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67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00791213 | |
005 | 20100805024030 | |
007 | ta | |
008 | 020509s2002 ulk 000a kor | |
020 | ▼a 898502230X ▼g 03900 : ▼c \12000 | |
035 | ▼a KRIC08172168 | |
040 | ▼a 247017 ▼c 247017 ▼d 211009 | |
049 | 1 | ▼l 111228102 ▼f 개가 ▼l 111228103 ▼f 개가 |
082 | 0 4 | ▼a 331.8809519 ▼2 21 ▼a 331.880953 |
090 | ▼a 331.880953 ▼b 2002 | |
100 | 1 | ▼a 안승천 , ▼d 1960- ▼0 AUTH(211009)36356 |
245 | 1 0 | ▼a 한국 노동자 운동, 투쟁의 기록 / ▼d 안승천 지음. |
246 | 1 3 | ▼a 전태일에서 민주노총까지 |
260 | ▼a 서울 : ▼b 박종철 , ▼c 2002. | |
300 | ▼a 271p. ; ▼c 23cm. | |
500 | ▼a 단체목록: p.263-271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11228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112281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511377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511377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1122810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1122810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5113772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1.880953 2002 | 등록번호 15113772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년 이상을 노동자로 살아 온 안승천 의장(한국노동자운동연대)이 1970년에서 2001년까지의 민주 노조 운동의 역사를 되돌아보았다.
그는 민주 노조 운동 30년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전태일의 분신으로 시작된 민주 노조 운동은 1970년대 경공업 여성 노동자를 중심으로 민주 노조 건설과 사수 투쟁을 거쳐, 1980년 광주 민주 항쟁을 기점으로 1991년까지 계급적 - 전투적 노동자 운동으로 성장하며 발전해 나간다.
하지만 집행부의 관료화와 사회주의권 몰락과 문민 정부의 등장으로 그 기세가 꺾여 1993년 경부터는 양적으로는 확대하지만 질적으로 퇴보하는 추세를 보인다. 그리고 IMF 사태를 맞이하며 노동 운동은 벼랑 끝에서의 투쟁과 사회적 타협 사이에서 오락가락한다.
물론 마지막 장에서는 희망에 대해 이야기한다. 대우 자동차 투쟁에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에서 "노동자는 하나"라는 정신에 입각한 근본주의 노동자 운동이 본격화되어 가리라는 것을 예감한 것이다. 이 책은 노동운동 30년의 투쟁을 마치 현장에 있는 듯 생생하게 정리하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안승천(지은이)
1960년 1월에 태어나 현재까지 20년이 넘도록 공장 생활을 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는, 인쇄소 보조공과 신문 배달부 생활을 하고 직업 훈련원을 거쳐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에서 일하다가 몇 해 동안 사우디아라비아의 조선소에서 근무했다. 공장 생활을 하면서 고입 검정 고시와 대입 검정 고시에 합격하여 29살의 나이에 부산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지만, 두 해만 다니고 울산의 노동자로 돌아갔다. 우영산업, 효성금속, 현대자동차 사내 하청 업체, 현대중공업 외주 업체 등에서 노동자로 살아왔다. 1999년에 울산노동자운동연대의 대표를 맡았고, 1999년부터 현재까지 한국노동자운동연대의 의장을 맡고 있다. 2002년 현재 사회당 부대표이기도 하다.

목차
목차 1부 어용의 굴레를 깨는 노동 조합 운동 = 9 1장 어둠을 밝힌 한 점의 불꽃, 전태일 : 1970년 = 11 1970년대의 노동자 = 11 전태일의 삶과 투쟁 = 16 2장 목숨을 건 민주 노조 건설과 사수 : 1976∼1979년 = 24 전태일의 후예들 = 24 투쟁으로 건설되는 민주 노조 = 27 권력과 함께 노동자들의 권리를 억누르는 노동 조합 : 한국노총 = 30 정치 문제로 비화하는 민주 노조 사수 투쟁 = 33 박정희 정권의 몰락과 불황으로 인해 폭발하는 노동 쟁의 = 41 3장 민주 노조 운동에 영향을 준 두 가지 흐름 : 1970∼1979년 = 45 현실에 안주하는 중화학 공업 부문의 대기업 노동자 = 45 기독교 단체의 노동 조합 활동 지원 = 48 학생 운동가의 야학 활동과 현장 투신 = 49 헌신의 세대, 나 하나 밀알 되어 = 52 2부 계급 운동으로 발전하는 전투적 노동자 운동 = 55 4장 패배를 통한 도약 : 1980∼1983년 = 57 1980년 5월의 광주 민중 항쟁 = 57 와해되는 민주 노조, 강요된 침묵 = 63 새로운 모색, 전민노련 = 66 좌익화하는 학생 운동 = 68 5장 정치적 노동자 운동의 성장 : 1983∼1986년 = 70 '유화 국면'을 타고 활기를 띠는 노동자 운동 = 70 대우어패럴과 대우자동차에서의 투쟁 = 72 구로 동맹 파업 = 75 노동자 통일 전선, 서울노동운동연합 = 79 6장 파업의 열풍과 함께 대약진하는 민주 노조 운동 : 1987∼1989년 = 84 1987년 이전의 중공업 노동자들의 투쟁 = 84 6월 항쟁 = 89 7∼9월 노동자 대투쟁의 시작, 울산 = 93 다른 지역의 노동자 대투쟁과 그 결과 = 96 민주 노조들의 연합 질서의 탄생 = 104 자본과 권력의 반격과 노동자들의 새로운 대응 = 107 7장 계급 운동으로 발전하는 민주 노조 운동 : 1990∼1992년 = 116 전노협 건설과 43년 만의 전국 동시 파업 = 116 대기업 노조의 민주화와 대기업노동조합연대회의 = 121 1991년 5월의 민중 투쟁 = 127 대통령 선거를 대비한 민중 운동 진영의 새 판 짜기 = 132 3부 민주 노조 운동의 양적 확대와 질적 퇴조 = 135 8장 집행부의 관료화와 개량주의의 확산 : 1992∼1993년 = 137 '민주파'의 패배, 변절, 분화 = 137 개량주의의 확산과 연대 투쟁의 퇴조 = 143 민주 노조 운동의 위기 = 149 9장 구조화되는 조합주의와 무너지는 현장 투쟁력 : 1993년∼1995년 = 153 전국노동조합대표자회의 결성과 전노협 위원장 경선 = 153 투쟁의 전면에 나서는 공공 부문 노조들 = 156 심화된 민주 노조 운동의 위기와 '국민파 노동 운동'의 등장 = 165 10장 조합주의와 개량주의 세력의 주도권 장악 : 1995년 = 169 민주노총 건설 방식을 둘러싼 힘 겨루기 = 169 민주노총 출범과 전노협 해산 = 172 4부 자본가 계급과 격돌하는 노동자 계급 = 175 11장 벼랑 끝에서의 격돌, 노동법 개악 저지 투쟁 : 1996∼1997년 = 177 침체하는 경제, 노동자를 압박하는 자본가와 정부 = 177 처음 시도되는 사회적 타협, 뒤통수치는 자본가 정권 = 181 노동법 개악 저지 총파업 = 185 12장 패배의 연속, 정리 해고 저지 투쟁 : 1997∼1999년 = 200 임금 인상보다 중요해진 단체 협약과 정치 세력화 = 200 부도난 국가 경제, 거리로 내몰리는 노동자들 = 205 벼랑 끝에서의 투쟁과 사회적 타협 사이를 오락가락하는 민주노총 = 211 현대자동차의 정리 해고 수용, 후퇴하는 투쟁 전선 = 218 구조 조정에 직면한 사업장들의 총력 집중 투쟁 = 225 13장 민주 노조 운동을 넘어서는 투쟁들 : 1999∼2001년 = 233 드러나는 자본가 정권의 실상, 뼈아프게 경험하는 자본주의의 폐해 = 233 자본의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투쟁과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처절한 투쟁 = 237 김대중 정권 퇴진 투쟁으로 다시 한 번 반격에 나서는 노동자들 = 243 전환기에 선 민주 노조 운동, 도약의 발판 위에 선 근본주의 노동자 운동 = 255 후기 = 259 단체 목록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