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효과적인 교사 / 번역자 : 최욱
효과적인 교사란 무엇인가? = 2
역할모델 관련 정의 = 2
심리적 특성 관련 정의 = 3
새로운 정의방향 = 5
효과적인 수업과 직결되는 다섯 가지 핵심행동 = 9
수업의 명료성 = 10
수업방법의 다양성 = 11
순수 수업활동에의 전념 정도 = 13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 = 14
학생의 학습성공률 = 17
다섯 가지 핵심행동에 대한 요약 = 18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부가적으로 필요한 행동 = 19
학생의 견해와 기여를 활용 = 20
체계화된 요약 및 정리 = 22
질문활용 = 24
심화 및 구체화 진술 = 26
교사가 수업에서 보여주는 태도 = 28
수업의 복합성 = 29
다양한 학생과 수업내용에 따른 효과적인 수업 = 30
학생이 사회경제적인 수준, 문화, 민족에서 다양성을 보일 때 효과적인 수업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30
수업내용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수업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 32
교사의 효과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에 대한 요약 = 34
맺는말 = 35
요약 = 36
토론 및 연습문제 = 37
2. 학생에 대한 이해 / 번역자 : 최욱
왜 개인차를 고려해야 하는가? = 43
적응적 수업 = 44
일반 지능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46
환경론자의 입장 = 47
유전론자의 입장 = 48
일반 대 특정 지능 = 48
특정 능력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50
다중 지능 = 50
스텐버그의 지능이론 = 53
선행성취가 학습에 미치는 효과 = 56
가정과 가족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57
왜 사회경제적 위치가 학습에서 중요한가? = 58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교사의 역할 = 59
성격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61
에릭슨의 학교생활에서의 위기국면 = 62
불안 = 65
학습양식 = 67
자아개념 = 71
또래집단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72
학생이 처한 사회적 상황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74
편견을 배제하기 위한 계획 = 81
호칭과 집단 편성시의 편견 = 81
상호작용시의 편견 = 82
맺는말 = 84
요약 = 86
토론 및 연습문제 = 88
3. 교육목적과 수업목표 / 번역자 : 이미자
교육목적, 교육목표, 수업목표 = 92
타일러의 교육목표 개발방법 = 92
2000년대 교육을 위한 교육목표 = 94
수업목표 = 96
행동이라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 96
행동목표에 대한 고찰 = 97
학습결과 제시하기 = 98
학습조건 제시하기 = 100
평가기준 제시하기 = 101
학습목표 간단히 제시하기 = 103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 = 104
인지적 영역 = 105
정의적 영역 = 110
심체적 영역 = 113
행동목표에 대한 오해 = 115
어떤 행동이 더 중요한가? = 115
무엇이 실제적인 행동인가? = 116
단순한 행동을 가르치기가 더 쉬운가? = 117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영역의 행동들은 서로 별개인가? = 117
요약 = 119
토론 및 연습문제 = 120
4. 단원과 수업 설계 / 번역자 : 이미자
의사결정자로서 교사 = 126
교육목표와 수업목표에 대한 이해 = 126
학생에 대한 이해 = 126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 127
교수방법에 대한 이해 = 127
수업설계에 필요한 요소 = 128
수업설계와 경험 = 128
단원과 수업 설계 = 129
설계에 대한 의사결정 = 130
교육목표 = 130
학생특성 = 132
교육내용 = 133
단원조직 = 133
수직적 단원설계와 수평적 단원설계 = 134
학문적(수직적) 단원설계 = 134
간학문적(수평적) 단원설계 = 138
수업설계 = 144
학습수준 = 146
학생 개인차를 고려하는 교수방법과 기술 = 147
수업의 단계 = 151
1단계 : 주의집중시키기 = 152
2단계 : 목표 알려주기 = 153
3단계 : 선행학습 기억시키기 = 154
4단계 : 자료 제시하기 = 155
5단계 : 학습활동 유발하기 = 157
6단계 : 피드백 제공하기 = 158
7단계 : 평가하기 = 159
수업설계 예 = 160
수업설계 예 : 읽기 = 160
수업설계 예 : 문학과 미국역사 = 164
수업설계 예 : 미국역사 = 166
수업설계 예 : 언어 = 167
수업설계 예 : 수학 = 168
수업설계 예 : 과학 = 169
요약 = 170
토론 및 연습문제 = 172
5. 직접교수 전략 / 설양환 번역
수업과 학습의 범주 = 175
직접교수법의 개관 = 179
직접교수법이 적절한 때 = 182
직접교수법의 사례 = 184
매일 전날 배운 내용의 복습과 점검 = 187
제시와 구조화 = 189
부분-전체 관계 = 190
계열적 관계 = 190
조합적 관계 = 192
비교관계 = 192
구조화하는 방법들을 적용하기 = 193
학생의 연습 안내 = 194
독려하기 = 195
모델링 = 196
피드백과 교정 = 200
정확하며 신속하고 확고함 = 200
정확하지만 주저함 = 200
부주의하여 부정확함 = 201
아는 것이 없어서 부정확함 = 202
부정확한 반응에 대한 전략 = 202
독자적인 연습 = 203
주간과 월간 복습 = 208
직접교수법 수업설계 예 : 문법 = 209
다른 유형의 직접교수법 = 210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급에서 직접교수법의 목표 달성하기 = 211
요약 = 214
토론 및 연습문제 = 216
6. 간접교수 전략 / 번역자 : 설양환
학습의 인지적 과정 = 224
읽기 = 225
쓰기 = 226
수학 = 226
사회과 = 226
직접교수와 간접교수의 비교 = 228
개념, 패턴 그리고 추상화의 사례 = 229
간접교수의 사례 = 232
선행조직자의 활용 = 236
문제 중심 = 238
의사결정 = 238
네트워킹 = 240
개념적 운동 : 귀납법과 연역법 = 241
귀납적 추론 = 241
연역적 추론 = 242
귀납법과 연역법의 적용 = 243
사례와 반사례의 활용 = 246
탐색과 발견으로 안내하는 질문의 활용 = 248
학생의 경험(학생 아이디어) 활용 = 250
변화하는 관점 = 250
학생 아이디어의 생산적 활용 = 252
학생의 자기평가 = 253
집단토론의 활용 = 255
간접교수법 수업설계 예 : 사회과 = 258
직접교수와 간접교수의 비교 = 259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급에서의 간접교수의 목표 촉진 = 261
맺는말 = 263
요약 = 264
토론 및 연습문제 = 267
7. 발문전략 / 번역자 : 조주연
발문이란 무엇인가? = 272
수업시간의 80%를 차지하는 일들 = 273
우리는 올바르게 발문하고 있는가? = 274
발문의 목적 = 275
수렴적 발문과 확산적 발문은 무엇인가? = 275
수렴적 발문과 확산적 발문의 비교 연구 = 277
발문의 대상은 누구인가? = 279
어떠한 발문계열이 활용되고 있는가? = 281
어떤 수준의 발문들이 사용되는가? = 282
지식 = 284
이해 = 286
적용 = 287
분석 = 289
종합 = 290
평가 = 291
발문유형 요약 = 293
어떤 탐사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는가? = 294
대기시간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가? = 297
발문기법은 문화에 따라 다른가? = 300
대기시간 = 301
리듬 = 301
참여구조 = 302
언어 = 303
발문에 있어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 304
복잡하거나 애매하거나 이중적인 발문을 하지 않는가? = 304
단지 교사가 기대하는 대답만 받아들이지는 않는가? = 306
왜 이 질문을 하는가? = 307
교사 자신이 질문에 대답하지는 않는가? = 309
발문을 벌주는 데 이용하는가? = 310
요약 = 312
토론 및 연습문제 = 314
8. 자기주도적 학습 / 번역자 : 조주연
자기주도적 학습 = 318
메타인지 = 323
교사중재 = 325
응답기회 최대영역 = 325
응답기회 최대영역 맞히기 = 328
기능적 오류(학생 오류) = 329
상호교수법 = 332
사회적 대화 대 교실토론 = 336
내적 담화의 역할 = 337
자기주도적 학습에서의 대화사례 = 338
다른 인지적 전략들 = 345
기억법(기억보조술) = 346
정교화 및 조직화(필기하기) = 347
이해감독 전략 = 348
문제해결 전략 = 350
과제중심 전략 = 352
과제중심 학습에서 과제의 역할 = 353
과제중심 학습에서 학생의 역할 = 354
문화적으로 다양한 교실에서의 자기주도적 학습목표 증진 = 355
요약 = 358
토론 및 연습문제 = 361
9. 협동학습과 협력과정 / 번역자 : 박승배
협동의 결과물 = 364
태도와 가치 = 364
친사회적 행동 = 365
다른 견해와 관점 = 365
통합적 정체성 = 366
고등 사고과정 = 366
협동학습 활동의 요소 = 367
교사-학생 상호작용 = 367
학생-학생 상호작용 = 368
과제 분담과 자료 = 369
역할기대와 책임 = 369
학급 내에서의 협동학습 과제 설정 = 370
1단계 : 활동목표 구체화 = 370
2단계 : 과제의 구조화 = 372
3단계 : 협동과정 교수 및 평가 = 379
4단계 : 모둠활동의 모니터 = 382
5단계 : 요약 = 384
모둠 중심적 협동학습 활동 = 386
성취과제 분담학습 = 386
팀 경쟁학습 = 387
직소 Ⅱ = 388
팀 보조 개별학습 = 388
모둠 중심적 협동학습 활동들에 대한 요약 = 389
문화가 다양한 교실 속에서 협동학습의 목적을 촉진하기 = 390
요약 = 393
토론 및 연습문제 = 397
10. 학급경영 / 번역자 : 박승배
신뢰 획득과 지도자 되기 : 전통적인 방법 = 400
전문가적 힘 = 401
인간적 힘 = 401
법적 힘 = 402
보상적 힘 = 402
통제적 힘 = 403
힘을 사용하는 방법 = 403
집단 발전의 단계 = 403
1단계 : 형성하기 = 404
2단계 : 스토밍하기 = 404
3단계 : 규준 정하기 = 406
4단계 : 수행하기 = 409
효과적인 학급 분위기 조성 = 409
사회환경 = 410
조직환경 = 412
규칙과 절차의 설정 = 413
학급경영의 문제영역 = 418
학생 모니터링 = 418
관심사 전환 = 420
과제 부과 = 420
수업 마무리 = 424
학생의 다양성과 학급경영 = 426
첫 수업계획 = 429
시작종이 울리기 전에 할 일 = 430
자기 소개 = 431
학급경영 업무 = 431
규칙과 기대 = 432
과목 소개 = 432
수업 종료 = 432
요약 = 433
토론 및 연습문제 = 435
11. 학급 질서유지와 훈육 / 번역자 : 박승배
학급경영 체제 = 440
학급경영에서의 인간주의적 전통 = 442
기놋의 적절한 대화 = 442
글래서의 협동학습 = 444
학급경영에서의 행동분석 응용 전통 = 446
행동수정 = 446
학급경영 전통 = 449
학급경영에 대한 통합된 접근 = 452
낮은 수준의 학급통제 = 452
지속되는 문제행동 다루기 = 455
잘못된 행동을 하는 학생들에 대한 대응 = 455
교실에 적용된 강화이론 = 457
처벌 = 463
학부모-교사 징계 회의 = 465
학부모 회의 진행 = 466
학부모 회의의 평가 = 468
교실 내 문제행동에 미치는 가족과 가정의 영향 = 468
문화적으로 민감한 학급경영 = 469
요약 = 472
토론 및 연습문제 = 474
12. 학생 평가 : 객관식 검사 및 서답형 검사 / 번역자 : 부재율
규준참조검사(규준지향검사)와 준거참조검사(준거지향검사) = 478
규준참조검사와 준거참조검사의 비교 = 482
검사 청사진 = 483
객관식 검사문항 = 484
진위형 = 484
연결형 = 486
선다형 = 488
고등 인지능력을 측정하는 선다형 문항 = 490
완성형 = 492
객관식 문항 유형의 장점과 단점 = 493
서답형 문항 = 493
응답 비제한형 = 493
응답 제한형 = 495
언제 서답형 문항을 사용해야 하는가? = 495
서답형 문항의 개발과 사용을 위한 권장사항 = 496
서답형 문항의 장점과 단점 = 498
서답형 문항의 채점 = 499
고등 능력을 재는 서답형 문항의 채점준거 = 500
검사지 만들기 = 502
검사지 개발을 위한 지침 = 502
타당도, 신뢰도, 정확도 = 504
타당도의 종류 = 505
신뢰도의 종류 = 506
평점과 평정체제 = 508
다른 학생들과의 비교 = 508
설정된 기준과의 비교 = 508
적성과의 비교 = 509
노력과의 비교 = 510
향상도와의 비교 = 510
표준화 검사 = 511
표준화 검사에서의 새로운 동향 = 512
학습은 과정이다 = 513
학습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 513
학습은 사회적 맥락에서 일어난다 = 513
학습평가는 교수적 타당도를 가져야 한다 = 514
요약 = 515
토론 및 연습문제 = 519
13. 수행평가와 포트폴리오 / 번역자 : 부재율
수행평가 : 직접적인 능력 측정 = 522
수행평가는 과정과 산출물을 평가한다 = 523
수행평가는 수업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524
수행평가는 정의적, 사회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다 = 524
수행평가 개발하기 = 527
1단계 : 무엇을 평가할지를 정하기 = 527
2단계 : 평가맥락 설계하기 = 531
3단계 : 채점척도 규정하기 = 535
4단계 : 검사의 한정조건 규정하기 = 542
포트폴리오 평가 = 544
포트폴리오의 사용 근거 = 545
1단계 : 포트폴리오의 목적 결정하기 = 546
2단계 : 인지적 기능과 성격 규명하기 = 546
3단계 : 누가 포트폴리오를 계획할 것인지 결정하기 = 547
4단계 : 어떠한 산출물을 그리고 각 산출물마다 몇 개의 견본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지 결정하기 = 547
5단계 : 포트폴리오 채점척도 만들기 = 549
6단계 : 모든 포트폴리오 평정을 합하는 절차 만들기 = 556
7단계 : 병참술 결정하기 = 559
최종 협의회 계획하기 = 559
수행평가와 통지표 평점 = 560
맺는말 = 564
요약 = 565
토론 및 연습문제 = 566
찾아보기 = 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