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33namccc200313 k 4500 | |
001 | 000000792888 | |
005 | 20100805032310 | |
007 | ta | |
008 | 020702s2002 ulk 001a kor | |
020 | ▼a 8984770914 ▼g 93710 : ▼c \10000 | |
035 | ▼a KRIC08236555 | |
040 | ▼a 211029 ▼c 21102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22678 ▼f 개가 ▼l 111222679 ▼f 개가 |
082 | 0 0 | ▼a 401.43 ▼2 21 |
090 | ▼a 401.43 ▼b 2002a | |
100 | 1 | ▼a Hajicova, Eva |
245 | 1 0 | ▼a 주제-초점, 삼분 구조, 의미 내용 / ▼d Eva Hajicova ; ▼e Barbara H. Partee ; ▼e Petr Sgall 지음 ; ▼e 고석주 옮김. |
246 | 1 9 | ▼a Topic-focus articulation, tripartite structures, and semantic content. c1998. |
260 | ▼a 서울 : ▼b 월인 , ▼c 2002. | |
300 | ▼a 295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255-267)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Focus (Linguistics) |
650 | 0 |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x Topic and comment. |
650 | 0 | ▼a Semantics. |
700 | 1 | ▼a Partee, Barbara Hall. |
700 | 1 | ▼a Sgall, Petr , ▼d 1926- ▼0 AUTH(211009)36387 |
700 | 1 | ▼a 고석주, ▼e 역. ▼0 AUTH(211009)84962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1122267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06-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112226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410380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511536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511536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1122267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06-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112226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4103802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511536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 Call Number 401.43 2002a | Accession No. 15115366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Eva Hajicova(지은이)
<주제-초점, 삼분 구조, 의미 내용>
고석주(옮긴이)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공군사관학교 전임강사와 듀크대 방문학자 역임. 현 연세대(미래캠퍼스)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역서와 공저역서로 <격>(한신문화사, 1998), <소쉬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1999, 보고사), <의미구조론>(한신문화사, 1999), <정보구조와 문장형식>(월인, 2000),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오류 분석>(한국문화사, 2004),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한국문화사, 2004),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연어사전>(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보고사, 2015)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감사의 글 = 3 1. 도입 = 9 1.1 목적 = 9 1.2 배경 = 10 1.3 논의의 구성 = 18 2. 주제- 초점 표명과 삼분 구조의 관계에 대한 탐구를 향하여 = 25 2.1 삼분 구조 : 배경 = 26 2.2 삼분 구조와 주제 - 초점 구조 = 34 2.2.1 배경 = 34 2.2.2 어떤 구성이 초점에 민감한가? = 40 2.2.3 대용어, 전제, 맥락 - 의존에 대한 주제 - 초점 구조와 정의역 선택의 연관 = 44 2.2.4 주제 - 초점 표명과, 화용적 해석과 동적 의미 해석에서의 그 중요성 = 48 2.2.5 세 가지 기본적 예의 형식화 = 50 2.3 주제 - 초점 표명, 맥락에서 문장의 고정화, 의미론 = 82 2.3.1 주제 - 초점 표명, 의사소통 역량, 맥락적 결속 = 82 2.3.2 주제 - 초점 표명의 의미적 관련성 = 91 2.3.3 보충어 종류들의 체계적 순서화 = 100 2.3.4 주제 - 초점 표명, 전제, 지시 = 106 2.3.5 위계적 의사소통 역량과 투사성 = 109 2.3.6 대조적 주제와 좌측 전위 = 112 2.3.7 요약 = 114 3. 공통 배경과 공유 가정에 대한 단평 = 118 3.1 언어 의미 = 119 3.2 합성성 = 130 4. 공동 작업의 장애물들 = 133 4.1 BHP의 관점에 따른 초기 관점의 장애물 = 133 4.2 HS의 관점에 따른 초기의 장애물 = 136 4.3 의사소통 역량의 부분적 순서화 대 재귀적 분지 구조 = 140 4.4 only와 다른 초점사들의 부착 = 144 4.4.1 HS의 관점 = 145 4.4.2 BHP의 관점 = 146 5. 대화, 논의의 공통 기반을 향한 전진 = 149 5.1 주제와 평언, 배경과 초점, 영향권의 개념 = 149 5.1.1 "주제-평언"과 "배경-초점" : 둘인가 하나인가? = 149 5.1.2 초점, 범위, 배경 = 153 5.2 "초점-만감성", "초점사" : 이것들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점 = 164 5.2.1 초점 - 민감성이란 무엇인가? = 164 5.2.2 설명의 순서와 무형의 초점과/이나 추상적 초점사에 대한 가정에서의 문제 = 170 5.3 주제 - 초점 표명의 보편성/편협성의 문제 = 173 6. 제안된 가설 몇 가지와 그 검토 = 185 6.1 최초 가설 = 186 6.2 문제가 있는 경우들에 대한 논의 = 192 6.2.1 내포된 초점과 대리 초점 = 192 6.2.2 초점사의 초점 = 195 6.2.3 Taglicht의 예들 = 199 6.2.4 다른 특별한 경우들 = 205 6.2.5 명사군에서의 초점사 = 210 6.2.6 요약 = 212 6.3 주제 안에 있는 초점사 = 215 6.3.1 주제 안에 있는 초점사의 초점 = 215 6.3.2 주제 안에 있는 국부적 초점은 구 강세를 가질 수 있다 = 224 6.3.3 주제 - 초점 표명의 재귀성과 주제 안에서 초점사의 초점의 재출현 = 229 6.4 초점의 한 요소로서의 초점사 = 232 6.5 결론 = 233 6.5.1 가설 재검토 = 235 6.5.2 명사구 - 부가가 있을 때와 없을 때 = 240 6.5.3 예문의 검토 = 241 7. 앞으로의 방향 = 246 7.1 문장 구조와 인지 내용 = 246 7.2 주제 - 초점 표명의 재귀성 = 248 7.3 선형적 혹은 부분적 순서화로서의 의사소통 역량 = 249 7.4 초점 - 민감성의 본질 = 250 7.5 의존성 대 성분성과 범주 무법 = 253 7.6 앞으로의 논의로 남겨진 다른 문제들 = 253 참고문헌 = 255 약어목록 = 268 찾아보기 = 269 영어 술어 찾아보기 =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