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98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00790809 | |
005 | 20110114102617 | |
007 | ta | |
008 | 021008s2002 ulk b 000c kor | |
020 | ▼a 8976965140 ▼g 03910 | |
035 | ▼a KRIC08381875 | |
040 | ▼a 211064 ▼c 211009 ▼d 211009 | |
049 | 1 | ▼l 111227509 ▼f 개가 ▼l 111227510 ▼f 개가 ▼l 192033792 |
082 | 0 4 | ▼a 951.9 ▼2 22 |
085 | ▼a 953 ▼2 DDCK | |
090 | ▼a 953 ▼b 2002u | |
245 | 0 0 | ▼a 한국 전근대사의 주요 쟁점 / ▼d 『역사비평』편집위원회 지음 |
260 | ▼a 서울 : ▼b 역사비평사, ▼c 2002 ▼g (2006) | |
300 | ▼a 346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p. 346 | |
710 | ▼a 역사비평사. ▼b 역사비평편집위원회, ▼e 편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2u | 등록번호 1112275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2u | 등록번호 11122751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2u | 등록번호 1114074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2u | 등록번호 14102027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953 2002u | 등록번호 1410202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 청구기호 953 2002u | 등록번호 192033792 |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은 한국 전근대사에서 크게 논쟁이 전개되었거나 학문적 의견대립이 뚜렷이 전개되었던 주요 주제들을 통해 지난 한 세기 동안 어떤 내용의 역사상과 역사관들이 공존, 대립하면서 역사인식의 지평을 변모시켜 왔는지를 더듬어 보고 있다.
20세기를 지나는 동안 한국사의 이해에 영향을 끼친 주요 역사관과 역사적 시간들이 어떤 역사적 사실에 큰 관심을 기울였고, 각 사실에 대한 주요 주장이나 이해를 수용하면 해당 시기 및 한국사 전체의 역사사상이 어떻게 설명되며, 그와 관련하여 현재를 사는 우리의 중요한 역사적 과제는 결국 무엇으로 설정되는가를 찾아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이 책은 초기국가 형성론에서부터 임나일본부 논쟁,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 내재적 발전론을 둘러싼 논의 등 총 20개의 주제를 놓고 한국사를 연구하는 역사가들이 논의가 되었던 사건, 사실을 모아 각 논자들의 주장을 확인해주고 있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원시·고대 초기국가 형성론 / 주보돈 = 13 고조선 중심지 및 사회성격 / 송호정 = 28 적석목곽분을 통한 신라사의 이해 / 이성주 = 43 고대 사회와 철제 농기구 / 김재홍 = 60 임나일본부 논쟁사 / 김태식 = 78 고려·조선 한국 증세의 기점 / 이인재 = 97 고려사회 성격론 / 박종기 = 124 고려초기의 정치체제와 호족연합정권설 / 윤경진 = 139 전시과 체제에서 사전의 성격 / 윤한택 = 151 고려시대 농업생산력 / 위은숙 = 167 고려시대의 신분제 / 채웅석 = 183 고려전기 중앙군의 성격 / 권영국 = 199 삼별초를 어떻게 볼 것인가 / 신안식 = 217 원간섭기 개혁정치의 성격 / 이익주 = 229 고려(조선)의 친족제도 / 이종서 = 244 조선왕조 성립에 대한 평가 / 도현철 = 263 훈구와 사림에 대한 역사적 인식 / 최이돈 = 275 인조반정과 서인정권에 대한 논란 / 오수창 = 286 '실학', 환상인가 실체인가 / 김현영 = 308 내재적 발전론을 둘러싼 논의 / 이영호 = 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