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85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787894 | |
005 | 20100805015253 | |
007 | ta | |
008 | 020708s2002 ulka 000a kor | |
020 | ▼a 898905608X ▼g 03300 : ▼c \9000 | |
035 | ▼a KRIC08246943 | |
040 | ▼a 211064 ▼c 211064 ▼d 211009 | |
049 | 1 | ▼l 111223840 ▼f 개가 ▼l 111223841 ▼f 개가 |
082 | 0 4 | ▼a 303.484 ▼2 21 |
090 | ▼a 303.484 ▼b 2002a | |
245 | 0 0 | ▼a 사회운동가들과 함께 세상 읽기 / ▼d 홍세화...[등저]. |
260 | ▼a 서울 : ▼b 책벌레 , ▼c 2002. | |
300 | ▼a 255 p. : ▼b 삽도 ; ▼c 22 cm. | |
440 | 0 0 | ▼a 책벌레 좋은 책 ; ▼v 9 |
500 | ▼a 겉표지저자: 권영길, 홍세화 외 | |
700 | 1 | ▼a 홍세화 ▼0 AUTH(211009)44835 |
700 | 1 | ▼a 권영길 ▼0 AUTH(211009)138488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03.484 2002a | 등록번호 111223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C/동양서 | 청구기호 303.484 2002a | 등록번호 1112238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수행(지은이)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의 대표적인 마르크스 경제학자. 서울대 경제학부 퇴임 후 성공회대 석좌교수로 연구와 강의에 매진하던 중, 2015년 7월 향년 73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주요 저서로 최초의 한국어 전권 완역본인 <자본론>을 비롯하여 <정치경제학원론>, <<자본론>의 현대적 해석>, <자본주의 경제의 위기와 공황>, <마르크스가 예측한 미래사회: 자유로운 개인들의 연합>, <세계대공황: 자본주의의 종말과 새로운 사회의 사이>, <자본론 공부> 등이 있다.
홍근수(지은이)
부산 진구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신학대학을 졸업했다. 이든(Eden)신학교 대학원에서 목회학박사학위(1967)를 받았고, 시카고 루터신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학위(1984)를 받았다. 이후 향린교회 담임목사를 역임했고,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1년 6개월 징역 후 사면복권 되었다. 2006년 현재,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상임공동대표, 한국기독교 시민연대 공동대표, 민주노동당 후원회장, 민중의 소리 방송국 후원회장, 노동인권회관 이사장, 6?15남북공동선언 실천위원회 남측 본부 공동대표, 평화통일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법정일기 『통일의 길, 십자가의 길』, 『아침저녁 주님과 함께』, 『일용할 양식』, 『빈들에서 외치는 선교』외 다수가 있다.
전명혁(지은이)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에서 「1920년대 국내 사회주의운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학교 민주자료관 부관장,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연구소 책임연구원, 진실화해위원회 TF팀장, 역사학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논저로 『1920년대 한국사회주의운동 연구』(도서출판 선인, 2006), 『형사판결문으로 본 3・1운동 시기 일상과 사회, 형사판결문으로 본 치안유지법 사건과 1920년대 사회주의운동』(도서출판 선인, 2020), 「1920년대 사상사건의 치안유지법 적용 및 형사재판과정」,「1930년대 초 사회주의 잡지 이러타의 성격과 지향」, 「1960년대 ‘1차 인혁당’ 연구」, 「1960년대 ‘동백림사건’과 정치・사회적 담론의 변화」등이 있다.
최규진(지은이)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 성균관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노동운동사를 전공했으며 노동사 또는 일상생활사로 연구 영역을 확장했다. 사회실천연구소와 역사학연구소에 참여하면서 역사 대중화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이 약 한번 잡숴 봐!》, 《조선공산당재건운동》, 《근대를 보는 창 20》, 《일제의 식민교육과 학생의 나날들》, 《근현대 속의 한국》(공저), 《쟁점 한국사》(공저), 《일제강점기 경성부민의 여가생활》(공저) 등이 있다. 그 밖에 노동운동사와 일상생활사 관련 논문을 썼다.
이정구(지은이)
중국 경제, 현대사 전공. 경상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부산대 중국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 『중국경제』(공역, 2010), 『좀비 자본주의』(공역, 2012), 『왜 우리는 더 불평등 해지는가』(공저, 2014), 『MMT 논쟁』(공저, 2021) 등이 있다.
권영길(지은이)
민주노총 초대 위원장(1995 ~ 97년)을 역임했다. 1997년 국민승리 21, 2002년 민주노동당 후보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다. 2000년부터 민주노동당 대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4년 17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김무용(지은이)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김인식(지은이)
민주노동당 중앙위원이며, '다함께' 편집부에서 활동하고 있다.
문정현(지은이)
<B>신부 </B> 문정현은 여든 살이다. 1975년 인혁당 수형자들이 사형선고 하루 만에 형장의 이슬이 되고 시신마저 탈취당할 때, 영구차를 가로막고 몸을 던진 젊은 사제였다. 1976년 박정희 영구집권에 반대하는 3·1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감옥에 갇혔다. 그늘진 땅 고통받는 이들을 예수로 섬기고, 거리를 교회로 삼아 평생을 보냈다. 매향리·대추리·용산·강정…… 그의 흔적이 배지 않은 고통의 땅이 어디인가.
유덕상(지은이)
민주노총 수석 부위원장, 한국통신 노동조합 위원장, 투자협정.WTO 반대 국민행동 공동집행위원장을 역임했다. 2002년 현재 메이데이 포럼 대표로 있다.
이혜순(지은이)
전국여성노조 기획국장. 1991년 ~ 96년에 서울지역노동조합협의회에서 활동했다. 1997년부터 2001년 7월까지 민주노총 여성국장으로 있으면서 여성 노동자 사업을 조직했다.
이마드 앗딘 자우하르(지은이)
1963년 수단에서 태어났다. 수단 카르툼 국립대 정치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연세대 국제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재 카르툼 대학에서 한국 정치경제를 연구(박사 과정)하면서, 명지대학교 아랍어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아랍지역학과에 전임강사로 재직 중이다.
정진우(지은이)
1995년 4월부터 외국인노동자 운동을 시작해 외국인노동자대책협의회 실행위원과 홍보출판위원장을 역임했다. 2002년 현재 외국인노동자 인권문화센터의 실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면희(지은이)
성균관대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환경윤리와 자연의 가치」를 주제로 철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대안 녹색대학 창립자의 일원으로 교수와 대표를 맡았고, 한국환경철학회 회장과 환경정의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성균관대 초빙교수와 한중통합의학협회 회장, 21세기공화주의클럽 공동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환경윤리』(1997)와 『초록문명론』(2004), 『동아시아 문명과 한국의 생태주의』(2009), 『제3정치 콘서트』(2012) 등 다수가 있다.
장석준(지은이)
사회학을 공부했고 진보정당 운동의 정책 및 교육 활동에 참여해왔다. 진보신당 부대표, 정의당 부설 정의정책연구소 부소장을 역임했으며, 출판&연구공동체 산현재의 기획위원이다. 저서로 《근대의 가을》 《장석준의 적록서재》 《세계 진보정당 운동사》 《사회주의》 《신자유주의의 탄생》 《능력주의, 가장 한국적인 계급 지도 / 유령들의 패자부활전》(공저) 등이 있고, 《길드 사회주의》 《G. D. H. 콜의 산업민주주의》 《유럽민중사》 《안토니오 그람시 옥중수고 이전》(공역)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홍세화(지은이)
무역회사원, 난민, 택시기사, 언론인 생활을 거쳐 지금은 은퇴한 산책자의 일상을 보내고 있으며,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은행장(?) 명함을 자랑스럽게 휴대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생각의 좌표』, 『결 : 거칢에 대하여』, 『거꾸로 생각해 봐!』(공저), 『능력주의와 불평등』(공저)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이 책을 내면서 = 5 1부 한국 사회 바로 읽기 정치 읽기 언론 읽기 / 홍세화 = 13 2002년 대통령 선거와 민주노동당 / 권영길 = 23 월드컵과 정치 / 김인식 = 33 남북관계 왜 풀리지 않는가? / 홍근수 = 47 2부 격동하는 세계 아르헨티나는 어디로? / 이정구 = 63 9·11 공격과 미국 / 문정현 = 77 이슬람 이해하기 / 이마드 앗딘 자우하르 = 85 3부 세계화와 반자본주의 운동 오늘의 자본주의와 노동 운동 / 유덕상 = 97 오늘의 서유럽 좌파와 그 운동 / 장석준 = 113 자본의 세계화, 무엇이 문제인가? / 김수행 = 135 세계화와 환경 파괴 그리고 환경 정의 / 한면희 = 147 세계화와 여성 노동자 / 이혜순 = 163 왜 외국인 이주노동자를 환영해야 하는가? / 정진우 = 175 4부 미래를 위한 과거 1920년대 한국 사회주의 운동사 / 전명혁 = 191 1930년대 한국 사회주의 운동사 / 최규진 = 215 1940년대 한국 사회주의 운동사 / 김무용 =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