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과 평가

교육과정과 평가 (8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조승제 趙承濟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과 평가 / 조승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   2002.  
형태사항
391 p. : 삽도 ; 26 cm.
ISBN
8982876278 :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00namccc200217 k 4500
001 000000792020
005 20100805030211
007 ta
008 020919s2002 ulka 001a kor
020 ▼a 8982876278 : ▼g 93370 : ▼c \15000
035 ▼a KRIC08384739
040 ▼a 244003 ▼c 244003 ▼d 211009
049 1 ▼l 111227457 ▼f 개가 ▼l 111227458 ▼f 개가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2e
100 1 ▼a 조승제 ▼g 趙承濟 ▼0 AUTH(211009)16922
245 1 0 ▼a 교육과정과 평가 / ▼d 조승제 지음.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 ▼c 2002.
300 ▼a 391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2e 등록번호 11122745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2e 등록번호 111227458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14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조승제(지은이)

경기도 여주 출생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성호, 한종철, 김란수, 김인회, 이종성, 한준상 교수님 등의 지도를 받으며 조교를 하면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강원대학교 대학원에서 김수천, 이칭찬, 피정만, 이종각, 안범희 교수님 등의 지도를 받으면서 교사교육원, 교육연구소 등에서 연구하면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아주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등에서 강의를 하였다. 여주대학에서 대학발전기획위원장, 평생교육원장, 산학협력처/단장, 인재개발 본부장, 취ㆍ창업지원처장,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교수학습 연구대회 교양ㆍ예체능계열 평가위원장, 그리고 국정홍보자문위원을 역임했으며, 교육학 개론과 교육과정 등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국회 교육문화관광체육분과 입법지원 위원 등 [저 서] 교육학 개론(공저, 도서출판 하우, 1996) 정보화시대의 실기교육 방법론(여주대학교 출판부, 1996) 교육의 이해(여주대학교 출판부, 1997) 직업교육중심의 교육학 개론(삼광출판사, 2000) 직업교육과정과 실기교육방법론(삼광출판사, 2001) 교육과정과 평가(교육과학사, 2002) 전문직을 위한 교육학 개론(삼광출판사, 2004) 교과교육과 교수ㆍ학습 방법론(양서원, 2006)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삶과 앎(교육과학사, 2007) 2007년 문화관광부 학술부문 우수도서 선정 교육학과 삶의 쟁점: 생애개발(교육과학사, 2010) 역량기반교육과정과 실기교육방법의 쟁점(교육과학사, 2011) 교육과정과 삶의 쟁점: 인간관계론(교육과학사, 2013) NCS 의사소통과 지도성의 쟁점(삼광출판사, 2014) 취업과 창업 및 진로지도: NCS 기반 생애개발과 직무역량(양서원, 2017)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부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과 관점 = 15
  제1절 교육과정의 의미와 기능 = 16
   1. 교육과정의 의미 = 16
   2. 교육과정의 기능 = 21
  제2절 교육과정의 정의 = 25
   1. 정의와 연관된 논쟁 = 25
   2. 전통적 입장의 오류 = 27
   3. 새로운 입장과 교육과정 재 개념화 = 29
  제3절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 30
   1. 이분법적 논의와 일원론 = 31
   2. 이분법적 논의 이외의 견해 = 32
   3. 교육과정 선택의 과제 = 34
   4. 교육과정 적용의 과제 = 36
 제2장 교육과정 연구 방법 = 41
  제1절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 = 42
   1. 인간사에 관한 교육과정의 의미 = 42
   2. 교육과정 연구의 성격과 사례 = 44
   3. 교육과정 연구의 패러다임 논쟁 = 46
  제2절 교육과정 연구의 전통 = 47
   1. 과학주의 교육과정 연구의 논쟁 = 47
   2. 인본주의 교육과정 연구의 논쟁 = 49
   3.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논쟁 = 51
  제3절 지식정보공학과 교육과정 연구 = 53
   1. 교육과정의 본질 = 54
   2. 지식에 관련된 쟁점 = 55
   3. 지식정보공학과 인식론의 영향 = 57
   4. 지식정보공학과 교육과정 연구 방향 = 59
  제4절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와 전망 = 63
   1. 과학적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 63
   2. 인본주의적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 64
   3. 지식정보공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 65
   4.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 = 65
 제3장 교육과정 이론 = 69
  제1절 교육과정 이론의 특성 = 70
   1.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과제 = 70
   2. 교육과정 이론의 구조 = 72
  제2절 교육과정 이론의 정의와 형식 = 74
   1. 교육과정 이론 연구의 근거 = 74
   2. 교육과정 이론의 정의 = 76
   3. 교육과정 이론의 형식 = 79
  제3절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 81
   1. 타일러의 교육과정 이론 = 81
   2. 듀이의 교육과정 이론 = 84
   3. 브르너의 교육과정 이론 = 86
   4. 문화재생산론의 교육과정 이론 = 88
제2부 교육과정 구성과 개발
 제4장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 95
  제1절 교육과정 결정의 구조와 전략 = 96
   1. 교육과정 결정의 철학적 구조 = 96
   2. 교육과정 결정의 행정적 구조 = 100
   3. 교육과정 결정의 사회적 구조 = 102
  제2절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 = 104
   1. 교육목표의 설정 = 105
   2. 학습자의 필요 = 108
   3. 사회적인 요구와 교육철학적 근거 = 110
   4. 학습 경험과 교육평가 = 112
  제3절 철학적 유형과 태도의 점검 = 115
   1. 철학적 태도유형의 점검 = 116
   2. 다섯 가지 철학적 태도 = 119
 제5장 교육과정 개발 = 125
  제1절 교육과정 개발 전략 = 126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126
   2. 교육과정 개발의 특성 = 127
   3.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 = 131
   4. 교육과정 개발과정 = 133
  제2절 교육과정 개발 사례와 전망 = 137
   1. 교육과정 개발 사례 = 138
   2. 교육과정 개발 계획과 전망 = 142
  제3절 학교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 144
   1. 역사적 고찰 = 145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특성 = 146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 148
 제6장 교육과정 계획과 유형 = 155
  제1절 교육과정 계획 = 156
   1. 교육과정 계획과 영향 요인 = 156
   2. 교육과정 계획의 변화 동인 = 158
   3. 사회적 가치와 교과서 편찬 체제 = 160
  제2절 교육과정 전문가의 역할 = 162
   1. 보비트와 타일러의 견해 = 163
   2. 슈압의 견해 = 166
   3. 교사와 교수의 교육과정 전문가적인 책무 = 168
   4. 교육과정 상담가의 책무 = 171
  제3절 교육과정의 유형과 학습이론 = 175
   1.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형식도야 이론 = 175
   2. 경험중심 교육과정과 동일요소설 = 176
   3.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일반전이설 = 178
   4. 인간중심 교육과정과 대뇌기능이론 = 180
제3부 교육과정 시행과 개정
 제7장 교육과정 시행 = 187
  제1절 교육과정 시행의 연구 관점 = 188
   1. 교육목표 충실성 관점 = 188
   2. 상호적응 관점 = 191
   3. 교육과정 형성 관점 = 195
  제2절 교육과정 시행의 개념 = 200
   1. 시행의 개념적 정의와 기본 가정 = 200
   2. 교육과정 시행 요소와 방법론의 가정 = 202
   3. 교육과정 시행의 과제와 전망 = 203
  제3절 교육과정 시행의 실제 = 205
   1. 교육과정의 실제 유형 = 205
   2. 교육과정의 정의와 학교 경험 = 210
   3. 교과 편제의 조직과 시행 = 212
 제8장 교육내용과 교과목 운영 = 219
  제1절 교육내용과 방법 = 220
   1. 교육내용의 두 유형 = 220
   2. 교육방법의 두 유형 = 223
  제2절 교과목의 운영 실태 = 225
   1. 교과의 협동과 조정의 수준 = 226
   2. 언어학과 외국어 = 229
   3. 수학과 과학 = 232
   4. 사회교과, 예술, 체육 = 236
  제3절 교과서 개발과 활용 = 239
   1. 교과 연구를 위한 기본 틀 = 240
   2. 교과서의 가치와 내용 통제 = 243
   3. 교과서의 잠재적 교육내용 = 247
 제9장 교육과정 개정과 열린교육 = 253
  제1절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과 운영 현황 = 254
   1. 교육과정 개정 근거와 방향 = 254
   2.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 주요 사항 = 255
   3. 교육과정 개정의 특성 = 257
   4. 교육 목적 설정과 교육과정 운영 현황 = 258
  제2절 교육과정 개정과 종교, 정치, 실용주의 = 260
   1. 교육과정 개정 목적과 요인 = 260
   2. 종교적 신념과 국가 정치 = 262
   3. 실용주의와 학교 = 263
  제3절 교육과정 개정의 평등성과 수월성 = 266
   1. 학습자 중심의 교육개혁 = 266
   2. 창의성과 수월성 추구 = 268
   3.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 = 269
  제4절 열린교육의 운영 실제 = 272
   1. 열린교육의 세계적 동향 = 272
   2. 열린교육의 의미와 특성 = 275
   3. 열린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과제 = 279
  제5절 열린교육의 운영 사례 = 281
   1. 교육목표와 내용 = 281
   2. 교수방법 및 환경 구성 = 282
   3. 교육계획의 수립과 운영 = 283
제4부 교육과정 평가와 포스트모더니즘
 제10장 교육평가의 원리 = 291
  제1절 교육관과 교육평가의 시각 = 292
   1. 인간의 본성과 평가 = 292
   2. 교육 평가의 시각 = 294
  제2절 교육평가의 방법과 시기 = 295
   1. 교육평가의 기능과 모형 = 295
   2. 교육평가의 유형 = 298
   3. 교육평가의 시기와 도구의 측정학적 특징 = 300
  제3절 교육 목표의 분류와 진술 = 304
   1. 교육 목표의 분류 = 304
   2. 교육 목표의 진술 = 306
  제4절 객관식 평가와 주관식 평가 = 307
   1. 평가 방식의 주요 특성 = 307
   2. 평가방법에 따른 장·단점 = 309
  제5절 정의적 영역의 평가 = 311
   1. 정의적 영역 평가 방안 = 311
   2. EQ의 특성과 예시적 검사 = 314
 제11장 교육과정 평가 = 325
  제1절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와 방법 = 326
   1.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적 의의 = 326
   2. 교육과정에 대한 공식적 평가 = 330
  제2절 교육과정 평가의 기능과 영향 = 333
   1. 교육과정 평가 방법과 유형 = 333
   2. 교육과정 평가의 관계와 영향력 = 336
  제3절 교육과정 정책 = 341
   1. 교육과정 정책 목표 = 342
   2. 교육과정 의사결정 참여자 = 344
   3. 교육과정 결정과정 = 347
 제12장 포스트모더니즘과 평가 = 353
  제1절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 평가 원리 = 354
   1. 신세대의 주장과 교육과정 평가의 문제 = 354
   2.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경험의 특성 = 357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적 경험의 특징 = 362
  제2절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 366
   1. 과학적 합리성과 실천적 의사소통의 이성 = 367
   2. 상대적 가치와 창의력 신장 = 369
   3. 심미적 이성과 유미주의 = 370
  제3절 교직의 특성과 교원업적평가 = 373
   1. 교직의 특성과 교직관의 유형 = 373
   2. 강의 평가의 목적과 사례 = 376
   3. 교원업적평가의 목적과 사례 = 379
찾아보기 = 38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