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역자서문 = 7
제Ⅰ부 교육과정의 개념들
제1장 인간주의 교육과정 = 15
1. 인간주의 교육과정의 특징 = 19
2. 학습기회 선택의 기초 = 23
3. 인간주의 교육과정의 방향 = 27
4. 학문중심주의에서의 인간주의적 요소의 탐색 = 36
5. 인간주의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 41
6. 결론 = 43
제2장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 = 47
1. 사회재건주의 교육과정의 특징 = 49
2. 학습기회 선택의 기본원리 = 51
3. 사회재건주의 교육의 실천 = 53
4. 사회재건주의에 대한 비판 = 67
5. 결론 = 68
제3장 공학과 교육과정 = 71
1. 공학과 효율성의 추구 = 73
2. 공학적 교육과정의 예들 = 74
3. 교실공학 체제의 일반적인 특징 = 78
4. 교육과정 교재 개발에서의 공학 = 81
5. 기술혁신 = 83
6. 교육과정개발의 공학적 접근에 대한 논쟁들 = 88
7. 결론 = 92
제4장 학문중심 교육과정 = 95
1. 학문중심 교육과정에의 접근 = 96
2. 학문교과로서의 교육과정의 특징 = 113
3. 사고의 성장을 중시하는 교과목 구성 = 119
4. 결론 = 122
제Ⅱ부 교육과정의 개발
제5장 교수내용의 결정 = 127
1. 무엇을 가르쳐야만 하는가를 결정하기 = 128
2.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맥락 = 132
3. 교수내용의 결정 = 137
4. 교육과정 의사결정에서의 합리모형과 기술모형 = 138
5. 교육과정 설정모형에 대한 논평 = 158
6. 결론 = 159
제6장 학습기회의 개발과 선정 = 163
1. 학습기회 개발의 원리 = 165
2. 고차적 사고를 위한 학습기회들 = 170
3. 학습활동 개발의 절차 = 176
4. 학습활동의 선정기준 = 184
5. 교과서와 학습기회에 대한 비판 = 190
6. 학습기회 선정 기준에 대한 비판 = 191
7. 결론 = 192
제7장 학습기회의 조직 = 195
1. 교육과정 조직에서의 주요 개념들 = 196
2. 중심내용 및 요소와 관련된 학습활동의 계열화 원리 = 200
3. 교육과정 구조 조직하기 = 202
4. 교육과정의 조직 형태에 따른 효과의 경험적 연구 = 217
5. 교육과정 조직에서의 문제 = 219
6. 결론 = 222
제Ⅲ부 교육과정 운영
제8장 교육과정 운영 = 227
1. 재구조화 맥락에서의 교육과정 변화 = 227
2. 교육과정 재구조화에서의 역할 = 231
3. 행정적 편성 = 235
4. 학교조직 개혁 방향 = 247
5. 수업효과성을 위한 행정 = 248
6. 결론 = 254
제9장 교육과정 개정의 수행 = 257
1. 개정과정의 개념화 = 259
2. 변화수용을 위해 교실문을 벗어나기 = 262
3. 개정을 위한 전략들 = 266
4. 교직원 양성으로 성공적 수행을 하기 위한 제안 = 272
5. 결론 = 277
제10장 교육과정 평가 = 281
1. 평가의 모델 = 283
2. 교육과정 평가와 관련된 논쟁 = 291
3. 정보 수집의 기술 = 300
4. 결론 = 305
제11장 교육과정 구성의 정치학 = 309
1. 교육과정 정책 = 310
2. 의사결정의 정치적 과정을 해석하기 위한 개념들 = 313
3. 교육과정 정책결정의 참여자들 = 317
4. 교육과정 통제에서의 갈등 = 333
5. 결론 = 335
제Ⅳ부 이슈와 경향
제12장 대응책이 필요한 현재의 쟁점들 = 339
1. 사고를 위한 교육과정 = 340
2. 교육과정 경쟁 : 국제 비교 = 346
3. 직업교육 = 351
4. 잠재적 교육과정 = 359
5. 도덕교육 = 364
6. 문화적 다원주의 = 372
7. 결론 = 377
제13장 교과영역에 있어서의 방향들 = 381
1. 수학 = 382
2. 과학 = 387
3. 체육과 건강교육 = 393
4. 국어교과 = 397
5. 독서 = 402
6. 역사와 사회과목 = 404
7. 외국어 = 411
8. 예술 = 415
9. 결론 = 420
제Ⅴ부 교육과정의 탐구 : 회고와 전망
제14장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역사적 조망 = 427
1. 교육과정 역사가들 = 429
2. 교육과정 분야의 기초자들 = 432
3. 헤르바르트주의와 McMurrry 형제 = 433
4. 헤르바르트주의에 대한 듀이의 반대 = 438
5. 과학적 교육과정 편성 : Franklin Bobbitt과 Werrett W. Charters = 441
6. 수업의 개선 = 448
7. 합리적 교육과정 편성 = 452
8. 결론 = 454
제15장 교육과정 이론과 탐구에 대한 전망 = 459
1. 교육과정 영역의 위상 = 460
2. 교육과정 탐구의 방향 = 469
3. 학교와 교실에서의 탐구 = 472
4. 결론 = 478
찾아보기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