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발달 전환기로서의 청년기 = 15
1. 청년기의 정의 = 15
2. 청년기의 발달 특성 = 18
1) 신체적 발달 = 18
2) 인지발달 = 19
3) 정서적 불안정 및 사회적 부적응 = 20
3. 청년발달 관련 이론 = 22
1) 청년발달이론의 기초 = 22
2) 청년발달이론과 청년기의 특성 = 23
3) 발달과업 = 28
제2부 청년기의 발달 특성
제2장 신체발달 = 35
1. 일반적 특징 = 35
1) 신장, 체중, 골격의 변화 = 35
2) 성적 변화 = 42
2. 심리적 영향 = 52
1) 신체상 = 52
2) 행동의 변화 = 57
3) 조숙과 만숙 = 58
제3장 인지발달 = 63
1. 청년기 사고의 특징 = 63
1) 지능과 인지발달 = 63
2) 청년기 이후 지능의 변화 = 81
2. 사회인지의 발달 = 88
1) 청년기의 사회인지 = 88
2) 청년기 자아중심성 = 89
3. 창의성 발달 = 92
1) 창의성의 정의 = 92
2) 창의성의 특징 = 94
3) 창의적 사고의 과정 = 96
4) 수직적 사고와 수평적 사고 = 97
4. 환경 조건 = 99
1) 사회경제적 요인 = 100
2) 성차 = 101
3) 부모와의 상호작용 = 101
4) 컴퓨터의 영향 = 101
제4장 자아개념과 자아정체감 형성 = 105
1. 자아개념 = 106
1) 자아개념의 정의 = 106
2) 자아개념의 속성 = 107
3) 청년기의 자아개념 = 109
4) 자아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11
2. 자아정체감 = 114
1) 자아정체감의 의미 = 114
2) 청년기에 자아정체감 형성이 중요한 이유 = 117
3) 청년기의 자아정체감 = 119
4)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 129
5) 한국 청년들의 자아정체감 발달 = 131
제5장 도덕성 발달 = 135
1. 도덕성 발달 = 135
1)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이론 = 137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140
3) 길리간의 도덕성 발달이론 = 146
2. 청년기의 도덕성 발달 = 150
3. 가치관의 발달 = 152
1) 가치관의 정의와 기능 = 152
2) 가치관 발달의 이론적 입장 = 154
3) 한국 청년들의 가치관 = 155
제6장 성역할 발달 = 157
1. 성 고정관념 = 157
1) 남성성과 여성성 = 157
2) 성역할 스트레스 = 163
2. 성역할 정체감 = 167
1) 성역할 사회화 = 170
2) 성역할 사회화의 환경적인 요인 = 175
3. 새로운 성역할의 추구 = 182
1) 양성성의 개념 = 182
2) 양성성 소유자의 속성 = 184
3) 성역할의 측정 = 185
제3부 청년기의 사회적 맥락
제7장 학교의 영향 = 189
1. 학교와 학습 = 189
1) 학교의 기능 = 189
2) 학습 = 192
2. 교사의 역할 = 211
1) 관찰적 진단자 = 211
2) 비계 제공자 = 212
3) 매개자 = 214
4) 해방자 = 215
5) 교육과정 형성자 = 215
3. 학부모의 역할 = 217
1) 관찰적 진단자로서의 역할 = 217
2) 비계 제공자로서의 역할 = 218
3) 적극적 협조자로서의 역할 = 219
4. 학교의 문제 = 222
1) 입시제도 = 224
2) 과대·과밀 학급 = 225
3) 시설·설비의 부족 = 230
4) 유해환경 = 232
제8장 가정의 영향 = 235
1. 청년기의 부모-자녀 관계 = 236
1) 청년기의 자율성 획득과 부모-자녀 관계 = 236
2) 청년기 부모의 특징 = 239
3)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 241
2. 부모-자녀 간의 갈등 = 244
1) 부모-자녀 간의 갈등 = 244
2) 부모-자녀 간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 = 246
제9장 동년배 친구의 영향 = 253
1. 동년배관계 = 253
1) 동년배의 의미 = 253
2) 동년배집단의 특성 = 255
3) 동년배의 우정 = 264
2. 동년배집단과 사회적 관계 = 270
1) 청년기의 동조성 = 270
2) 동년배집단의 사회적 상황 = 273
3. 동년배집단 부적응 문제 = 278
1) 집단 따돌림의 정의와 특징 = 278
2) 집단 따돌림의 유형 = 280
3) 집단 따돌림의 원인 = 281
4) 집단 따돌림의 예방 및 지도 = 288
제10장 전자영상매체의 영향 = 291
1. 전자영상매체의 정의 및 그 특징 = 292
2. 정보화 사회 속의 청년들의 특징 = 295
3.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년들의 정체성 문제 = 297
1) 사이버 공간에서의 집단적 정체감 = 297
2) 사이버 공간에서의 개별적 정체감 = 298
4. 사이버 문화 = 300
5. 사이버 공간의 역기능 : 인터넷 중독증 = 303
제11장 청년기의 사랑 = 313
1. 성의식의 발달 = 313
2. 이성교제 = 317
1) 사랑의 심리학적 분석 = 319
2) 사랑의 생화학적 분석 = 321
3) 사랑의 분류 = 322
4) 사랑의 학습 = 329
5) 사랑과 성적 행동 = 334
3. 결혼 = 337
1) 결혼의 의미 = 337
2) 배우자의 선택 = 339
제12장 청소년 비행 = 341
1. 청소년 비행의 정의 = 341
2. 청소년 비행의 종류와 관련 요인 = 342
1) 청소년 범죄 현황 및 관련 요인 = 343
2) 청소년 비행의 종류 : 약물 중독 = 347
3. 청소년 비행의 예방과 선도 = 354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