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정의 이해 (Loan 97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McNeil, John D. 전성연 全成連, 역 이흔정 李炘禎, 역
Title Statement
교육과정의 이해 / John D. McNeil [저] ; 전성연 ; 이흔정 공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2.  
Physical Medium
486 p. : 삽도 ; 26 cm.
Varied Title
Curriculum :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5th ed.
ISBN
8975485706
General Note
색인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Curriculum planning.
000 00832namccc200277 k 4500
001 000000790046
005 20100805020716
007 ta
008 021024s2002 ulka 001a kor
020 ▼a 8975485706 ▼g 93370 : ▼c \16000
040 ▼a 211046 ▼c 21104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219779 ▼f 개가 ▼l 111219780 ▼f 개가
082 0 4 ▼a 375.001 ▼2 21
090 ▼a 375.001 ▼b 2002
100 1 ▼a McNeil, John D.
245 1 0 ▼a 교육과정의 이해 / ▼d John D. McNeil [저] ; ▼e 전성연 ; ▼e 이흔정 공역.
246 1 9 ▼a Curriculum :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5th ed.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2.
300 ▼a 486 p. : ▼b 삽도 ; ▼c 26 cm.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650 0 ▼a Curriculum planning.
700 1 ▼a 전성연 ▼g 全成連, ▼e▼0 AUTH(211009)58218
700 1 ▼a 이흔정 ▼g 李炘禎, ▼e▼0 AUTH(211009)75795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02 Accession No. 1112197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1 2002 Accession No. 1112197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John D. Mcneil(지은이)

<교육과정의 이해>

전성연(옮긴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학석사 학위를,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흔정(옮긴이)

<교육과정의 이해>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3
역자서문 = 7
제Ⅰ부 교육과정의 개념들
 제1장 인간주의 교육과정 = 15
  1. 인간주의 교육과정의 특징 = 19
  2. 학습기회 선택의 기초 = 23
  3. 인간주의 교육과정의 방향 = 27
  4. 학문중심주의에서의 인간주의적 요소의 탐색 = 36
  5. 인간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 41
  6. 결론 = 43
 제2장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 = 47
  1.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의 특징 = 49
  2. 학습기회 선택의 기본원리 = 51
  3. 사회재건주의 교육의 실천 = 53
  4. 사회재건주의에 대한 비판 = 67
  5. 결론 = 68
 제3장 공학과 교육과정 = 71
  1. 공학과 효율성의 추구 = 73
  2. 공학적 교육과정의 예들 = 74
  3. 교실공학 체제의 일반적인 특징 = 78
  4. 교육과정 교재 개발에서의 공학 = 81
  5. 기술혁신 = 83
  6. 교육과정개발의 공학적 접근에 대한 논쟁들 = 88
  7. 결론 = 92
 제4장 학문중심 교육과정 = 95
  1.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의 접근 = 96
  2. 학문교과로서의 교육과정의 특징 = 113
  3. 사고의 성장을 중시하는 교과목 구성 = 119
  4. 결론 = 122
제Ⅱ부 교육과정의 개발
 제5장 교수내용의 결정 = 127
  1. 무엇을 가르쳐야만 하는가를 결정하기 = 128
  2.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맥락 = 132
  3. 교수내용의 결정 = 137
  4.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의 합리모형과 기술모형 = 138
  5. 교육과정 설정모형에 대한 논평 = 158
  6. 결론 = 159
 제6장 학습기회의 개발과 선정 = 163
  1. 학습기회 개발의 원리 = 165
  2. 고차적 사고를 위한 학습기회들 = 170
  3. 학습활동 개발의 절차 = 176
  4. 학습활동의 선정기준 = 184
  5. 교과서와 학습기회에 대한 비판 = 190
  6. 학습기회 선정 기준에 대한 비판 = 191
  7. 결론 = 192
 제7장 학습기회의 조직 = 195
  1. 교육과정 조직에서의 주요 개념들 = 196
  2. 중심내용 및 요소와 관련된 학습활동의 계열화 원리 = 200
  3. 교육과정 구조 조직하기 = 202
  4. 교육과정의 조직 형태에 따른 효과의 경험적 연구 = 217
  5. 교육과정 조직에서의 문제 = 219
  6. 결론 = 222
제Ⅲ부 교육과정 운영
 제8장 교육과정 운영 = 227
  1. 재구조화 맥락에서의 교육과정 변화 = 227
  2. 교육과정 재구조화에서의 역할 = 231
  3. 행정적 편성 = 235
  4. 학교조직 개혁 방향 = 247
  5. 수업효과성을 위한 행정 = 248
  6. 결론 = 254
 제9장 교육과정 개정의 수행 = 257
  1. 개정과정의 개념화 = 259
  2. 변화수용을 위해 교실문을 벗어나기 = 262
  3. 개정을 위한 전략들 = 266
  4. 교직원 양성으로 성공적 수행을 하기 위한 제안 = 272
  5. 결론 = 277
 제10장 교육과정 평가 = 281
  1. 평가의 모델 = 283
  2.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된 논쟁 = 291
  3. 정보 수집의 기술 = 300
  4. 결론 = 305
 제11장 교육과정 구성의 정치학 = 309
  1. 교육과정 정책 = 310
  2. 의사결정의 정치적 과정을 해석하기 위한 개념들 = 313
  3. 교육과정 정책결정의 참여자들 = 317
  4. 교육과정 통제에서의 갈등 = 333
  5. 결론 = 335
제Ⅳ부 이슈와 경향
 제12장 대응책이 필요한 현재의 쟁점들 = 339
  1. 사고를 위한 교육과정 = 340
  2. 교육과정 경쟁 : 국제 비교 = 346
  3. 직업교육 = 351
  4. 잠재적 교육과정 = 359
  5. 도덕교육 = 364
  6. 문화적 다원주의 = 372
  7. 결론 = 377
 제13장 교과영역에 있어서의 방향들 = 381
  1. 수학 = 382
  2. 과학 = 387
  3. 체육과 건강교육 = 393
  4. 국어교과 = 397
  5. 독서 = 402
  6. 역사와 사회과목 = 404
  7. 외국어 = 411
  8. 예술 = 415
  9. 결론 = 420
제Ⅴ부 교육과정의 탐구 : 회고와 전망
 제14장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역사적 조망 = 427
  1. 교육과정 역사가들 = 429
  2. 교육과정 분야의 기초자들 = 432
  3. 헤르바르트주의와 McMurrry 형제 = 433
  4. 헤르바르트주의에 대한 듀이의 반대 = 438
  5. 과학적 교육과정 편성 : Franklin Bobbitt과 Werrett W. Charters = 441
  6. 수업의 개선 = 448
  7. 합리적 교육과정 편성 = 452
  8. 결론 = 454
 제15장 교육과정 이론과 탐구에 대한 전망 = 459
  1. 교육과정 영역의 위상 = 460
  2. 교육과정 탐구의 방향 = 469
  3. 학교와 교실에서의 탐구 = 472
  4. 결론 = 478
찾아보기 = 48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