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평생교육정책론 : 교육선진국의 정책행정과 평생교육의 실태비교

평생교육정책론 : 교육선진국의 정책행정과 평생교육의 실태비교 (3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양교 李亮敎 , 1942-
서명 / 저자사항
평생교육정책론 : 교육선진국의 정책행정과 평생교육의 실태비교 / 이양교 저.
발행사항
서울 :   學文社 ,   2002.  
형태사항
638 p. : 삽도,서식및양식 ; 26 cm.
ISBN
8946733322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637]-638
000 00742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787750
005 20100805014914
007 ta
008 020620s2002 ulkak 000a kor
020 ▼a 8946733322 ▼g 93370 : ▼c ₩20000
035 ▼a KRIC08218896
040 ▼a 311197 ▼c 311197 ▼d 211009
049 1 ▼l 111219811 ▼f 개가 ▼l 111219812 ▼f 개가
082 0 4 ▼a 374.12 ▼2 21
090 ▼a 374.12 ▼b 2002
100 1 ▼a 이양교 ▼g 李亮敎 , ▼d 1942-
245 1 0 ▼a 평생교육정책론 : ▼b 교육선진국의 정책행정과 평생교육의 실태비교 / ▼d 이양교 저.
246 1 1 ▼a Lifeㆍlong education policy
260 ▼a 서울 : ▼b 學文社 , ▼c 2002.
300 ▼a 638 p. : ▼b 삽도,서식및양식 ; ▼c 26 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 : p.[637]-638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4.12 2002 등록번호 1112198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4.12 2002 등록번호 1112198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양교(지은이)

<평생교육정책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편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의의
 1-1 평생교육에 관한 기초개념 = 29
  제1절 평생교육의 개념 = 29
   1. 평생교육의 생성배경 = 30
   2. 평생교육에 관한 나라별 정의 = 32
   3. 평생교육의 개념 종합 = 36
  제2절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의의 = 41
   1.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 41
   2. 사회교육을 평생학습으로의 전환 = 42
   3. 평생교육과 유사개념들과의 차이 = 43
 1-2 우리나라 평생교육정책의 시대적 구분 = 46
  제1절 평생교육과 성인기초교육단계(1945∼1950년대) = 46
   1. 교원양성과 재교육 = 47
   2. 문맹퇴치와 한글보급 = 48
   3. 공민학교와 고등공민학교의 개설 = 49
   4. 문맹퇴치 5개년 계획 = 49
   5. 농촌계몽활동과 문고 설치 = 50
  제2절 평생교육과 계속교육의 정착단계(1960∼1970년대) = 50
   1. 재건국민운동과 마을문고 = 51
   2. 사설강습소와 학원교육 = 51
   3. 향토학교와 새마을교육운동 = 52
   4. 도서관의 법제화와 정비 = 52
   5. 미취학 및 근로청소년 교육 = 53
   6. 해외교포의 교육 = 53
  제3절 평생교육을 위한 제도적 구축단계(1980∼2001) = 54
   1. 평생교육의 헌법규정과 사회교육법제 = 54
   2. 방송통신대학과 개방대학의 신설 = 55
   3. 독학에 의한 학위 취득 = 56
   4. 대학에서의 평생교육 = 57
   5. 각종 문화센터와 회관에서의 평생교육 = 57
   6. 기타 사회교육으로서의 평생교육 = 58
 1-3 평생교육에 관한 한국적 비전 = 59
  제1절 평생교육 이념과 국가발전의 목표 = 60
   1. 평생교육 이념의 설정 = 60
   2. 평생교육과 국가발전 정책의 목표 = 61
  제2절 평생교육의 국가 발전 정책과 비전 = 63
   1. 평생학습을 위한 사회건설과 국민능력 제고 = 63
   2. 성인교육의 기회와 국가경쟁력 강화 = 63
   3. 학력위주의 사회를 능력위주의 사회로 = 64
   4. 국민의 평생학습을 위한 정부정책의 강화 = 65
   5. 다양한 원격교육에 의한 평생학습의 기회확충 = 66
 1-4 평생교육·평생학습 시대의 도래 = 68
  제1절 미래사회의 환경적 변화와 특징 = 68
   1. 첨단기술과 정보화에 의한 지식기반사회의 도래 = 68
   2. 세계화·개방화의 가속화와 지역주의 공존 = 70
   3. 다원화 사회로부터 각양의 문화적 지배사회 = 71
   4. 산업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지식의 인적자본화 시대 = 72
  제2절 교육환경의 변화와 평생교육의 필요성 = 73
   1. 과학기술에 의한 산업과 직업구조의 다변화 = 73
   2. 의학기술에 의한 인구구조와 삶의 주기변화 = 75
   3. 지식 및 정보의 폭발로 인한 인간소외 현상 = 78
   4. 여가시간과 지식수준에 의한 빈부격차 = 79
제2편 외국의 평생교육제도와 그 정책
 2-1 교육선진국의 평생교육 법제 = 83
  제1절 미국의 평생교육 법제 = 83
   1. 평생교육 관계법의 기원 = 83
   2. 미국의 평생학습법 = 85
   3. 평생교육·평생학습제도와 재정 = 86
  제2절 일본의 생애교육 법제 = 87
   1. 종래의 사회교육법 = 87
   2. 생애학습진흥법 = 88
   3. 사회교육 관련 정책시스템 = 89
   4. 중앙 및 지방정부의 교육행정 = 91
   5. 일본의 사회교육시설 = 91
  제3절 영국의 평생교육 법제 = 92
  제4절 독일의 국민교육 법제 = 93
 2-2 교육선진국의 영·유아교육정책 = 94
  제1절 외국의 보육정책 및 제도 = 94
   1. 영유아보육의 사회적 배경 = 94
   2. 외국의 보육정책과 일반적인 추이 = 95
   3. 보육정책면에서 본 외국의 평생교육 = 96
   4. 보육정책의 제도면에서 본 외국의 사례 = 97
 2-3 교육선진국의 청소년교육정책 = 108
  제1절 독일의 청소년교육정책과 활동 = 108
   1. 청소년정책의 행정체계 = 108
   2. 청소년의 교육활동 체계 = 109
  제2절 미국의 청소년교육정책과 활동 = 112
   1. 청소년정책의 행정체계 = 112
   2. 청소년의 교육활동 체계 = 113
  제3절 영국의 청소년교육정책과 활동 = 115
   1. 청소년정책의 행정체계 = 115
   2. 청소년의 교육활동 체계 = 116
  제4절 일본의 청소년교육정책과 활동 = 119
   1. 청소년정책의 행정체계 = 119
   2. 청소년의 교육활동 체계 = 120
  제5절 프랑스의 청소년교육정책과 활동 = 123
   1. 청소년정책의 행정체계 = 123
   2. 청소년의 교육활동 체계 = 124
 2-4 교육선진국의 노인교육정책 = 126
  제1절 덴마크의 노인교육정책과 활동 = 126
  제2절 미국의 노인교육정책과 활동 = 128
   1. Elderhostel 프로그램 = 129
   2. 퇴직자들을 위한 교육정책 = 129
   3. 컴퓨터 교육 프로그램 = 131
   4. 노인센터 프로그램 = 131
  제3절 영국의 노인교육정책과 활동 = 134
  제4절 일본의 노인교육정책과 활동 = 136
   1. 고령자문제와 교육의 제도개혁 = 137
   2. 고령자교육의 사회교육화 = 138
   3. 고령자교실의 활성화 = 140
  제5절 캐나다의 노인교육정책과 활동 = 141
  제6절 프랑스의 노인교육정책과 활동 = 142
 2-5 교육선진국의 교원교육정책 = 144
  제1절 미국의 교원교육정책과 활동 = 144
   1. 자격 갱신을 위한 연수활동 = 145
   2. 임용과 보수와의 연계운영 = 149
   3. 지역별 교사 연수센터 활용 = 149
  제2절 영국의 교원교육정책과 활동 = 150
   1. 기관 중심의 연수 = 152
   2. 학교 자율연수 제도 = 152
   3. 국가수준의 교장연수 프로그램 = 153
  제3절 일본의 교원교육정책과 활동 = 154
  제4절 프랑스의 교원교육정책과 활동 = 156
 2-6 교육선진국의 직업훈련과 교육정책 = 158
  제1절 독일의 직업훈련과 교육정책 = 158
   1. 교육훈련의 이원화 제도 = 158
   2. 계속훈련과 교육 프로그램 = 160
  제2절 싱가포르의 교육훈련정책 = 161
  제3절 영국의 훈련분담금 제도 = 163
   1. 영국 산업훈련위원회의 발전과정 = 163
   2. 분담금·장려금 제도의 사례(기계산업훈련위원회) = 164
  제4절 프랑스의 훈련분담금 제도 = 165
   1. 도제세(徒弟稅 Taxe d'apprentissage)제도 = 165
   2. 계속교육훈련 = 166
  제5절 호주의 훈련보장제도 = 167
  제6절 선진 직업훈련교육제도의 교훈 = 169
 2-7 교육선진국의 산업교육정책 = 171
  제1절 미국의 공공산업교육정책과 활동 = 171
  제2절 영국의 공공산업교육정책과 활동 = 173
  제3절 캐나다의 공공산업교육정책과 활동 = 174
  제4절 외국 기업에서의 개별 산업교육 = 176
   1. 다국적 기업의 교육투자 = 177
   2. 산업교육의 전달방법 = 177
   3. 산업교육 부서의 기능 변화 = 177
 2-8 교육선진국의 인적자원개발 교육정책 = 179
  제1절 외국기업의 사내대학 운영방법 = 180
   1. 기업의 사내대학 운영원칙 = 180
   2. 기업의 사내대학 구조와 정책 = 181
  제2절 다국적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 182
   1. 다국적 기업의 산업조직 = 182
   2. 인적자원개발과 교육방법 = 184
 2-9 교육선진국의 원격교육과 평생학습 = 189
  제1절 원격교육에 의한 선진국의 학습동향 = 191
   1.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원격교육 동향 = 191
   2.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체간의 원격교육 = 195
  제2절 외국의 정보통신 인프라와 원격교육 시스템 = 197
  제3절 원격교육 시스템의 국제표준화와 발전과제 = 199
   1. 사이버교육 시스템의 국제표준화 동향 = 199
   2. 원격교육 시스템 기술의 발전과제 = 200
 2-10 교육선진국의 성인교육정책 = 202
  제1절 미국의 성인교육정책과 활동 = 203
   1. 지식기반사회의 성인교육 = 203
   2. 지식기반사회의 이행을 위한 성인교육정책 = 204
   3. 성인교육지원법 = 205
   4. 성인교육의 재정지원 = 206
   5. 성인교육기관 = 207
  제2절 영국의 성인교육정책과 활동 = 207
   1. 평생교육체제로의 이행 = 207
   2. 성인교육의 배경 = 208
   3. 성인교육의 개혁 = 209
 2-11 교육선진국의 장애인 교육정책 = 214
  제1절 미국의 장애인교육정책과 활동 = 214
   1. 장애인교육의 법적 근거 = 214
   2. 장애인교육의 정책현황 = 215
   3. 장애인교육의 발전방향 = 218
  제2절 영국의 장애인교육정책과 활동 = 218
   1. 장애인교육의 법적 근거 = 218
   2. 장애인교육의 정책현황 = 219
   3. 장애인교육의 발전방향 = 220
  제3절 일본의 장애인교육정책과 활동 = 221
   1. 장애인교육의 법적 근거 = 221
   2. 장애인교육의 정책현황 = 221
  제4절 호주의 장애인교육정책과 활동 = 223
   1. 장애인교육의 법적 근거 = 223
   2. 장애인교육의 정책현황 = 224
   3. 장애인교육의 발전방향 = 227
 2-12 교육선진국의 학원과 평생교육정책 = 228
  제1절 외국의 사설학원교육정책과 기능 = 228
   1. 외국 학원교육의 법적 근거와 교습과정 = 228
   2. 외국학원의 사회적 역할 = 230
   3. 외국의 학원교육 관리와 평가 = 232
   4. 학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유도정책 = 237
  제2절 외국 학원교육으로부터의 시사점 = 238
   1. 학원설립의 용이성과 학원경영 = 238
   2. 학원교육과 공교육과의 연계 = 239
   3. 학원교육의 규제정책과 효율성 도모 = 239
   4. 직업교육훈련기관으로서의 역할 = 240
   5. 학원교육의 사회적 평가제고 = 240
   6. 학원교육의 경영합리화와 유도정책 = 240
 2-13 국제기국에서의 평생교육정책 = 242
  제1절 UNESCO의 평생교육정책 = 242
   1. 유네스코의 평생교육이념과 활동 = 243
   2. 유네스코의 교육계획과 체제개편 = 249
  제2절 OECD의 평생학습 권고안 = 251
   1. 평생학습의 토대강화와 연계성 = 253
   2. OECD의 역할과 책임 = 255
제3편 우리 나라 평생교육정책과 그 운용
 3-1 우리 나라 평생교육기관의 분류 = 261
 3-2 우리 나라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267
  제1절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에 대한 개념 = 267
  제2절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 변천 = 268
   1. 공민학교와 고등공민학교 = 268
   2. 기술학교와 고등기술학교 = 269
   3. 산업체 부설 학교와 특별학급 = 271
   4. 각종학교 = 272
   5. 산업대학 = 273
   6. 특수학교 = 274
   7. 재외국민 교육기관 = 275
   8. 소년원학교 = 277
  제3절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 278
 3-3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운영 = 280
  제1절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설립 의의 = 280
  제2절 방송통신고등학교의 운영기구와 조직 = 281
  제3절 방송통신고등학교의 현황 = 281
  제4절 방송통신고등학교의 교육과정 = 282
  제5절 컴퓨터에 의한 통신학습 시스템 = 283
  제6절 방송통신고등학교의 과제 = 284
 3-4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운영 = 285
  제1절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의 역사 = 285
  제2절 방송통신대학교의 운영현황 = 286
   1. 학생현황과 지원동기 = 286
   2. 통신교육의 프로그램 = 288
   3. 교수와 학습방법 = 288
  제3절 방송통신대학교의 발전과제 = 290
 3-5 기업의 사내대학과 평생교육 = 291
  제1절 기업체의 산업교육 동향 = 291
  제2절 기업체의 평생교육시설 유형 = 293
  제3절 기업체에서의 평생교육시설 운영 = 294
   1. 기업의 사내대학 = 294
   2. 기업의 사내기술대학 = 297
   3. 기업의 사내기술대학원 = 298
  제4절 기업체의 평생교육 활성화 과제 = 300
 3-6 각급학교의 부설 평생교육시설 = 302
  제1절 초·중등학교에서의 평생교육 = 302
  제2절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 = 305
  제3절 대학 부설 어학원 = 309
  제4절 시간제 등록제도 = 312
  제5절 전문대학의 전공심화과정 = 313
  제6절 각급학교 부설 평생교육의 발전과제 = 315
 3-7 원격교육시설과 평생교육의 정보화 = 317
  제1절 평생교육 정보화의 의의 = 317
  제2절 원격교육시설에 의한 평생교육 = 319
   1. 원격교육에 의한 평생학습 체제 = 319
   2. 사이버 평생교육의 현황 = 321
  제3절 평생교육의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331
  제4절 원격교육의 평생학습 발전과제 = 334
 3-8 언론기관에 의한 부설 평생교육 = 337
  제1절 언론기관 부설 평생교육의 개념 = 338
  제2절 언론기관 부설 평생교육의 현황 = 339
   1. 언론기관의 평생교육 목적 = 339
   2. 언론기관의 평생교육 현황 = 340
   3. 언론기관의 평생교육 운영 = 341
   4.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 342
  제3절 언론기관 부설 평생교육의 과제 = 343
 3-9 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시설 = 345
  제1절 인적능력의 개발과 평생교육 = 346
  제2절 공무원의 연수기관 현황 = 347
   1. 공무원교육 훈련기관 = 347
   2. 정부재정지원 기관의 교육훈련 = 348
   3. 민간교육 훈련기관 = 353
  제3절 능력개발형 평생교육의 전망 = 355
 3-10 각종 학원에서의 평생교육 = 357
  제1절 학원의 개념과 교습과정 = 358
   1. 학원의 개념 = 358
   2. 학원의 교습과정 = 358
  제2절 학원관련 법령의 변천과 체계 = 359
   1. 학원관련 법령 체계 = 360
   2. 학원관련 법령의 변천 = 360
  제3절 학원설립과 운영의 규제개혁 = 362
   1. 학원 규제정책의 추진 = 363
   2. 규제정책의 추진성과 = 364
  제4절 학원의 규제완화와 발전과제 = 367
 3-11 문화교육기관에서의 평생교육 = 369
  제1절 문화교육기관의 현황 = 370
  제2절 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 = 372
   1. 박물관 = 372
   2. 문화보급 전수시설 = 376
   3. 도서관의 프로그램 = 378
   4. 기타 문화교육 프로그램 = 380
  제3절 문화교육의 전망과 과제 = 383
 3-12 지역평생교육기관에서의 평생교육 = 386
  제1절 지역평생교육기관의 교육적 의미 = 386
  제2절 지역평생교육기관의 유형과 현황 = 388
   1. 지역평생교육기관의 유형 = 388
   2. 유형별 지역평생교육기관 현황 = 388
  제3절 지역평생교육기관의 활성화 방안 = 398
제4편 우리 나라 평생교육법과 그 해설
 4-1 평생교육법 총칙 = 403
  제1절 평생교육법의 목적 = 403
   1. 평생교육의 입법취지 = 403
   2. 입법목적 = 404
  제2절 정의 및 다른 법률과의 관계 = 404
   1. 법적 용어의 해설 = 405
   2. 평생교육의 법적 개념과 적용 사례 = 406
   3. 평생교육기관의 현황 = 408
   4. 각 부처별 평생교육 관계법령 = 409
   5. 평생교육 관계법령의 특성별 분류 = 410
  제3절 평생교육의 이념과 교육과정 = 411
   1. 평생교육 이념과 교육과정 = 411
   2. 평생교육과정 이수자의 사회적 대우 = 412
  제4절 공공시설의 이용 = 413
  제5절 학습휴가 및 학습비 지원 = 414
   1. 학습휴가 등 지원의 입법취지 = 414
   2. 입법과정에서의 쟁점사항 = 414
   3. 학습휴가제와 지원 = 414
   4. 외국의 학습휴가제 사례 = 415
  제6절 평생교육시설 설치자의 역할 = 415
   1. 시설설치자의 입법취지 = 415
   2. 평생교육설치자의 의무(역할) = 415
   3. 평생교육시설 설치자에 대한 행정처분 = 415
 4-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 417
  제1절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 417
   1. 국가임무의 입법취지 = 418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 418
   3. 교육감 소속하의 '평생교육협의회' 설치 = 419
   4. 학습자 및 평생교육 지도·지원 = 419
  제2절 평생교육 전담·지원기구 설치와 운영 = 420
   1. 관련기구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입법취지 = 421
   2. 입법과정에서의 쟁점사항 = 421
   3. 중앙단위의 평생교육센터 운영 = 421
   4. 시·도 단위의 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운영 = 422
   5. 지역단위의 평생학습관 운영 = 423
   6. 평생교육기관 상호 연계체계 및 평생학습정보 교류망의 구축 = 423
   7. 정보화 관련 평생교육의 진흥 = 424
   8. 평생교육전담·지원기구의 사례 = 424
  제3절 전문인력정보은행제 및 교육계좌제 운영 = 426
   1. 전문인력정보은행제(강사정보은행제) = 426
   2. 평생학습의 교육계좌제 = 428
 4-3 평생교육사 제도 = 432
  제1절 평생교육사의 임무, 자격요건 등 = 432
   1. 평생교육사 제도의 입법취지와 역할 = 434
   2. 자격 취득기관과 임무 = 434
   3. 평생교육사의 결격사유 = 435
   4. 평생교육사의 등급 및 자격요건 = 435
   5. 평생교육영역의 과목이수 = 437
   6. 평생교육실습 = 439
   7. 평생교육사의 자격증 발급절차와 신청 = 440
   8. 자격증의 재발급 = 440
   9. 자격증 발급 및 재발급 권한 위임 = 441
   10. 외국의 평생교육사제도(사례) = 441
  제2절 평생교육사 양성 및 연수 = 443
   1. 평생교육사 양성과 연수의 입법취지 = 444
   2. 입법과정에서의 쟁점사항 = 444
   3. 평생교육사의 양성기관 = 445
  제3절 평생교육사의 배치 = 447
   1. 평생교육사의 배치에 관한 입법취지 = 448
   2. 입법과정에서의 쟁점사항 = 448
   3. 사회교육전문요원과 평생교육사의 비교 = 449
 4-4 평생교육시설 = 450
  제1절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451
   1.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개념 및 설치자 결격사유 = 451
   2. 학교형태의 평생교육시설과 설비 = 452
   3.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의 등록절차 = 453
   4.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의 지정 및 폐쇄 = 456
  제2절 사내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460
   1. 사내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의 개념 = 460
   2. 사업장의 범위(사내대학의 설치주체) = 463
   3. 사내대학의 설치인가 및 폐쇄 = 464
   4. 사내대학의 설치기준 = 470
   5. 사내대학 운영경비의 부담 = 473
   6. 사내대학의 학사관리 = 474
  제3절 원격형태의 평생교육시설 = 483
   1. 원격형태 평생교육시설의 개념 및 유형 = 483
   2. 원격교육형태의 평생교육시설(학력 미인정시설) = 486
   3. 원격대학의 설치자 = 489
   4. 원격대학의 설치인가 및 폐쇄통보 = 492
   5. 원격대학의 설치기준 = 497
   6. 원격대학의 학사관리 = 502
   7. 원격대학의 수업료 등 = 509
   8. 원격대학의 재무·회계 = 510
  제4절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시설 = 511
   1. 입법취지와 사업장 부설 평생교육시설 = 511
   2. 신고절차 = 512
   3. 신고사항의 변경 등 폐쇄 = 512
   4. 종전 사회교육법에 의한 일반사회교육시설의 처리 = 513
  제5절 시민사회단체 부설 평생교육시설 = 513
   1. 입법취지와 설치 = 514
   2. 시민사회단체의 규모한정 이유 = 514
  제6절 학교 부설 평생교육시설 = 514
   1. 입법취지 = 515
   2. 각급학교 부설 평생교육시설의 설치 = 516
   3. 대학의 평생교육과정 운영 = 516
  제7절 언론기관 부설 평생교육시설 = 517
   1. 입법취지 = 518
   2. 언론기관의 범위 = 518
  제8절 지식·인력개발사업관련 평생교육시설 = 519
   1. 입법취지와 신고 및 제 절차 등 = 520
   2. 지식·인력개발사업관련 평생교육시설의 설치요건 = 521
   3. 설치요건으로서 자본금·자산 3억원, 전문인력 5명 이상의 법인으로 한정한 이유와 유형 = 521
 4-5 보칙 = 523
  제1절 학점 등의 인정 = 523
   1. 학점 등의 인정에 관한 입법취지 = 524
   2. 경험학습자의 학점 및 학력인정 = 524
   3. 학점은행제(Credit Bank System)의 개요 = 524
   4. 경험학습자와 자격인정자 등 고등교육 기회 확대 = 526
  제2절 행정처분 = 526
   1. 입법취지와 행정처분의 종류 = 527
   2. 행정처분의 사유 = 527
   3. 시설 설치자의 결격사유 = 527
   4. 평생교육과정의 운영정지 = 527
  제3절 청문 = 528
   1. 입법취지와 해설 = 528
   2. 청문의 진행과 종결 = 529
  제4절 권한의 위임 = 529
  제5절 과태료의 부과·징수 = 530
   1. 입법취지와 과태료 부과 대상 = 531
   2. 과태료의 부과절차 = 531
 4-6 부칙 = 532
  1. 입법취지와 법령의 시행 = 533
  2. 종전의 사회교육시설 = 533
  3. 종전의 사회교육과정 이수자 = 534
  4. 종전의 규정에 의한 학력인정 = 534
  5. 종전 사회교육전문요원에 관한 경과조치 = 534
제5편 평생교육정책의 발전방향과 과제
 5-1 평생교육·평생학습의 발전방향 = 537
  제1절 평생교육법과 새로운 평생학습체제 = 539
  제2절 평생교육의 발전추이와 그 동향 = 540
  제3절 평생교육 체제구축의 기본방향 = 543
 5-2 평생교육을 위한 체제의 구축 = 545
  제1절 평생교육의 세계적 추이 = 545
   1. 국민의 권리로서 성인교육 확대 = 546
   2. 고등교육에 관한 기회의 확대 = 547
   3. 성인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 549
   4. 인적자본 개발의 제도화 = 551
   5. 정보화를 통한 평생교육의 국제화 = 552
   6. 국가 문제해결 차원의 성인교육 = 552
  제2절 평생교육을 위한 발전체제의 구축 = 553
   1. 고등교육기관에서의 인적자원 개발 = 553
   2. 평생교육관련 정책의 확대와 위상증진 = 554
   3. 평생교육기관의 인적 네트워크 형성 = 554
   4. 원격교육을 위한 시스템의 확충 = 555
   5. 모든 사람을 위한 평생학습기회의 보장 = 555
   6. 평생교육을 위한 상담지원 체제의 구축 = 556
 5-3 우리 나라 평생교육의 전망과 과제 = 557
부록
 Ⅰ. 평생교육법 = 565
 Ⅱ. 평생교육법 시행령 = 573
 Ⅲ. 평생교육법 시행규칙 = 590
 Ⅳ. 기술대학 설립·운영규정 = 625
 Ⅴ. 대학 설립·운영규정 = 631
참고 및 인용자료 = 637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