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미시적 접근 자율장학을 기대하며 = 7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을 기대하며 = 9
제1부 수업연구의 개념
제1장 장학에서의 미시적 접근 = 27
Ⅰ. 미시교육학의 개념 = 28
1. 미시교육학의 구성 모형 = 28
2. 미시교육학의 정의 = 30
3. 미시교육학적 안목 = 31
Ⅱ. 장학에서의 미시적 접근 = 33
1. 장학의 유형 = 33
2. 수업장학의 개념 = 35
3. 미시적 장학과 거시적 장학 = 37
제2장 수업연구의 개념 = 41
Ⅰ. 수업연구의 의의 = 42
1. 수업연구의 중요성 = 42
2. 수업연구의 목적 = 43
3. 수업연구와 연구수업 = 43
Ⅱ. 학교 수업연구의 유형 = 46
1. 수업연구의 패러다임 = 46
2. 수업연구의 연구 형태 = 51
Ⅲ. 주제 수업연구 모형 = 59
1. 주제 수업연구의 모형 = 59
2. 학교 수업연구 주제 선정 = 59
3. 학교 수업연구 추진 계획(사례) = 61
제3장 연구 체제와 논문 체재 = 65
Ⅰ.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 66
1. 양과 질 = 66
2.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 67
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특성 = 70
Ⅱ. 일반논리와 연구논리 = 73
1. 논리의 개념 = 73
2. 일반논리와 과학논리 = 74
3. 양적연구의 과정과 질적연구의 과정 = 78
Ⅲ. 연구 체제와 논문 체재 = 91
1. 체제의 개념 = 91
2. 양적연구 체제와 질적연구 체제 = 96
3. 연구 체제와 논문 체재 = 101
4. 수업연구 계획서 체재와 보고서 체재 = 103
제2부 수업연구 계획과 실천
제4장 수업연구 주제 선정 = 109
Ⅰ. 주제의 개념 = 110
1. 주제의 특성 = 110
2. 변인과 명제 = 111
3. 주제의 소재 = 114
Ⅱ. 주제 선정의 방법 = 116
1. 주제 선정의 과정 모형 = 116
2. 연구문제의 발견 = 118
3. 연구문제의 분석 = 120
4. 연구문제의 제기 및 평가 = 124
Ⅲ. 주제 진술의 방법 = 128
1. 주제 진술의 일반 모형 = 128
2. 연구의 특성과 주제 진술 유형 = 129
3. 주제 진술상의 유의점 = 132
제5장 수업연구 계획서 작성 = 137
Ⅰ. 계획서의 유형과 과정 = 138
1. 기획과 계획 = 138
2. 수업연구 계획서의 유형 = 138
3. 수업연구 기획의 과정 모형 = 140
Ⅱ. 서론의 구성 방법 = 141
1. 서론의 구성 내용 = 141
2. 교육목적과 연구목적 = 142
3. 제한과 범위 = 148
4. 용어의 정의 = 152
Ⅲ. 수업연구 기획서 작성 = 157
1. 체재 = 157
2. 수업연구 기획서 작성 방법 = 158
3. 수업연구 기획서(사례) = 167
제6장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 = 173
Ⅰ. 이론적 고찰 방법 = 174
1. 이론적 배경의 중요성 = 174
2. 이론적 배경의 구성 = 175
3. 이론적 고찰 방법 = 178
Ⅱ. 이론적 배경의 논술 방법 = 180
1. 종속변인(Y변인)의 논술 = 182
2. 독립변인(X변인)의 논술 = 184
3.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관계 논술 = 186
Ⅲ. 선행연구의 분석과 논술 방법 = 188
1. 선행연구의 분석 계획 = 188
2. 인터넷 검색 방법 = 189
3. 선행연구 분석 결과 논술 방법 = 191
제7장 수업가설의 설정 = 195
Ⅰ. 가설의 설정과 진술 = 196
1. 가설의 개념 = 196
2. 가설의 설정 과정 = 200
3. 가설의 진술 방법 = 209
Ⅱ. 현장실태 분석과 제시 = 213
1. 현장실태 분석 방법 = 213
2. 현장실태 분석 결과 제시 = 218
3. 현장실태 분석(사례) = 221
Ⅲ. 수업가설의 설정과 진술 = 223
1. 수업가설의 설정 = 223
2. 수업모형의 제시 = 224
3. 수업설계 모형 제시 = 225
제3부 자기 수업모형의 구안
제8장 자기 수업모형의 개념 = 229
Ⅰ. 자기 수업모형의 개념 = 230
1. 자기 수업모형의 필요성 = 230
2. 모형의 개념 = 231
3. 수업모형의 분류 = 233
Ⅱ. 이론의 구성 과정 = 237
1. 이론의 중요성 = 237
2. 학문의 3대 분류 = 239
3. 이론의 구성 과정 = 244
Ⅲ. 수업모형의 구성 조건 = 249
1. 수업의 개념 정립 = 249
2. 수업의 원리 발견 = 250
3. 수업의 이론 구성 = 250
제9장 자기 수업모형 구안 방법 = 251
Ⅰ. 수업의 이론 고찰 = 252
1. 미시교육학적 수업의 개념 = 252
2. 상호작용 이론 = 253
3. 수업 구성의 원리 = 260
Ⅱ. 수업의 유형 분석 = 261
1. 수업의 종적(절차) 유형 = 261
2. 수업의 횡적(방법) 유형 = 267
3. 수업의 조합(융합) 유형 = 273
Ⅲ. 자기 수업모형 구안 방법 = 275
1. 미시교육학적 수업관의 정립 = 275
2. 종적유형과 횡적유형의 조합 = 278
3. 자기 수업모형 구안(실제) = 281
제4부 수업설계 방법
제10장 대단원 수업설계의 방법 = 289
Ⅰ. 대단원 기준안 체제 = 290
1. 단원의 개념 = 290
2. 대단원 수업 체제 = 293
Ⅱ. 대단원 수업설계 방법 = 296
1. 학습과제의 분석 방법 = 296
2. 출발점 행동 분석 및 대책 강구 방법 = 300
3. 대단원 목표 분석 및 진술 방법 = 304
4. 목표별 수업설계 방법 = 312
5. 대단원 수업 기준안(사례) = 314
Ⅲ. 대단원 학습평가 설계 방법 = 322
1. 질적평가의 개념과 유형 = 322
2. 질적평가 과정과 실시 방법 = 329
3. 결과해석 및 활용 = 335
제11장 단위수업 설계 방법 = 343
Ⅰ. 단위수업의 개념 = 344
1. 수업의 의미 변천 = 344
2. 수업의 개념화 방법 = 346
3. 단위수업의 개념 정의 = 347
Ⅱ. 단위수업의 전개과정 분석 = 350
1. 도입단계와 학습동기 유발 = 350
2. 전개단계와 학습 상호작용 = 356
3. 정립단계와 개념 및 법칙의 정립 = 363
4. 종결단계와 실천행동 강화 = 368
Ⅲ. 단위수업 설계 모형 구안 방법 = 377
1. 설계모형의 필요성 = 377
2. 단위수업 설계모형 구안 방법 = 378
3. 본시수업 전개안(사례) = 385
제5부 발표 및 협의
제12장 수업연구 결과 발표 = 391
Ⅰ. 수업연구 보고서 작성 = 392
1. 결론의 구성과 진술 = 393
2. 전망과 과제제시 방법 = 394
3. 수업연구 결과 발표 준비 = 397
Ⅱ. 수업연구 보고서(사례) = 399
1. 수업연구 보고서 = 400
2. 수업설계안 = 410
3. 학습지 = 415
4. 참관록 = 416
5. 수업자 소감 발표문 = 417
Ⅲ. 수업평가 기준과 참관 방법 = 418
1. 거시적 평가의 기준 = 418
2. 미시적 평가의 기준 = 422
3. 수업참관과 평가(사례) = 429
제13장 수업 협의회 운영 = 437
Ⅰ. 수업 협의회 운영 모형 = 438
1. 수업 협의회 운영 스타일 = 438
2. 탐구적 수업 협의회 운영 = 440
Ⅱ. 수업 협의회 운영 방법 = 442
1. 수업 협의회 진행 순서 = 442
2. 소감발표 및 지도조언 = 443
3. 수업 협의록 작성 및 보고 = 451
참고문헌 = 453
찾아보기 = 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