻게 이 이론을 증명할 수 있는가? = 30
 이런 일을 미국에서도 상상할 수 있을까? = 31
 독일에서는 어떤가? = 31
 금융기관은 항상 좋은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어 하는가? = 33
 언제 금융기관의 정책이 바뀌었나? = 33
 중기란 어느 정도 시간인가? = 35
 장기란 어느 정도 시간인가? = 35
 단기적인 시세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 35
 중기적인 주식 시세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 39
 장기적인 주식 시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 40
 언론 매체가 발전하면 주식 시장도 투명해진다고 할 수 있는가? = 42
 비논리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증권 시장에서는 논리적일 수 있는 예를 하나 든다면? = 43
 침체기에는 어떤가? = 44
 결론은 무엇인가? = 45
 분위기 말고 주식 시장의 추세에 중요한 것은 또 무엇인가? = 45
 실제로도 이런 현상을 경험했는가? = 46
 지금도 같은 생각인가? = 47
 바보들이란 누구인가? = 47
 그러면 투자자는 다른 이들의 바보스러움 때문에 득을 보는 것인가? = 48
 그렇다면 아주 지능적인 컴퓨터가 최고의 투자자가 아닐까? = 48
 유동성은 어떻게 계산하는가? = 49
 그 밖에 주식 시장의 추세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이나 요소가 없는가? = 50
 장기적으로 보면 좋지 않거나 심지어 위험할 것 같다고 생각하면서도 단기적으로는 그 주식을 사야 할까? = 51
 그래서 어떻게 되었는가? = 53
 어느 주식 시장에서 가장 큰 이익을 볼 수 있는가? = 53
 그런 외국의 주식 시장에서는 이익을 볼 수 없는가? = 54
 주식은 자본을 구하는 기업이 대규모 자금을 얻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이것이 더 많은 경제적 민주주의로 가는 길일 수 있는가? = 55
 공급과 수요가 가격을 결정하는 자유시장 경제에서 이 원칙에 따라 기능하는 유일한 시스템이 주식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가? = 56
 기업의 자본 증가는 주가 상승을 의미하는가? = 56
 배당금이 많아지면 주가도 올라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는가? = 56
 기명 주식은 무기명 주식보다 비싼가? = 57
 공매도 투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57
 공정함이라는 개념은 명확히 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주식의 가격이 공정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 58
 고도의 테크닉을 사용하며 항상 이노베이션의 요구를 받는 현대 산업사회는 많은 자본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주식의 잠재력이 폭발적으로 커질 가능성이 있지 않은가? = 59
 이후 국민 대중이 주식 구매에 열을 올리는 때가 올 것인가? = 60
 많은 기업이 주식 시장으로 들어와 새로운 주식이 많아지면 주식 시장에 유리한가? = 60
 주식 시세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61
 그러니까 항상 추세에 반해서 행동하라는 말인가? = 68
 한 시기의 길이를 어떻게 알아낼 수 있는가? = 68
 증권 시장 붕괴 후, 새로운 전환점이 올 징후가 보일때, 많이 떨어지지 않은 주식, 혹은 많이 떨어진 주식, 아니면 완전히 파괴된 주식 중에 어떤 주식을 사야 할까? = 69
 증권시장의 게임 시스템 전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70
 증권 시장에는 낙관주의자가 더 많은가 비관주의자가 더 많은가? = 74
 증권 시장 참여자의 수는 얼마 정도 되는가? = 75
 스위스의 무기명 계좌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75
 '세금 오아시스'란 무엇인가? = 78
경제 vs 주가 = 81
 주식 시장의 분위기를 바꾸는 경제적 이유에는 어떤 것이 있나? = 83
 이런 움직임이 경제에 좋은 것인가? = 83
 이 설명에 따르면, 은행과 금융기관은 대중에게 정직하지 않다는 뜻인가? = 84
 하지만 시세가 떨어져서 대중이 돈을 잃게 되면 경제에 나쁘지 않은가? = 85
 사회주의 국가에서도 투자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 주기 위해 헝가리를 예로 들었는데 왜 그런가? = 86
 하지만 사회주의 국가에는 주식회사가 없지 않은가? = 87
 불경기 때 주식을 사야 할까? = 89
 세금이 인상되었는데도 주가가 오를 수 있는가? = 89
 중앙 은행은 증권 거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89
 국제 정책은 증권 거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91
 국가 기업 혹은 국영 기업의 민영화는 주식 거래를 활발하게 하는가? = 91
 이제 국영화된 기업을 다시 민영화시킨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 92
 일반적인 조세 정책과 주가의 운명은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가? = 92
 금리와 주가 추세의 관계는 어떠한가? = 93
 투자자들은 미국의 대통령 선거를 주의 깊게 관찰하는가? = 97
 석유 시장에 대해 그리고 유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100
 한 나라의 번영과 발전에 경제와 금융 중 무엇이 더 중요한가? = 105
 왜 경제학자를 그토록 비판하는가? = 106
 국가의 계획과 절대적인 자유 중 어느 것이 경제를 위해 좋다고 생각하는가? = 108
 그렇다면 정글 대신 감옥이 낫다는 것인가? = 108
 그렇다면 경제를 통제해야 한다는 말인가? = 109
 5천억 달러를 빌려간 채무국이 갑자기 지불 능력이 없어지면 어떻게 되는가? = 111
 대차대조표, 정상 회담, 복잡한 협정, 채무의 상환 등은 눈가림이란 말인가? = 113
 크래쉬, 즉 경제 붕괴 혹은 화폐 개혁은 두려워할 만한 것인가? = 114
 벤처 투자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116
 정부의 조세 정책은 자본 시장, 즉 증권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118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주식 시장을 하락하게 하는가? = 119
 인플레이션을 막는 방법에는 또 어떤 방법이 있는가? = 119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대체 무엇인가? = 119
 금본위 제도로 돌아가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120
 금본위 제도는 세계 경제의 이익에 반하는 것인가? = 123
투자자 vs 게임꾼 = 125
 주주란 누구인가? = 127
 게임과 투자는 무엇이 다른가? = 127
 투자자가 지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 129
 그것이 차이점의 전부인가? = 129
 게임꾼과 투자자 중 누가 더 성공적이었나? = 130
 자신은 그렇게 할 수 있나? = 131
 이론과 원칙이 있는데도 어렵다면 왜 그런가? = 131
 순응하지 않는 사람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32
 훌륭한 투자자가 갖춰야 할 점은 무엇인가? = 134
 투자자는 어떤 직업에 가장 가까울까? = 135
 어떤 점에서 투자자가 의사라는 직업과 비슷한가? = 135
 투자에 나쁜 성격이라면 어떤 것일까? = 136
 주식투자는 어떤 놀이와 가장 비슷할까? = 136
 투자자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 137
 '소신파 투자자'는 누구이고 '부화뇌동파 투자자'는 누구인가? = 140
 '과매수 시장'의 결과는 어떤가? = 142
 '과매도 시장'의 결과는 어떤가? = 142
 시장이 과매수 상태인지, 과매도 상태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 = 143
 하지만 증권 시장에 유리한 사건이 일어나서 대중이 계속 낙관적이면 어떠한가? = 145
 이 분석으로부터 어떤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는가? = 146
 이것은 일반적인 의견인가? = 148
 브로커는 이런 분석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148
 시장이 '과매수'나 '과매도'되었다는 다른 징후가 또 있는가? = 149
 그런 경우 투자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150
 외국인 투자자가 사면 좋지 않은가? = 151
 기관 투자가, 대규모 투자 회사, 연금(특히 미국의 연금), 보험회사는 주식 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이들이 시장을 지배하게 되면서 시장의 지형이 아주 달라지지 않았는가? 이제는 큰손이나, 단기 데이트레이더, 대규모 혹은 소규모의 개인투자자가 시장을 지배하지 않게 된 것 아닌가? = 151
 신용으로 주식을 사도 될까? = 152
 신용으로 증권을 샀을 때 좋은 경험을 한 적이 있는가? = 156
 그 투자의 결과는 어떠했는가? = 158
 신용으로 주식을 사지 않았다면 어떻게 했겠는가? = 158
 하지만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는 증권 시장에서 돈을 벌 수 없지 않은가? = 161
 주식을 살 때 전술이 더 중요한가? 전략이 더 중요한가? = 161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하루 종일이 필요한가? = 162
 적은 돈으로 큰 이익을 볼 수 있는가? 아니면 첫 백만 달러를 만들기가 가장 어렵다는 얘기가 맞는가? = 162
 훌륭한 투자자라면 일 년에 얼마를 벌 수 있는가? = 163
 "떨어진 음식 주워 먹지 말고 크게 벌어라"는 말은 모든 투자자에게 해당하는 말인가? = 164
 이것은 모두에게 해당되는 말인가? = 164
 투자는 중독성이 있는가? = 164
 "모든 이론은 회색이다." 이 말이 주식 투자에도 맞는 말인가? = 165
 모든 것이 어둠에 싸여 있다는 말인가? 경험을 통해 배울 수 있는가? = 166
 하지만 많은 은행 직원들은 자신이 무엇인가 안다고 주장한다. 그렇기도 한가? = 166
 투자자에게는 돈이라는 단 하나의 신만이 있는가? 돈이 투자자의 행동을 결정하는 모든 것인가? = 167
 투자는 도덕과 합치될 수 있는가? = 168
 대규모 투자자는 우리에게 위험한 존재인가? 아니면 그들의 위험천만한 거래를 이용해 이득을 보도록 전술을 세워야 할 것인가? = 167
 증권 투자는 룰렛 게임과 비슷한가? 처음 이익을 보면 이를 모두 다시 투자해야 할까? = 169
 투자자는 도덕적으로 행동해야 하는가? = 169
 이미 자리를 잡은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새로운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 172
 아내나 여자친구의 의견을 들어야 할까? = 173
 투자자는 이익 혹은 손실이 클 때 팔아야 할까, 작을 때 팔아야 할까? = 173
 투자자가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영향을 받아도 되는가? = 174
 투자자는 항상 논리적이고 냉정해야 하는가 아니면 때로는 다른 바보들에게 휩쓸려야 할까? = 174
 전광판으로 주식 시세를 모두 볼 수 있는 객장에 가야 할까? = 175
 투자자가 술을 마시고 결정을 내려도 될까? = 176
 투자자가 미신을 믿어도 될까? = 176
 새로운 계획을 세웠으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 176
 주식을 샀으면 산 가격보다 휠씬 높은 가격에 팔아야 하나? = 177
 어느 시간대에 주식을 사야 할까? 한 주 중 어느 날, 그리고 하루에도 장이 시작되기 전이 좋은가 장 중이 좋은가? = 177
 잃은 돈을 다시 얻을 수 있는가? = 177
 성공적인 투자를 한 후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 178
 정식으로 학교에서 배우지 않고 독학한 사람의 말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178
 투자자는 언제 결산을 해야 하는가? = 179
 어떤 기준에 따라 주식을 선정해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결정이라는 것을 어떻게 내리는가? = 180
 늙고 경험 많고 지적이고 그러나 완전히 실패한 투자자의 의견은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까? = 180
 주식을 살 때, 배당금은 어느 정도 고려하는가? = 182
 바닥에서 사서 최고점에서 팔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 184
 투자자로서 주식을 선호하는가, 부동산을 선호하는가? = 184
 투자자는 무엇을 할 줄 알아야 하는가? = 187
 투자자가 되기 위해 어떤 공부를 하면 유리한가? = 189
 이 투자자 학위를 따기 위해 투자자는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 190
 자본가는 손익계산서를 정확히 분석하고 거래를 해야 하지 않는가, 그렇지 않으면 실패할 수도 있지 않는가? = 191
정보 vs 판단 = 193
 비법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195
 대규모 유명 기업이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종목을 사야 할까? = 195
 대규모 기관의 머니 매니저가 행하는 주식 매매 행위를 어느 정도 중요하게 여겨야 할까? = 196
 전문가의 추천은 장기적으로 어느 정도 중요하게 여겨야 할까? = 196
 기업 내부자의 추천은 어느 정도 믿어야 할까? 기업 내부자는 그 기업에 대해 가장 잘 아는 사람이 아닌가? = 196
 그렇다면 사기 아닌가? = 197
 경제 전문가와 경제학자들이 이후의 발전에 대해 하는 말은 얼마나 믿어야 할까? = 197
 항상 그런가? = 198
 그렇다면 경제학자들의 예측은 항상 틀린가? = 199
 비슷한 예를 하나 더 든다면? = 200
 수집 애호물에 투자를 해서 이득을 본 사람도 많지 않은가? = 201
 주가 차트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과거로부터 미래의 추세를 알 수 있는가? = 202
 내부자 정보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206
 매년 하는 사업보고서, 주주 총회, 언론 발표 등이 한 기업의 발전을 가늠하는 정보로 충분한가? = 217
 대차대조표, 배당금 등에 대해 자세한 사항을 알아야 하는가? = 217
 1급 전문가들의 주식 분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218
 전문가 분석은 내부자 정보의 경우와 비슷하다는 말인가? = 220
 주가 이익 비율(PER)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220
 주식 투자 초보자도 "독자적으로 하라"는 모토에 따라야 하는가? = 222
 센세이셔널한 투자 가능성이 있다고 예찬하는 틀린 예언자들에게서 어떻게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가? = 222
 투자자에게 가장 위험한 것은 무엇인가? = 223
 기업이 어떤 방법으로 증자를 통해 투자자를 속일 수 있는가? = 224
 언론의 뉴스를 들을 때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224
 신문의 주식 시장 기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224
 과거의 사건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고 유용한가? = 225
선물·옵션 & 채권 = 227
 상품 선물 거래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229
 달러의 제로 본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235
 신용으로 제로 본드를 살 수 있는가? = 236
 하지만 스위스 프랑의 금리가 낮으니 권할 만하지 않은가? = 237
 옵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238
 긴급 채권을 사도 될까? = 243
 어떻게 1,000프랑짜리 채권이 35,000프랑이 될 수 있었는가? = 244
부록 = 245
 코스톨라니의 테스트 - 나의 투자 유형은? = 246
 맺음말 = 25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