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 = 15
Ⅰ. 문학예술의 국가관리 = 17
1. 문화예술 관리 기관 : 로동당 선전선동부와 문화성 = 18
2. 문학예술인 조직 : 문학예술인 총 동맹 = 20
3. 문학예술 작품 검열 = 24
4. 예술인 상훈칭호와 급수제도 = 27
Ⅱ. 작가, 예술인 양성체계 = 37
1. 예술가 교육체계 = 37
1) 평양음악무용대학 = 39
2) 평양미술대학 = 40
3) 평양연극영화대학 = 42
4) 평양교예학교 = 43
2. 작가등단 = 44
Ⅲ. 군중문화사업 = 47
1. 사회ㆍ문화의 본보기와 따라배우기 = 47
1) 사회운영 시스템으로 본보기 = 47
2) 문화예술의 본보기 = 48
2. 군중문화사업과 인민성 = 51
3. 예술소조활동을 통한 군중문화사업 = 55
4. 언론을 통한 군중문화사업 = 58
5. 국가명절의 군중문화활동 = 60
Ⅳ. 북한 문화정책의 흐름 = 63
1. 해방∼1960년 : 사회주의 건설 = 63
2. 1960년대 : 유일사상 확립 = 66
3. 1970∼1980년대 초반 : 주체사상 완성기 = 67
4. 1980년대 중반∼1990년초 = 68
5. 1990년대 이후 : 조선민족제일주의의 등장과 확산 = 69
Ⅴ. 주요 문예단체 = 73
1. 4ㆍ15 문학창작단 = 73
2. 국립민족예술단 = 74
1) 민족가극 = 75
2) 무용 = 76
3. 국립연극단 = 78
4. 피바다가극단 = 80
5. 만수대예술단 = 82
6. 조선인민군협주단 = 85
7. 왕재산경음악단 = 87
8. 보촌보전자악단 = 90
9. 평양교예단 = 92
10. 조선국립교향악단 = 93
11. 청년협주단 = 95
12. 국립인형극단 = 96
13. 국립희극극단 = 96
14. 조선인민군 군악단 = 97
15. 조선인민군공훈합창단 = 98
16. 조선예술영화촬영소 = 98
17. 4ㆍ25 예술영화촬영소 = 100
18. 만수대창작사 = 101
제2부 북한 문학예술의 이론과 개념 = 103
Ⅰ. 문학예술의 기원과 갈래 = 105
1. 문학예술의 발생과 발전 = 105
2. 문학예술의 형태와 갈래 = 111
3. 북한 문화예술의 특성 = 113
1) 문학중심 = 113
2) 복합장르적 = 114
3) 대작중심 = 115
Ⅱ. 북한의 문예이론 = 119
1. 전형 = 119
2. 속도전 = 123
1) 속도전의 개념 = 123
2) 속도전의 사상, 기술, 지도 = 126
3. 종자론 = 129
1) 종자의 사상성 = 129
2) 작품형상에서 종자 = 131
4. 주체사실주의 = 133
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사상성 = 134
2)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민족 문제 = 137
5. 집체창작 = 140
1) 작가, 예술가에 대한 지도와 통제로서 집체창작 = 140
2) 수령형상을 위한 집체창작 = 144
6. 수령형상 = 145
1) 수령형상 문제의 대두 배경 = 146
2) 수령형상 문예의 정통화 과정 = 152
Ⅲ. 혁명문학예술의 정립 = 157
1. 혁명 문예의 대두 배경 = 158
2. 항일혁명의 정통 문예화 = 164
3. 항일혁명의 신비화 = 166
1) 혁명설화 = 166
2) 김정일 송시 = 166
3) 혁명사적지 조성 = 167
4) 구호나무 = 167
5) 김일성ㆍ김정일 관련 천연기념물 지정 = 168
Ⅳ. 주체문학예술 = 171
1. 주체사상의 형성과정 = 171
2. 주체사상에서 주체문예론으로 = 174
3. 주체문예이론 정립과정 《영화예술론》 = 179
4. 주체문예이론과 《주체문학론》 = 183
1) 주체문예이론의 요체 = 183
2) 주체문예이론의 정립과 체계화 = 185
3) 《주체문학론》 = 189
Ⅴ. 김정일과 문화예술 = 191
1. 김정일의 성장과 권력 장악 과정 = 191
1) 탄생 = 191
2) 학업 성장기 = 193
3) 정권 장악기 = 199
4) 김정일 시대의 개막 = 205
2. 주체적 문예이론의 정립과 실무지도 = 211
1) 당성 문제와 실무지도 = 211
2) 계급성ㆍ인민성의 문제와 실무지도 = 213
3) 민족적 형식과 내용의 창조 및 계승문제와 실무지도 = 216
4) 반미제국주의 투쟁문제와 실무지도 = 216
5) 탈이념적 실무지도 = 217
3. 김정일의 문화예술 관련 주요 문건 해제 = 217
Ⅵ. 문학예술과 민족 = 237
1. 민족적 정서와 민족적 문학예술의 발전 = 237
2. 민족 문화유산 계승의 원칙 = 239
3. 민족 문화정책 = 242
1) 정권수립기 : 정권정통성 모색을 위한 민족문화정책 = 242
2) 1970년대~1980년대 중반 : 민족문화의 주체적 수용 = 243
3) 1980년대 후반 이후 : 국가 지도 이념으로서 조선민족 제일주의 = 245
Ⅶ. 남북한 문화예술교류 = 249
1. 1985년 예술공연단 교환방문 = 250
2. 1990년 이후의 문화예술교류 = 253
Ⅷ. 김정일 시대의 북한 문학예술의 전개 = 259
1. 정치문제와 문학예술적 대응 = 260
2. 경제문제와 대응방식 = 265
1) 식량난 문제와 대흥단 정신 = 265
2) 경제난과 과학기술 = 267
3. 사회문제와 대응 방식 = 271
1) 생활문화의 다양화 = 271
2) 청소년 문화예술의 강화 = 273
참고문헌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