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8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00790440 | |
005 | 20100805022210 | |
007 | ta | |
008 | 021028s2002 ulka 000a kor | |
020 | ▼a 8955650175 ▼g 93340 : ▼c \19000 | |
040 | ▼a 211046 ▼c 211046 ▼d 211009 | |
049 | 1 | ▼l 111224320 ▼f 개가 ▼l 111224321 ▼f 개가 |
082 | 0 4 | ▼a 321.8 ▼2 21 |
090 | ▼a 321.8 ▼b 2002a | |
100 | 1 | ▼a 안종운 ▼0 AUTH(211009)64373 |
245 | 1 0 | ▼a 민주정치혁명론 / ▼d 안종운 저. |
260 | ▼a 서울 : ▼b 청목출판사 , ▼c 2002. | |
300 | ▼a 444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이 책은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인 '공자 맹자의 정치철학에 관한 연구'의 후편에 해당함.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A/교육보존2 | 청구기호 321.8 2002a | 등록번호 11122432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1.8 2002a | 등록번호 1112243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3 緖論 제1장 道德, 倫理, 政治의 統一論的 構想 = 15 제2장 質量的 民主主義의 導出 = 21 제3장 참 民主政治의 길을 위하여 = 27 本論 제1장 眞理論 = 39 제1절 眞理의 西洋哲學的 理解 = 39 제2절 眞理의 東洋哲學的 理解 = 42 제3절 眞理의 要請的 實在 = 48 제2장 人間敎育論(〈其一〉誠論) = 51 제1절 眞人되기 위한 基本德 誠論 = 51 제2절 中庸에 나타난 誠 = 56 1. 中庸 20장 中과 誠 = 57 2. 中庸 22장 至誠 至天의 原理 = 60 3. 中庸 24장 至誠 如神論 = 60 4. 中庸 25장 不誠 無物論 = 61 5. 中庸 26장 至誠無息 無爲而成論 = 63 6. 中庸 32장 天德 仁政論 = 64 7. 小結 = 64 제3절 誠과 諸德 = 65 1. 忠論 = 65 (1) 忠의 현대적 의의 = 67 (2) 遠心作用의 忠 = 68 (3) 求心作用의 忠 = 71 2. 恕論 = 73 (1) 恕의 文獻的 考察 = 74 (2) 恕의 현대적 의의 = 78 3. 善論 = 80 (1) 善과 誠 = 83 (2) 新 性善論 = 84 4. 仁論('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論을 中心으로) = 86 (1) '一日' 論 = 89 (2) '天下' 論 = 90 제3장 人間敎育論(〈其二〉敬論) = 95 제1절 人格 無限 內實 擴充化 德 敬論 = 97 1. 人格·사람·人間論 = 97 2. 人格者·失格者論 = 102 제2절 敬의 古典的 考察 = 113 제3절 退溪의 敬 思想 = 121 제4절 敬의 現代的 考察 = 126 1. 현대 德目으로서의 敬 = 126 2. 社會人과 敬 = 131 3. 學生과 敬 = 134 4. 敎育者와 敬 = 141 5. 敎育者와 勞動運動 = 144 6. 韓國 敎育者가 해야 할 바른 敎育運動 = 151 7. 21세기 統一文化를 위한 陰陽文字 調和論 = 163 (1) 한글 전용의 비리를 규탄함 = 163 (2) 陰陽文字의 調和論 = 170 제4장 人間敎育論(〈其三〉信論) = 177 제1절 道德 倫理的 信과 宗敎的 信論 = 177 제2절 道德 倫理的 信 = 181 1. 孔子의 信思想 = 181 (1) 義理의 信 = 183 (2) 人間·社會 健康信號德으로서의 信 = 185 (3) 敎育 基本指針으로서의 信 = 189 (4) 政治 基本指針으로서의 信 = 194 (5) 忠信의 意義 = 203 (6) 人性으로서의 信 = 210 2. 老子의 信思想 = 210 제3절 宗敎的 信 = 218 1. 有信論的 宗敎의 信 = 218 2. 無信論的 宗敎의 信 = 220 제5장 人間關係論(〈其四〉誠·敬·信 合德論) = 223 제1절 誠·敬·信 갖춘 人間像 = 223 제2절 敬의 現代的 要請 = 230 제3절 不敬할 때 誠의 경우 = 232 제4절 無敬할 때 信의 경우 = 234 제5절 孔子가 주는 信의 眞理 = 236 제6절 老子가 주는 信의 眞理 = 239 제7절 참 人間論 = 241 제6장 歷史의 創造論 = 251 제1절 歷史의 意味 = 252 제2절 歷史觀(史觀) = 259 1. 辨證法的 史觀 = 260 2. 決定論的 史觀 = 261 3. 任意史觀(自由史觀) = 261 제3절 歷史의 主體로서의 '나' = 262 1. 先哲들의 '나' 人生에 대한 見解 = 263 2. 國家·世界·宇宙의 主體로서의 '나' = 267 제4절 虛無한 삶을 克服하는 길 = 272 제5절 歷史創造 主役論 = 275 제6절 後天 새 歷史 開闢의 날 = 280 제7절 人類史 二分法 = 286 제8절 新 歷史 創造를 위하여 = 291 제7장 民主政治 革命論 = 305 제1절 政治의 總義 = 305 政治學辭典의 解義 = 306 제2절 孔子의 政治思想 = 321 1. 德治主義(덕치주의) = 312 (1) 德治의 文獻的 고찰 = 313 (2) 德治의 現代的 意義 = 319 2. 禮治主義 = 324 (1) 禮治의 文獻的 考察 = 325 (2) 禮治의 現代的 意義 = 330 3. 正名主義 = 334 (1) 正名論의 文獻的 考察 = 334 (2) 正名政治의 現代的 意義 = 341 4. 孔子政治思想의 民主主義的 照明 = 347 (1) 德治의 民主照明 = 347 (2) 禮治의 民主照明 = 350 (3) 正名政治의 民主照明 = 359 제3절 自由民主主義의 問題點 = 365 제4절 民意院 構圖 = 372 1. 設立 目的論 = 372 2. 機能論 = 372 3. 業務 要約 = 375 (1) 業務의 例文 = 379 제5절 高質自由民主主義를 위하여 = 383 제6절 人間·人性문제를 알고서 政治하길(人間存在의 人性論的 考察) = 388 1. 性善論的 人間觀 = 389 2. 性惡論的 人間觀 = 395 3. 性無善惡論的 人間觀 = 401 4. 性末善論的 人間觀 = 404 5. 性善惡混論的 人間觀 = 409 6. 性三品論的 人間觀 = 413 7. 性自由論的 人間觀 = 417 제7절 憲法 꼭 고쳐야 할 곳 = 423 제8절 選擧法 全幅 고쳐야 = 433 總 結論 =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