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심리학이란
제1절 행동과학으로서 심리학 = 14
제2절 심리학의 목적 = 14
제3절 심리학의 연구방법 = 15
1) 실험법(experimental method) = 15
2) 관찰법(observation method) = 16
3) 검사법(test method) = 17
4) 조사법(survey method) = 18
제4절 심리학의 전문분야 = 19
제2장 심리학의 역사
제1절 구조주의 심리학(Structuralism Psychology, 구성주의, 요소주의, 내관주의) = 24
제2절 기능주의 심리학(Functionalism Psychology) = 24
제3절 행동주의 심리학(Behaviorism Psychology) = 25
제4절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 = 26
제5절 정신분석학적 심리학(Freudian Psychology) = 27
제3장 발달
제1절 발달(development)이란 = 30
제2절 유아기 = 31
1) 유아기(乳兒期 ; 생후 1년까지) = 31
2) 유아기(幼兒期 ; 생후 1년부터 초등학교 입학 전 까지) = 33
제3절 아동기(兒童期 ; 초등학교 입학부터 초등학교 졸업까지) = 35
1) 사고의 발달 = 35
2) 사회성의 발달 = 36
제4절 사춘기·청년기 = 37
1) 신체의 발달 = 38
2) 사고의 발달 = 38
3) 자아의 발달 = 39
제5절 성인기 = 41
제6절 노년기 = 42
제4장 학습
제1절 고전적 조건형성(classical conditioning) = 44
제2절 도구적 조건형성(instrumental conditioning) = 45
제3절 학습된 무력감(learned helplessness) = 48
제4절 관찰학습 = 49
제5장 기억
제1절 기억(memory)의 과정 = 52
제2절 기억(memory)의 정보처리 모델 = 52
1) 기억(memory)의 저장고 = 52
2) 기억(memory)의 범위 = 54
3) 리허설(rehearsal)과 기명(memorization)학습 = 55
제3절 계열 위치 효과(serial order effect) = 56
제4절 에피소드 기억과 의미 기억 = 57
제5절 망각(forgetting) = 57
1)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 = 57
2) 망각의 원인 = 59
3) 회상(reminiscence) = 60
제6장 지능
제1절 지능(intelligence)이란 = 62
제2절 지능의 평가 = 63
제3절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6
1) 유전 = 66
2) 환경 = 67
제4절 지능평가 결과의 이용 = 68
제7장 성격
제1절 성격(character)이란 = 72
제2절 성격 유형론 = 73
1) Kretschmer의 체격기질 형태론 = 73
2) Jung의 향성론(向性論) = 74
제3절 성격 특성론 = 76
1) Allport의 특성론 = 77
2) Cattell의 인격 특성론 = 77
3) Guilford의 특성론 = 77
제4절 성격의 형성 = 78
1) 영향을 미치는 요인 = 78
제5절 성격의 진단 = 81
제8장 적응
제1절 적응(adjustment) = 86
제2절 기본적 요구 = 87
1) 생리적 욕구 = 87
2) 사회적 욕구 = 88
3) 자아적 욕구 = 90
제3절 갈등(conflict) = 91
제4절 욕구불만(frustration) = 92
1) 욕구불만(frustration)의 원인 = 92
2) 욕구불만 내성(frustration tolerance) = 93
제5절 적응기제(방위기제) = 94
제9장 카운슬링
제1절 카운슬링(Counseling)이란 = 100
1) 카운슬링(counseling)의 분류 = 100
2) 학교 카운슬링(counseling) = 101
제2절 카운슬링(counseling)의 영역 = 102
1) 학업에 관한 상담 = 102
2) 진로에 관한 상담 = 103
3) 적응에 관한 상담 = 105
제3절 카운슬러(counselor)의 역할과 자질 = 106
1) 카운슬러(counselor)의 역할 = 106
2) 카운슬러(counselor)의 자질 = 107
제4절 카운슬링(counseling)의 기법 = 108
1) 내담자(client) 중심 카운슬링(counseling) = 108
2) 지시적 카운슬링(counseling) = 109
3) 절충적 카운슬링(counseling) = 109
4) 개발 카운슬링(counseling) = 110
5) 기타 기법 = 110
제10장 교육평가
제1절 교육활동의 목적 = 112
제2절 교육평가의 절차 = 113
제3절 신뢰도와 타당도 = 115
제4절 평가기준과 평가방법 = 116
1) 평가기준 = 116
2) 평가 방법 = 119
제5절 교육평가의 종류와 대상 = 120
1) 학생에 관한 평가 = 120
2) 교육 실전(제)에 관한 평가 = 122
제11장 학습
제1절 학력이란 = 124
제2절 학력의 평가 = 126
1) 학력평가의 의의 = 126
2) 종래의 학력평가 방법 = 127
제12장 학습지도
제1절 학습의 동기부여 = 134
제2절 학습지도의 형태 = 135
제3절 학습지도 방법 = 137
1) 프로그램 학습 = 137
2) 발견학습 = 138
3) 유의미 수용학습(有意味受容學習) = 138
4) CAI(Compute-Assisted Instruction) = 139
제4절 개인차를 고려한 지도 = 140
제13장 교사의 역할과 정신건강
제1절 교사의 역할 = 144
제2절 교사의 정신건강 = 148
1) 교사의 만족감과 불만 = 148
2) 부적응 행동 = 149
제14장 신체장애 아동
제1절 시각장애 아동 = 152
1) 시각장애란 = 152
2) 시각장애의 정도 = 153
3) 시각장애 아동의 심리특성 = 155
제2절 청각장애 아동 = 157
1) 청각장애란 = 157
2) 청각장애의 정도 = 159
3) 청각장애 아동의 심리특성 = 160
제3절 언어장애 아동 = 163
1) 언어장애란 = 163
2) 언어장애의 정도 = 164
3) 언어장애 아동의 심리특성 = 164
제4절 지체부자유 아동 = 165
1) 지체부자유란 = 165
2) 지체부자유의 정도 = 166
3) 지체부자유의 심리특성 = 171
제5절 병·허약 아동 = 172
1) 병·허약이란 = 172
2) 병·허약의 정도 = 173
3) 병·허약아의 심리특성 = 173
제15장 발달장애 아동
제1절 정신지체 아동 = 176
1) 정신지체란 = 176
2) 장애의 정도 = 178
3) 심리적 특성 = 180
제2절 행동·정서장애 아동 = 182
1) 행동·정서장애란 = 182
2) 자폐아동 = 183
3) 함묵아동 = 185
제16장 집단 따돌림과 등교거부
제1절 학급의 구조 = 188
제2절 집단 따돌림 = 190
1) 집단 따돌림의 양측 = 191
2) 집단 따돌림의 대응책 = 193
제3절 등교거부 = 194
1) 등교거부의 원인 = 195
2) 발견과 대응 = 196
제17장 직업교육
제1절 직업교육이란 = 200
1) [노동]의 의미 = 200
2) [사회활동]으로서의 의미 = 200
3) [경제활동]으로서의 의미 = 200
4) [심리적활동]으로서의 의미 = 201
제2절 직업지도의 사고방식 = 201
제3절 직업지도의 실제 = 202
제4절 직업적성 = 203
1) 직업적성이란 = 203
2) 직업적성의 평가방법 = 204
제18장 독서의 심리
제1절 독서생활의 실태 = 208
제2절 독서흥미의 발달 = 209
1) 독서흥미에 대한 남녀 차 = 209
2) 독서흥미의 발달단계 = 210
제3절 독서능력의 발달 = 213
1) 독서능력이란 = 214
2) 읽기 준비 = 214
3) 독서능력의 발달단계 = 215
제19장 장애이해의 심리
제1절 장애인에 대한 태도 = 218
1) 장애인에 대한 태도연구의 동향 = 218
2) 장애인에 대한 태도 측정방법 = 221
제2절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원인 및 이해의 단계 = 224
1)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원인 = 224
2) 장애이해의 단계 = 226
3) 장애이해의 심리적 측면 = 228
4) 편견해소를 위한 연구방법 = 230
제20장 노화와 노인의 심리
제1절 노인의 신체적 특성 = 236
제2절 노인의 심리적 특성 = 236
제3절 노인의 사회적 특성 = 242
1) 지위 및 역할의 변화 = 243
2) 노인의 지위 및 역할과 인생주기 = 245
3) 노년기의 발달과업 = 245
참고문헌 = 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