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8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진영은 조인진 김봉석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 Curriculum evaluation / 진영은 ; 조인진, ; 김봉석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2.  
형태사항
419 p. : 삽도 ; 24 cm.
ISBN
8975487598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5-413)과 색인수록
000 00718camccc200241 k 4500
001 000000794056
005 20100805035022
007 ta
008 021108s2002 ulka 001a kor
020 ▼a 8975487598 ▼g 93370 : ▼c \16000
035 ▼a KRIC08462387
040 ▼a 211046 ▼c 211046 ▼d 211046 ▼d 211009
049 1 ▼l 111227838 ▼f 개가 ▼l 111227839 ▼f 개가
082 0 4 ▼a 375 ▼a 371.26 ▼2 21
090 ▼a 375 ▼b 2002d
100 1 ▼a 진영은 ▼0 AUTH(211009)88940
245 1 0 ▼a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 ▼x Curriculum evaluation / ▼d 진영은 ; ▼e 조인진, ; ▼e 김봉석 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2.
300 ▼a 419 p. : ▼b 삽도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405-413)과 색인수록
700 1 ▼a 조인진 ▼0 AUTH(211009)26703
700 1 ▼a 김봉석 ▼0 AUTH(211009)137832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2d 등록번호 11122783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2d 등록번호 1112278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진영은(지은이)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영문학과 졸업(문학사) 미국 Kent State University 교육학과 졸업(문학 석사, 교육과정과 학습지도 전공) 미국 University of Pennsylvania 교육학과 졸업(교육학 박사, 교육과정과 학습지도 전공) 성균관대학교 학생교육연구소 소장, 교육연구소 소장, 사범대 학장, 교육대학원장 역임 현재 성균관대학교 사멉대학 교육학과 교수

조인진(지은이)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교육과정)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교육심리) 전 총신대학교 교수 현 글로벌선진학교 교장/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대학원 출강

김봉석(지은이)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탐구>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부 교육과정의 이해
 제1장 학문 연구분야로서의 교육과정 = 11
  1. 교육과정 분야의 시작과 발달 = 11
  2. 교육과정의 정의 = 14
  3. 교육과정의 연구영역 = 20
  4. 교육과정의 역사 = 27
  5. 교육과정의 조직 유형 = 41
  탐구문제 = 46
 제2장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 47
  1. 개화기에서 해방 이전까지의 교육과정 = 47
  2. 해방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교육과정 = 53
  3. 유치원 교육과정 = 69
  탐구문제 = 80
 제3장 교육과정 연구의 패러다임 = 81
  1. 교육과정 연구와 패러다임의 문제 = 81
  2. 교육과정 연구 패러다임의 분류 = 82
  3. 교육과정 이론 연구의 세 가지 패러다임 = 89
  탐구문제 = 106
2부 교육과정의 개발
 제4장 타일러의 목표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 = 109
  1.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의 근본 물음 = 109
  2. 목표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문제틀 = 111
  3. 목표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구성 요소 = 114
  4. 목표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교육적 의미 = 128
  탐구문제 = 132
 제5장 브루너의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 = 133
  1. 교육과정 탐구에서의 근본 물음 = 133
  2.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문제틀 = 135
  3.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구성 요소 = 139
  4. 내용중심 교육과정 모형의 교육적 의미 = 147
  탐구문제 = 150
 제6장 교육과정 평가 = 151
  1. 교육과정 평가의 필요성과 목적 = 151
  2.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156
  3. 교육과정 평가의 영역 = 161
  4. 교육과정 평가의의 단계 = 167
  탐구문제 = 175
 제7장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과정 = 177
  1. 교육과정 개발 = 177
  2. 교육과정 개발모형 = 190
  3.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개발 = 195
  4.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과 문제점 = 199
  탐구문제 = 201
3부 교육과정의 쟁점
 제8장 통합교육과정 = 205
  1. 통합교육과정의 필요성과 의의 = 205
  2. 교육과정 통합의 교육적 기능 = 210
  3. 교육과정 통합의 방법 = 213
  4. 통합교육과정의 설계모형 = 216
  5.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의 발전과정 = 224
  6. 우리나라의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에서의 문제점 = 227
  탐구문제 = 229
 제9장 잠재적 교육과정 = 231
  1. 잠재적 교육과정의 개념 = 231
  2. 잠재적 교육과정의 원천 = 242
  3. 잠재적 교육과정의 장(場) = 247
  4. 학교교육과 잠재적 교육과정에 관한 다양한 관점 = 250
  5. 잠재적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과 논의 = 253
  6. 잠재적 교육과정의 의의 = 257
  탐구과제 = 258
 제10장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 = 259
  1. 교육과정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전통적 관점 = 259
  2. 신교육사회학에서의 교육과정 비판 = 261
  3. 재개념주의에서의 교육과정 비판 = 266
  4. 교육과정 사회학의 이론들 = 270
  탐구문제 = 279
 제11장 수준별 교육과정 = 281
  1.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 281
  2. 수준별 교육과정의 개념과 성격 = 283
  3.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 291
  4.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 = 299
  탐구문제 = 304
4부 교육평가의 이해
 제12장 교육평가의 개념과 유형 = 307
  1. 교육평가의 개념 = 307
  2. 교육평가의 기능 = 308
  3. 교육평가의 모형 = 309
  4. 교육평가의 유형 = 314
  5. 교육평가의 동향과 전망 = 321
  탐구문제 = 324
 제13장 수행평가 = 325
  1. 수행평가 도입의 배경 = 325
  2. 수행평가의 개념 = 326
  3. 수행평가의 유형 = 330
  4. 현행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해결과제 = 341
  탐구문제 = 344
 제14장 교육평가의 절차 = 345
  1. 평가목표의 확인 = 345
  2. 평가장면의 설정 = 350
  3. 평가도구의 선장과 제작 = 359
  4. 평가도구의 문항의 분석 = 383
  5. 평가의 실시와 결과처리 = 395
  6. 평가결과의 해석 및 활용 = 400
  탐구문제 = 404
참고문헌 = 405
찾아보기 = 41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