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판 머리말 = 3
후속판 머리말 = 5
역자 서문 = 7
서문 = 17
제Ⅰ장 고대
1. 그리스 초기 = 23
2. 그리스의 고전시대 = 27
가. 스파르타 = 27
나. 아테네 = 29
다. 소피스트 = 34
라. 소크라테스 = 38
마. 플라톤 = 40
바. 아리스토텔레스 = 45
3. 헬레니즘 = 49
4. 로마시대 = 55
제Ⅱ장 기독교와 중세시대
1. 기독교 = 63
2. 중세 = 70
3. 중세의 학교제도 = 75
제Ⅲ장 르네상스, 종교개혁 그리고 반종교개혁
1. 르네상스와 인본주의 = 85
2. 종교개혁 = 103
3. 반종교개혁 = 121
4. 16세기 돌아보기 = 130
제Ⅳ장 바로크시대
1. 시대적 특징 = 135
2. 교육의 경향 = 141
가. 라트케 = 143
나. 코메니우스 = 146
다. 학교규정 = 156
라. 신분교육 = 157
3. 경건주의 = 162
제Ⅴ장 계몽주의 시대
1. 일반적인 특징 = 173
2. 라이프니츠로부터 볼프까지 = 181
가. 라이프니츠 = 181
나. 샤프츠베리 = 184
다. 로크 = 184
3. 민속적 계몽문학 = 189
4. 루소 = 193
5. 박애주의 = 203
가. 바제도우 = 205
나. 잘츠만 = 206
다. 캄페 = 211
라. 트랍 = 213
마. 로효 = 214
6. 계몽주의 시대의 학교들 = 216
제Ⅵ장 고전주의와 이상주의 시대
1. 일반적 특징 = 219
2. 언어적 신인본주의 = 233
3. 독일 고전주의에서의 인간성 도야의 사상 = 235
가. 헤르더 = 235
나. 장 파울 = 241
다. 훔볼트 = 243
라. 괴테 = 247
마. 쉴러 = 250
4. "독일 관념론" 철학과 교육학 = 253
가. 칸트 = 253
나. 피히테 = 255
다. 헤겔 = 260
라. 슐라이어막허 = 263
5. 민중교육사상 = 275
가. 페스탈로치 = 275
나. 프뢰벨 = 288
6. 헤르바르트 = 299
7. 신인본주의 시대의 학교제도 = 306
제Ⅶ장 산업화시대
1. 일반적 특징 = 313
2. 교육사상 = 318
가. 도야와 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 = 318
나. 실증주의 = 319
다. 쇼펜하우어 = 321
라. 니체 = 324
마. 헤르바르트주의자들 = 327
3. 학교제도의 발전 = 330
제Ⅷ장 20세기
1. 일반적 경향 = 343
2. 1933년까지의 교육운동 = 351
가. 청소년운동 = 352
나. 예술교육운동 = 361
다. "어린이로부터"의 교육학 = 367
라. 베르톨드 오토 = 370
마. 마리아 몬테소리 = 373
바. 노작학교운동 = 374
사. 게오르크 케르센슈타이너 = 376
아. 후고 가우디히 = 383
자. 생산학교 = 386
차. 학교개조를 위한 실천적 시도들 = 390
카. 1933년까지의 교육제도 발전 = 397
3. 국가사회주의 시녀로서의 교육과 학교 = 405
가. 국가사회주의 교육학 = 405
나. 교육제도의 발전 = 408
4. 교육학 논의와 1945년 이후의 학교발전 = 410
5. 20세기의 교육학 = 431
가. 경험적 연구에 근거한 초기의 입장들 = 433
나. 신칸트주의 = 437
다. 정신과학적 교육학과 문화교육학 = 439
라. 빌헴름 딜타이 = 440
마. 딜타이 학파 = 442
바. 에두아르트 슈프랑어 = 445
사. 테오도르 리트 = 450
아. 종교적, 실존철학-인간학적 및 현상학적 방향을 추구하는 연구계열들 = 454
자. 새로운 경험적 연구와 그 밖의 이론들 = 462
참고문헌 = 469
인명 색인 = 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