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교육학 총론

영어교육학 총론 (Loan 8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배두본 裵斗本
Title Statement
영어교육학 총론 / 배두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문화사 ,   2002.  
Physical Medium
538 p. : 삽도 ; 26 cm.
ISBN
897735931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05-528)및 색인수록
000 00588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90508
005 20100805022352
007 ta
008 021028s2002 ulka 001a kor
020 ▼a 8977359317 ▼g 93740 : ▼c \20000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9 1 ▼l 111224304 ▼f 개가 ▼l 111224305 ▼f 개가
082 0 4 ▼a 428.007 ▼2 21
090 ▼a 428.007 ▼b 2002a
100 1 ▼a 배두본 ▼g 裵斗本 ▼0 AUTH(211009)90837
245 1 0 ▼a 영어교육학 총론 / ▼d 배두본.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2.
300 ▼a 538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05-528)및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 2002a Accession No. 111224304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6-21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8.007 2002a Accession No. 111224305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07-03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배두본(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및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Alberta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교육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제6차 영어과 및 외국어계 교육과정 개발 위원장, 제7차 외국어계 1종도서 편찬 위원장, 초등학교 영어과 교육 과정 심의위원, 초등학교 교과서 심의위원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회장 및 명예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이다. 지은책으로는 <영어교육학>, <초등학교 영어교육>, <영어교재론 개관>, <영어교육학 특강>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영어교육의 개념 이해

 1. 영어교육의 목적 및 유형 = 13

  1.1. 외국어 교육의 목적 = 13

   1.1.1. 외국어 교육의 이론적 근거 = 13

   1.1.2. 영어교육의 목적 = 15

  1.2. 영어교육의 유형 = 17

   1.2.1. 제2언어와 외국어로서의 영어 = 17

   1.2.2. 이중언어 = 18

   1.2.3. 공용어와 국제어 = 20

  1.3. 영어 교과교육의 의미 = 22

   1.3.1. 영어 교과의 성격 = 22

   1.3.2. 영어 교과의 특성 = 24

  1.4. 대상에 따른 영어교육 = 26

   1.4.1. 조기 영어교육 = 26

   1.4.2. 중등학교 영어교육 = 32

   1.4.3. 성인 영어교육 = 34

   1.4.4. 특별 목적의 영어교육 = 37

   1.4.5. 원격 영어교육 = 39

 2. 영어교육학의 이해 = 42

  2.1. 영어교육학의 성격 = 42

   2.1.1. 영어교육학의 의미 = 42

   2.1.2. 영어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 44

  2.2. 영어교육학의 구성 = 48

   2.2.1. 영어교육학의 구성 원리 = 48

   2.2.2. 영어교육학의 연구 범위 = 50

제2장 영어교육의 연구 방법

 3. 영어교육학 연구의 설계 = 55

  3.1. 영어교육학 연구의 의미 = 55

   3.1.1. 영어교육학 연구의 필요성 = 55

   3.1.2. 영어교육학 연구의 모형 = 57

   3.1.3. 영어교육학 연구 방법의 유형 = 58

  3.2. 기술적 연구의 설계 = 59

   3.2.1. 문헌 연구 = 59

   3.2.2. 실험 연구 = 60

   3.2.3. 사례 연구 = 62

   3.2.4. 조사 연구 = 62

  3.3. 질적 연구 = 66

   3.3.1. 민족지학적 연구 방법 = 66

   3.3.2. 민족감각적 방법 = 69

   3.3.3. 실행 연구 방법 = 70

  3.4. 절차적 연구 방법 = 71

   3.4.1. 종적 연구 방법 = 71

   3.4.2. 횡적 연구 방법 = 72

 4. 영어교육학 연구의 절차 = 73

  4.1. 영어교육학 연구 가설 = 73

   4.1.1. 대조 분석 = 73

   4.1.2. 오류 분석 = 74

   4.1.3. 언어 수행 분석 = 75

   4.1.4. 담화 분석 = 77

  4.2. 자료의 수집과 분석 = 80

   4.2.1. 실험에 의한 자료의 수집 = 81

   4.2.2. 비실험적 방법의 자료 수집 = 81

  4.3. 분석 방법 = 82

   4.3.1. 정량적 분석 = 82

   4.3.2. 정성적 분석 = 84

  4.4. 영어 교재의 분석과 연구의 방향 = 86

   4.4.1. 영어 교재의 분석 = 86

   4.4.2. 영어교육학 연구 방법의 변천 = 89

제3장 언어 정책과 영어교사

 5. 언어 정책과 영어 교육과정 = 91

  5.1. 언어 정책의 결정 = 91

   5.1.1. 언어 정책의 결정 요인 = 91

   5.1.2. 영어 교과의 선정 = 94

  5.2. 영어과 교육과정의 유형 = 97

   5.2.1.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 97

   5.2.2. 영어과 교육과정의 유형 = 98

  5.3. 영어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 108

   5.3.1. 교육과정의 개발 단계 = 108

   5.3.2. 영어과 교육 목표의 설정 = 109

   5.3.3. 영어과 교수요목의 유형 = 110

   5.3.4. 교육과정의 수준별 운영 = 117

 6. 언어 정책과 영어교사 = 119

  6.1. 영어교사의 교육 정책 수행 = 119

   6.1.1. 영어교사의 언어 정책 참여 = 119

   6.1.2. 영어교사의 역할 = 120

  6.2. 영어교사의 자질과 능력 = 122

   6.2.1. 영어 교사의 자격 요건 = 122

   6.2.2. 원어민 보조교사의 자질과 능력 = 129

  6.3. 영어교사의 양성과 연수 = 131

   6.3.1. 영어교사의 양성 = 132

   6.3.2. 영어교사의 연수 = 141

제4장 영어교육 발달사

 7. 서양의 영어교육 = 147

  7.1. 중세 영어교육 = 147

   7.1.1. 영국의 ESL/EFL 교육 = 147

   7.1.2. 유럽 제국의 영어교육 = 149

  7.2. 근대 영어교육 = 150

   7.2.1. 전통과 개혁 = 150

   7.2.2. 경험적 접근 = 151

   7.2.3. 영어교육의 개혁운동 = 153

  7.3. 현대 영어교육 = 156

   7.3.1. 전과학기의 영어교육 = 156

   7.3.2. 과학적 접근 = 158

 8.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 162

  8.1. 학교 영어교육의 시작과 발달 = 162

   8.1.1. 관립 영어학교 = 162

   8.1.2. 초창기의 영어 교수법 = 168

  8.2. 일제시대(1910∼1945)의 영어교육 = 169

   8.2.1. 영어교육 기관 = 169

   8.2.2. 일제시대의 영어 교수법 = 174

  8.3. 대한민국(1945- )의 영어교육 = 174

   8.3.1. 영어교육의 재출발 = 175

   8.3.2. 영어교육의 정립 = 179

   8.3.3. 영어교육의 개혁 = 184

제5장 영어습득과 학습

 9. 영어의 습득 = 191

  9.1. 영어의 언어학적 이해 = 191

   9.1.1. 영어의 특성 = 191

   9.1.2. 영어의 종류 = 193

  9.2. 모국어로서 영어의 습득 = 195

   9.2.1. 영어의 음성 습득 = 195

   9.2.2. 문법적 형태소 습득 = 199

   9.2.3. 언어의 사용 = 200

  9.3. 영어의 습득과 학습 = 204

   9.3.1. 모국어의 습득과 학습 = 205

   9.3.2. ESL과 EFL의 습득과 학습 = 206

   9.3.3. 습득 과정으로서의 학습 = 208

   9.3.4. 언어 능력 발달에 관한 가설 = 209

  9.4. ESL과 EFL 습득 = 211

   9.4.1. ESL과 EFL 습득 이론 = 211

   9.4.2. ESL과 EFL의 습득 = 217

 10. 영어 학습 = 222

  10.1. 영어 학습의 본질 = 222

   10.1.1. 영어 학습의 의미 = 222

   10.1.2. 영어 학습자의 특성 = 223

   10.1.3. 영어 학습의 최적 연령 = 225

  10.2. 영어 학습 가설 = 226

   10.2.1. 행동주의적 학습 이론 = 226

   10.2.2. 인지주의적 학습 이론 = 228

   10.2.3. 중간언어의 학습 과정 = 229

   10.2.4. 언어적 보편 이론 = 230

   10.2.5. 모니터 가설 = 232

   10.2.6. 상호작용 가설 = 233

  10.3. 영어 학습의 인지적, 정의적 접근 = 235

   10.3.1. 인지적 요인 = 235

   10.3.2. 정의적 요인 = 239

  10.4. 영어 학습의 구성주의적 접근 = 243

   10.4.1. 영어 학습 유형 = 243

   10.4.2. 학습 책략 = 246

   10.4.3. 영어 학습 과정 = 251

   10.4.4. 열린 학습 = 254

   10.4.5. 개별화 학습 = 257

제6장 영어교수 접근 이론

 11. 영어교수 방법의 일반 이론 = 263

  11.1. 영어 교수법의 접근 유형 = 263

   11.1.1. 영어교수의 의미 = 263

   11.1.2. 언어관에 따른 영어교수의 접근 = 266

   11.1.3. 영어 교수법의 유형 = 269

  11.2. 전통적 교수법 = 271

   11.2.1. 문법 - 번역식 교수법 = 271

   11.2.2. 직접식 교수법 = 272

   11.2.3. 독해 교수법 = 274

  11.3. 언어 중심 교수법 = 275

   11.3.1. 구화적 접근과 상황적 언어 교수법 = 275

   11.3.2. 구조적 교수법 = 277

   11.3.3. 청화식 교수법 = 278

   11.3.4. 초단파 교수법 = 280

   11.3.5. 전신반응 교수법 = 281

   11.3.6. 어휘 중심 교수법 = 283

  11.4. 인지주의적 교수법 = 284

   11.4.1. 인지적 언어 학습법 = 284

   11.4.2. 침묵식 교수법 = 285

   11.4.3. 다중지능 언어 교수법 = 288

   11.4.4. 학습 책략 중심 언어 교수법 = 291

  11.5. 상호작용 중심 교수법 = 293

   11.5.1. 상황 - 강화식 교수법 = 293

   11.5.2. 시청각 교수법 = 294

   11.5.3.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 296

   11.5.4. 자연 교수법 = 298

   11.5.5. 능력 중심 언어 교수법 = 300

   11.5.6. 교과 중심 언어 교수법 = 301

   11.5.7. 과업 중심 언어 교수법 = 303

  11.6. 구성주의적 영어교수 방법 = 305

   11.6.1. 공동체 언어 학습법 = 305

   11.6.2. 암시교수법 = 307

   11.6.3. 신경언어학적 지도법 = 310

   11.6.4. 총체 언어 교수법 = 311

   11.6.5. 협동적 언어 교수법 = 313

 12. 영어권 문화 지도 = 316

  12.1. 영어교육에서 문화의 지도 = 316

   12.1.1. 문화의 의미 = 316

   12.1.2. 문화적 차이의 이해 = 319

   12.1.3. 제2문화의 습득 = 320

  12.2. 영어권 문화의 지도 = 324

   12.2.1. 영어권 문화의 지도 목적 = 324

   12.2.2 영어권 문화의 지도 유형 = 325

   12.2.3. 영어권 문화의 단계별 지도 = 326

  12.3. 영미 문학과 영어교육 = 327

   12.3.1. 영어교육에서 문학의 의미 = 328

   12.3.2. 문학의 언어학적 분석 = 329

   12.3.3. 영미 문학 지도의 필요성 = 331

  12.4. 영미 문학의 지도 = 333

   12.4.1. 영미 문학의 지도 목표 = 333

   12.4.2. 영미 문학 교재의 내용 선정 = 335

   12.4.3. 영미 문학의 지도 방향 = 337

   12.4.4. 문학 텍스트의 통합적 지도 = 338

제7장 통합적 지도 방법

 13. 언어 기능의 지도 방법 = 347

  13.1. 정확성과 유창성 신장을 위한 지도 = 347

   13.1.1. 정확성과 유창성의 구분 = 347

   13.1.2. 정확성 활동과 유창성 활동 = 350

   13.1.3. 유창성 신장을 위한 단계별 활동 = 351

  13.2. 이해 기능의 지도 = 353

   13.2.1. 이해 능력 = 354

   13.2.2. 듣기 지도 = 356

   13.2.3. 읽기 지도 = 358

  13.3. 말하기 지도 = 368

   13.3.1. 말하기 지도 = 368

   13.3.2. 발음 지도 = 372

   13.3.3. 정확성과 오류 수정 = 374

  13.4. 쓰기 지도 = 378

   13.4.1. 쓰기 능력 = 379

   13.4.2. 쓰기 과정 = 380

   13.4.3. 쓰기 지도 = 381

 14. 통합적 지도 방법 = 386

  14.1. 문법 지도 = 386

   14.1.1. 문법 지도의 접근 방법 = 386

   14.1.2. 문법 지도 절차 = 389

   14.1.3. 문법 지도 방법 = 394

  14.2. 어휘 지도 = 395

   14.2.1. 어휘의 선정 = 395

   14.2.2. 어휘의 지도 = 398

  14.3. 의사소통 기능의 지도 = 400

   14.3.1. 의사소통의 의미 = 400

   14.3.2. 의사소통 기능의 지도 = 403

  14.4. 게임과 놀이 지도 = 408

   14.4.1. 게임과 놀이의 유용성 = 408

   14.4.2. 게임과 놀이의 지도 절차 = 410

  14.5. 음악을 이용한 영어 지도 = 411

   14.5.1. 영어 노래의 지도 = 411

   14.5.2. 박자 노래(chants)의 지도 = 414

  14.6. 절충식 영어 교수법 = 416

   14.6.1. 절충식 교수법의 의미 = 416

   14.6.2. 절충식 교수법의 조건 = 417

제8장 영어 교재의 개발과 활용

 15. 영어 교재의 개발 = 419

  15.1. 영어 교재의 기능 = 419

   15.1.1. 영어 교재의 의미 = 419

   15.1.2. 영어 교재와 교육과정의 관계 = 421

  15.2. 영어 교재의 설계 모형 = 422

   15.2.1. 하향식 모형 = 422

   15.2.2. 다방향 모형 = 422

   15.2.3. 상향식 모형 = 423

   15.2.4. 교류식 모형 = 424

   15.2.5. 상호작용식 모형 = 424

  15.3. 내용 구성 = 426

   15.3.1. 학습 자료의 선정 기준 = 426

   15.3.2. 내용 구성의 유형 = 429

  15.4. 언어 자료 = 435

   15.4.1. 언어 자료의 선정 = 435

   15.4.2. 언어 형태의 선정 = 437

 16. 영어 교재의 활용 = 440

  16.1. 영어 교재의 종류 = 440

   16.1.1. 영어 교재의 분류 = 440

  16.2. 영어 교재의 활용 = 442

   16.2.1. 영어 교과서 = 442

   16.2.2. 시청각 교재 = 443

  16.3. 컴퓨터와 멀티미디어 = 445

   16.3.1. 교수 기계 = 446

   16.3.2. 컴퓨터 = 446

   16.3.3. 멀티미디어(Multimedia) = 448

제9장 영어교육의 평가

 17. 영어 능력 평가 이론 = 451

  17.1. 영어 능력 평가의 의미 = 451

   17.1.1. 평가와 시험 = 451

   17.1.2. 평가의 목적 = 453

   17.1.3. 평가 설계의 이론적 접근 = 454

   17.1.4. 평가의 설계를 위한 기본 요건 = 455

  17.2. 영어 능력 평가의 유형 = 459

   17.2.1.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 = 459

   17.2.2. 평가의 목적에 따른 유형 = 460

   17.2.3. 분리 평가와 통합 평가 = 463

   17.2.4. 평균 참조식 평가와 기준 참조식 평가 = 466

   17.2.5. 객관식 시험과 주관식 시험 = 467

  17.3. 의사소통 능력의 측정 = 468

   17.3.1. 의사소통적 언어 능력의 시험 = 468

   17.3.2. 직접적 수행 평가 = 469

   17.3.3. 간접적 수행 평가 = 471

  17.4. 영어교육학 이론 및 교재의 평가 = 472

   17.4.1. 영어교육 이론의 평가 = 473

   17.4.2. 영어과 교육과정의 평가 = 474

   17.4.3. 영어 교재의 평가 = 477

 18. 영어 능력 평가의 실제 = 486

  18.1. 언어 능력 평가의 양식 = 486

   18.1.1. 평가의 양식 = 486

   18.1.2. 언어 수행 중심의 평가 = 487

   18.1.3. 언어 체계 중심의 평가 = 488

  18.2. 언어 기능별 시험 = 488

   18.2.1. 듣기 시험 = 488

   18.2.2. 읽기 시험 = 490

   18.2.3. 쓰기 시험 = 492

   18.2.4. 말하기 시험 = 495

  18.3. 수행 평가의 실제 = 497

   18.3.1. 자기 평가 = 497

   18.3.2. 투사적 방법 = 499

   18.3.3. 일기 및 포트폴리오 = 499

  18.4. 평가 결과와 지도 = 500

   18.4.1. 평가의 해석 = 500

   18.4.2. 평가 결과와 지도 = 502

참고문헌 = 505

찾아보기(한·영) = 52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류미림 (2023)
김정호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