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정책과 정책학 = 11
1. 정책의 개념과 특징 = 11
2. 정책의 연구 유형(접근 방법) = 14
3. 정책학의 연구 대상 = 16
4. 정책학에서의 가치 판단 = 19
5. 정책에서 요구되는 윤리 = 22
6. 정책학에서의 인접 학문의 차용 = 25
제2편 정책의 구성 요소와 환경 = 27
7. 정책목표 = 27
8. 정책 수단 = 29
9. 정책 대상자 = 31
10. 정책 유형 = 33
11.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와 정책결정 = 36
12. 정치 체제의 특성과 정책결정 = 38
13. 행정정보 공개의 정책에의 함의 = 42
제3편 정책결정 과정과 정책의 결정 = 45
14. 정책 과정의 다양한 주장들 = 45
15. 정책 과정과 정치 과정 = 47
16. 정책 과정의 참여자 = 49
17.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의회의 역할 = 52
18.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대통령의 역할 = 54
19.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행정부의 역할 = 56
20.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정당의 역할 = 58
21.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이익집단의 역할 = 60
22.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시민과 시민단체의 역할 = 63
23.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언론의 역할 = 65
24.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엘리트이론의 적용 = 67
25.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다원주의론의 적용 = 71
26.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관료주의 = 73
27. 정책결정 과정과 문제의 성격 = 76
28. 무의사 결정전략 = 78
29. 정책결정 이론모형(1) : 합리모형, 만족모형, 회사모형, 점증모형 = 81
30. 정책결정 이론모형(2) : 혼합모형, 최적모형, 쓰레기통모형, 공공선택모형 = 85
31. 정책결정의 주도집단과 의제 설정 = 89
32. 정책의제 설정을 좌우하는 요인 = 92
33. 정책문제의 파악 = 96
34. 정책목표들의 우선순위 결정 = 100
35. 정책 수단과 정책 대안 = 104
36. 정책 대안의 원천 = 107
37. 정책 대안의 결과 예측 방법 = 109
38. 정책 대안의 비교 = 112
39. 정책결정에서의 정치적 결정 방법 = 117
40. 정책 대안의 실현 가능성 = 119
41. 의사결정의 방식 = 121
제4편 정책집행 = 124
42. 고전적 집행론과 현대적 집행론 = 124
43. 정책집행자와 정책결정자의 관계 = 127
44. 정책집행에서의 상향식·하향식 모형 = 129
45.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관 = 133
46. 정책집행의 철회 = 136
47. 정책집행의 판단 기준들 간의 모순과 대립 = 138
48. 정책집행을 둘러싼 자원 확보 = 141
49. 정책지침 작성 = 144
50. 정책집행 과정에서의 의사전달의 왜곡과 불완전 = 146
51. 정책집행에서의 일관성 결여 = 149
52. 정책집행에서의 정책 대상 집단의 태도 = 151
53. 집행조직의 관료규범 문제 = 153
54. 정책집행 과정에서의 부처할거주의 = 155
55. 정책집행상의 순응 문제 = 157
56. 정책집행상의 불응 발생 요인과 구체적 형태 = 160
57. 정책집행에서의 순응 확보 = 163
58. 정책집행자의 능력 문제 = 166
59. 정책집행에서의 중간 매개집단의 역할 = 168
60. 정책집행에서의 재량권 문제 = 172
61. 정책집행에서의 상황론적 발생 = 175
제5편 정책평가 = 178
62. 정책평가의 의의 및 중요성 = 178
63. 정책평가의 과학적 방법과 비과학적 방법 = 180
64. 정책평가의 목적 = 182
65. 총괄평가 = 184
66. 과정평가 = 187
67. 정책평가와 사회지표 = 190
68. 정책평가의 기준 = 193
69. 정책실패의 요인 = 196
70. 정책의 영향과 정책평가 = 200
71. 정책평가와 피드백 = 203
72. 정책평가 유형의 결정 = 205
73. 정책평가의 타당성 = 207
74. 정책평가에서의 통계적 분석과 약점 = 210
75. 정책평가에서의 진실험(True Experiment)과 준실험(Quasi-Experiment) = 213
76. 정책평가의 적실성과 신뢰성 = 216
77. 정책평가 결과의 저항과 타성 = 219
제6편 정책 변동과 정책 종결 = 221
78. 정책 변동의 유형 = 221
79. 정책 승계와 정책 종결 = 224
80. 정책 종결에 대한 정책 수혜자의 저항과 연합 = 227
81. 정책 환경에 따른 정책 투입의 변화 = 229
82. 정책 종결에 따른 정책의 일관성 문제 = 232
83. 정책 종결에 대한 정치적 부담 = 234
84. 정책 종결에 따른 행정관리의 문제점 = 237
85. 가용한 자원의 변화와 지지의 변화 = 240
86. 정책 종결에 따른 극복 전략 = 243
87. 정책 종결의 제도적 장치 : 영기준 예산과 일몰법 = 246
88. 정책 변동과 정책결정 체제 = 248
89. 정책 변동과 합리적 결정 = 250
정답 = 254
참고 문헌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