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어의 음 변화

영어의 음 변화 (4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명숙
서명 / 저자사항
영어의 음 변화 = Sound changes in English / 김명숙 지음.
발행사항
서울 :   夏雨 ,   2002.  
형태사항
323 p. ; 22cm.
ISBN
8976992342
일반주기
용어색인 : p. 315-320  
인명색인 : p. 321-323  
서지주기
영어역사음운론 참고문헌 : p. 269-314
000 00728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793434
005 20100805033445
007 ta
008 010813s2002 ulk 001a kor
020 ▼a 8976992342 ▼g 93740 : ▼c \12000
035 ▼a KRIC08050246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9 1 ▼l 111229709 ▼l 111229710 ▼l 121073637 ▼f 과학
056 ▼a 741 ▼2 4
082 0 4 ▼a 421 ▼2 21
090 ▼a 421 ▼b 2002
100 1 ▼a 김명숙 ▼0 AUTH(211009)111850
245 1 0 ▼a 영어의 음 변화 = ▼x Sound changes in English / ▼d 김명숙 지음.
260 ▼a 서울 : ▼b 夏雨 , ▼c 2002.
300 ▼a 323 p. ; ▼c 22cm.
500 ▼a 용어색인 : p. 315-320
500 ▼a 인명색인 : p. 321-323
504 ▼a 영어역사음운론 참고문헌 : p. 269-314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112297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112297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410175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210736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112297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112297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410175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5(동양서)/ 청구기호 421 2002 등록번호 12107363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명숙(지은이)

소리공학연구소 참여교수로서 인간의 목소리와 언어를 탐구하는 인문학자이다. 제주에서 태어나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위스콘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영어학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현재 숭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생들의 영어 발음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법 개발과 영어의 역사적 변화 과정을 연구하고 있다. 그 성과를 담은 《영어의 음 변화》(2001)는 학술원 우수도서,〈영어 철자와 발음의 연계를 위한 연구〉(2000)는 한국영어영문학회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머리말
제Ⅰ장 음 변화와 음운이론 = 1
 1. 역사음운론 연구사 = 3
  1.1 고대 인도의 파니니 문법 = 6
  1.2 고대 그리스와 로마 문법 = 7
  1.3 중세 라틴 문법 = 8
  1.4 초기영문법 = 9
  1.5 소장파 문법학자 = 11
  1.6 전통문법 = 12
  1.7 구조주의 언어학 = 14
  1.8 생성문법 이후 = 18
 2. 음 변화에 대한 이론적 설명 = 21
  2.1 소장 문법학파 = 22
  2.2 구조주의 학파 = 27
  2.3 생성문법 학파 = 33
  2.4 어휘 확산 이론 = 39
 3. 최적성 이론과 음 변화 = 41
  3.1 제약의 종류와 분류 = 41
  3.2 최적성 이론에서의 음 변화 = 44
 4. 그 외의 음 변화에 대한 접근방법들 = 47
  4.1 지역어와 언어지도 = 47
  4.2 사회언어학 = 48
  4.3 언어 접촉 = 51
제Ⅱ장 음 변화의 원인과 종류 = 53
 1. 음변화의 원인 = 55
  1.1. 음 구조의 변화 = 56
  1.2. 발음상의 편이 = 59
  1.3. 청자 인지도의 극대화 = 60
  1.4. 화자의 부분적 인식 = 61
  1.5. 다른 언어와의 접촉 = 61
  1.6. 사회적인 원인 = 62
 2. 음 변화의 종류 = 64
  2.1. 동화와 이화 = 65
  2.2. 강화와 약화 = 67
  2.3. 음의 탈락과 첨가 = 72
  2.4. 음위전환 = 74
  2.5. 모음의 변화 = 74
 3. 음 변화에 대한 증거 = 78
  3.1. 문헌자료 = 80
  3.2. 간접적인 증거들 = 85
 4. 음 변화의 예외 = 87
제Ⅲ장 영어의 음 변화 = 91
 1. 영어의 시기별 구분 = 93
 2. 고대영어 이전 시기의 변화 = 95
  2.1. 그림의 법칙 = 97
  2.2. 베르너의 법칙 = 99
 3. 고대영어 시기의 변화 = 100
  3.1. 자음의 변화 = 100
  3.2. 모음의 변화 = 103
 4. 중세영어 시기의 변화 = 108
  4.1. 자음의 변화 = 108
  4.2. 모음의 변화 = 111
 5. 초기 현대영어 시기의 변화 = 117
  5.1. 자음의 변화 = 117
  5.2. 모음의 변화 = 120
  5.3. 모음대추이 = 122
 6. 현대영어 시기의 변화 = 125
  6.1. 영국 영어 = 125
  6.2. 미국 영어 = 127
제Ⅳ장 음 변화 연구 = 129
 1. 음 변화에 대한 설명의 한계 = 131
  1.1. 영어음운사 연구자료 = 131
  1.2. 자료의 종류와 시대별 특성 = 133
  1.3. 자료와 이론 = 140
  1.4. 설명의 한계 = 147
 2. 중세영어 열린 음절에서의 모음 장음화 = 148
  2.1. 종래의 이론들 = 150
  2.2. 종모음 약화로 인한 보상적 장음화로서의 MEOSL = 158
  2.3. 다른 변화들과 연결선상에서 보는 MEOSL = 163
 3. 모음대추이 = 167
  3.1. 하나의 총체적 변화로서의 모음대추이 = 168
  3.2. 여러 개의 개별적 변화로서의 모음대추이 = 175
  3.3. 상호 비교를 통한 연구의 필요성 = 180
 4. 도약적 음운 변화 = 181
  4.1. 음 변화의 도량체계 = 183
  4.2. MEOSL에서의[i]저음화 현상 = 186
  4.3. 모음대추이에서의 고음화 현상 = 190
  4.4. 다양한 도량체계 연구의 필요성 = 193
 5. 유추변화 = 193
  5.1. 비례적 분석 = 195
  5.2. 규칙 단순화 분석 = 197
  5.3. 유추변화의 제약조건들 = 199
제Ⅴ장 음과 철자의 관계 = 211
 1. 영어 철자와 발음의 연계 = 213
  1.1. 모음 변화 = 218
  1.2. 철자의 변화 = 226
  1.3. 이중철자를 갖는 단어 모음 = 230
  1.4. 연구의 활용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 = 238
  1.5. 학습현장에서의 철자교육 = 244
 2. 어말 묵음〈e〉 = 251
  2.1. 어말 묵음〈e〉의 네 가지 기능 = 253
  2.2. 어말 묵음〈e〉 삭제 규칙 분석 = 260
  2.3. 영어사를 통한 영어 철자체계의 이해 = 267
제Ⅵ장 영어역사음운론 참고문헌 = 269
색인 =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