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72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00792949 | |
005 | 20100805032329 | |
007 | ta | |
008 | 021114s2002 ulka 001a kor | |
020 | ▼a 8974110768 ▼g 93800 : ▼c \9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27813 ▼f 개가 ▼l 111227814 ▼f 개가 |
082 | 0 4 | ▼a 801 ▼2 21 |
090 | ▼a 801 ▼b 2002 | |
100 | 1 | ▼a 김은철 ▼0 AUTH(211009)89160 |
245 | 1 0 | ▼a 문학의 이해 / ▼d 김은철 ; ▼e 백운복 [공저]. |
260 | ▼a 서울 : ▼b 새문사 , ▼c 2002. | |
300 | ▼a 292 p. : ▼b 삽도 ; ▼c 23cm.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백운복 ▼0 AUTH(211009)22610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2002 | Accession No. 1112278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 2002 | Accession No. 1112278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은철(지은이)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영남대학교 대학원 문학석사, 문학박사 2021년 현재 상지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저서 : 『콤마의 추억』, 『갈 수 없는 그곳』, 『한국 근대시 연구』 등
백운복(지은이)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석·박사과정 수료(문학박사). <동아일보>신춘문예(1982), 월간 《시문학》을 통해 등단(문학평론가). 호주 그리피스대학교 언어학부 객원교수 역임(2004.9.~2005.8.). 현재 서원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주요 저서로 《서정의 매듭풀이》(1993), 《시의 이론과 비평》(1997), 《한국서정문학론》(공저, 1997), 《현대시의 논리와 변명》(2001), 《문학의 이해》(공저, 2002), 《문예사조의 이해》(공저, 2003), 《현대시의 이해와 감상》(2006), 《글쓰기, 이렇게 하면 된다》(2006), 《한국현대시론》(2009), 《아름다운, 너무나 아름다운 세상》(2014), 《시가 위로의 말을 건넨다》(2016)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Ⅰ. 문학일반론 제1절 문학과 문학연구 제2절 문학의 정의 1. 문학이란 무엇인가 = 17 2. 광의의 문학 = 19 3. 협의의 문학 = 22 제3절 문학의 기원 1. 심리학적 기원설 = 25 (1) 모방본능설 = 25 (2) 유희본능설 = 26 (3) 흡인본능설 = 27 (4) 자기표현본능설 = 28 2. 사회학적 기원설 = 28 3. Ballad Dance설 = 30 제4절 문학의 특성 1. 항구성과 보편성 = 31 2. 개성 = 33 제5절 문학의 기능 1. 왜 문학활동을 하는가 = 35 2. 쾌락적 기능 = 36 3. 교육적 기능 = 38 4. 문학의 본질적 기능 = 40 제6절 대표적 문학관 1. '모방'에 대한 두 가지 인식 = 42 (1) 플라톤의 모방개념 = 42 (2)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방개념 = 44 2.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 45 (1) 예술을 위한 예술 = 45 (2) 인생을 위한 예술 = 47 제7절 문학의 요소 1. 미적 정서(美的 情緖) = 49 2. 상상력 = 51 3. 사상성 = 53 4. 형식 = 54 제8절 문학의 언어 1. 문학과 언어 = 56 2. 과학적 언어와 문학적 언어 = 57 제9절 문학의 장르 1. 장르의 개념 = 60 2. 유개념과 종개념 = 61 3. 장르의 제이론 = 64 4. 국문학의 장르 = 66 (1) 2분설 = 66 (2) 3분설 = 66 (3) 4분설 = 67 제10절 문학과 미의 유형 1. 문학의 미 = 68 2. 미적 범주 = 70 3. 문학적 미의 유형 = 71 (1) 숭고미 = 71 (2) 우아미 = 72 (3) 비장미 = 72 (4) 희극미 = 73 제11절 문학에의 접근방향 Ⅱ. 시론 제1절 시의 정의 1. 시의 개념 = 80 2. 시의 용어 = 82 제2절 시의 언어 1. 시적 인식과 언어 = 82 2. 시어의 특성 = 87 (1) 내포성 = 87 (2) 애매성과 모호성 = 89 제3절 시의 유형 1. 형태상의 분류 = 92 (1) 정형시 = 92 (2) 자유시 = 93 (3) 산문시 = 94 2. 내용상의 분류 = 95 (1) 서정시 = 95 (2) 서사시 = 97 (3) 극시 = 99 제4절 운율 1. 용어의 개념 = 100 2. 압운 = 101 3. 율격 = 103 (1) 고저율 = 104 (2) 강약률 = 104 (3) 장단율 = 107 4. 한국시가의 율격 = 107 제5절 이미지 1. 이미지의 개념 = 109 2. 이미지의 유형 = 111 (1) 정신적 이미지 = 111 (2) 비유적 이미지 = 114 (3) 상징적 이미지 = 115 3. 이미지의 기능 = 116 제6절 비유 1. 비유의 원리 = 117 2. 직유 = 119 3. 은유 = 120 제7절 상징 1. 상징의 개념 = 124 2. 상징의 유형 = 126 (1) 개인적 상징 = 126 (2) 관습적 상징 = 128 (3) 원형상징 = 129 제8절 현대시론의 양상 1. 현대시의 경향 = 131 2. 신고전주의 = 132 3. 엘리어트의 시론 = 134 4. 신비평의 시론 = 135 Ⅲ. 소설론 제1절 소설의 정의 1. 기원과 명칭 = 140 2. 소설의 정의 = 142 제2절 소설의 특성 1. 허구성 = 143 2. 진실성 = 145 3. 인간성의 탐구와 해석 = 147 제3절 소설의 요소 1. 플롯 = 150 (1) 플롯의 개념 = 150 (2) 플롯의 전개 = 151 2. 성격 = 155 (1) 성격의 의미 = 155 (2) 성격의 유형 = 157 3. 주제 = 159 (1) 주제의 의미 = 159 (2) 동기의 구체화 = 161 (3) 주제의 파악방법 = 163 4. 소설의 기타용어 = 166 (1) 환경 = 166 (2) 시점 = 167 제4절 소설의 유형 1. 띠보데의 3분류 = 171 2. 뮤어의 3분류 = 172 3. 단편과 장편 = 174 제5절 현대소설의 경향 1. 내면세계의 탐구 = 176 2. 행동주의 소설 = 178 3. 앙티 로망 = 179 Ⅳ. 희곡론 제1절 희곡의 정의 1. 희곡의 의미 = 182 2. 희곡과 연극 = 183 3. 희곡의 기원 = 185 제2절 희곡의 제약과 컨벤션 1. 희곡의 제약 = 187 2. 컨벤션 = 189 (1) 세팅(setting)의 컨벤션 = 190 (2) 인물과 행동의 컨벤션 = 190 (3) 의상의 컨벤션 = 191 (4) 언어의 컨벤션 = 191 제3절 희곡의 구성요소 1. 인물 = 192 2. 행동 = 194 3. 대화 = 195 4. 플롯 = 198 제4절 희곡의 종류 1. 비극 = 202 2. 희극 = 206 3. 희비극 = 210 제5절 희곡의 전개양상 1. 고전극 = 211 2. 근대극 = 213 3. 현대극 = 214 Ⅴ. 수필론 제1절 수필의 정의 1. 수필의 개념 = 218 2. 수필과 에세이 = 223 제2절 수필의 종류 1. 2종류설 = 227 2. 3종류설 = 228 3. 5종류설 = 228 4. 8종류설 = 229 5. 10종류설 = 230 제3절 수필의 특성 1. 자유로운 형식 = 233 2. 다양한 제재 = 235 3. 산문의 문학 = 236 4. 개성의 노출 = 238 5. 유머와 위트 = 239 Ⅵ. 비평론 제1절 비평의 본질 1. 비평의 개념 = 242 2. 비평의 기능 = 246 (1) 감상 = 247 (2) 해석 = 248 (3) 평가 = 250 제2절 비평의 양상 및 유형 1. 비평의 양상 = 251 (1) 이론비평 = 251 (2) 실천비평 = 252 2. 비평의 유형 = 254 (1) 시플리(J. T. Shipley)의 비평유형 = 254 (2) 띠보데(A. Thibaudet)의 비평유형 = 254 (3) 프라이(N. Frye)의 비평유형 = 255 (4) 그레브스타인(S. N. Grebstein)의 비평유형 = 255 (5) 와트슨(G. Watson)의 비평유형 = 256 (6) 궤린(W. L. Guerin)의 비평유형 = 256 제3절 비평의 방법 1. 역사주의 비평 = 257 2. 형식주의 비평 = 263 3. 사회문화적 비평 = 268 4. 심리주의 비평 = 272 5. 신화 및 원형비평 = 278 찾아보기 =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