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제1장 심리검사에 대한 개관 = 1
1. 심리검사란 무엇인가 = 1
2. 심리검사는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가 = 1
3. 심리검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6
4. 언제 심리검사를 실시하는가 = 7
5. 어떤 검사를 어떻게 실시해야 하는가 = 8
6. 심리검사 결과를 어떻게 통합 해석하는가 = 10
1) 검사점수 = 10
2) 반응의 내용과 주제 = 10
3) 검사반응에 대한 태도 = 11
4) 검사자와 피검자간의 대인관계 = 11
제2장 지능 평가 : Wechsler 지능검사를 중심으로 = 13
1. 개관 = 13
2. 검사의 구성 및 실시상의 주의점 = 17
3. 해석 = 19
1) 양적 분석 = 20
2) 질적 분석 = 23
3) 통합적인 해석적 가설의 설정 = 24
4. 각 소검사들이 측정하는 기능 및 임상적 측면에서의 고려점 = 25
1) 언어성 검사 = 25
(1) 기본 지식 = 25
(2) 숫자 외우기 = 26
(3) 어휘 = 28
(4) 산수 = 29
(5) 이해 = 30
(6) 공통성 = 31
2) 동작성 검사 = 33
5. 지능검사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 40
1) 정신증(psychosis) = 40
2) 불안장애 = 41
3) 강박 장애 = 41
4) 우울증 = 41
5) 히스테리성 성격 장애 = 41
6) 반사회성 성격 장애 = 41
7) 기질적 뇌손상 = 42
제2장 MMPI = 43
1. 개관 = 43
2. 검사의 제작과정 = 44
3. 검사의 구성 = 46
4. 실시 = 48
5. 해석방법 = 49
1) 검사태도에 대한 검토 = 50
2) 척도별 점수에 대한 검토 = 51
3) 척도간 연관성에 대한 검토 = 51
4) 척도간 응집 및 분사에 대한 분석 = 52
5) 낮은 임상척도에 대한 검토 = 52
6) 형태적 분석 = 52
7) 전체 프로파일 형태에 대한 분석 = 53
6. 개별 척도에 대한 해석 = 53
타당도 척도 = 53
1) ? 척도 = 54
2) L 척도 = 55
3) F 척도 = 56
4) K 척도 = 58
5) 타당도 척도의 여러 형태 = 59
임상 척도 = 61
1) 척도 1 : 건강염려증 = 61
2) 척도 2 : 우울증 = 62
3) 척도 3 : 히스테리 = 64
4) 척도 4 : 반사회성 = 66
5) 척도 5 : 남성성-여성성 = 69
6) 척도 6 : 편집증 = 71
7) 척도 7 : 강박증 = 73
8) 척도 8 : 정신분열증 = 74
9) 척도 9 : 경조증 = 77
10) 척도 0 : 내향성 = 79
7. 2코드 유형에 따른 해석 = 81
단독상승 1 = 81
1-2/2-1 = 82
1-3/3-1 = 82
1-4/4-1 = 83
1-6/6-1 = 84
1-7/7-1 = 84
1-8/8-1 = 84
1-9/9-1 = 85
단독상승 2 = 85
2-3/3-2 = 86
2-4/4-2 = 86
2-6/6-2 = 87
2-7/7-2 = 88
2-8/8-2 = 88
2-9/9-2 = 89
단독상승3 = 90
3-4/4-3 = 90
3-6/6-3 = 91
3-7/7-3 = 91
3-8/8-3 = 92
3-9/9-3 = 92
단독상승 4 = 93
4-5/5-4 = 93
4-6/6-4 = 94
V모양의 척도 4-5-6 형태 = 95
4-7/7-4 = 95
4-8/8-4 = 96
4-9/9-4 = 96
단독상승 5 = 97
단독상승 6 = 98
6-8/8-6 = 98
6-9/9-6 = 99
단독상승 7 = 99
7-8/8-7 = 100
단독상승 8 = 100
8-9/9-8 = 101
단독상승 9 = 101
단독상승 0 = 102
8. 3코드 유형에 따른 해석 = 102
1-2-3/2-1-3 = 102
1-3-7 = 102
1-3-8/8-3-1/3-1-8 = 102
1-3-9 = 103
2-4-7/2-7-4/4-7-2 = 103
2-7-8/7-2-8 = 103
4-6-8 = 104
4-9-6/9-4-6 = 104
6-8-7/8-6-7 = 104
9. MMPI에서의 정신역동적 해석 = 105
1) 방어기제 = 105
2) 불안에 대한 대처 = 107
3) 공격성과 적대감에 대한 대처방식 = 108
4) 대상관계 = 111
5) 급성과 만성 증후군의 감별 = 112
10. 특정 증상 영역을 조직화하기 위한 특별해석 지침 = 113
제4장 MBTI = 117
1. 개관 = 117
2. 실시 = 120
3. MBTI의 4가지 선호지표 = 121
(1) 외향성-내향성 = 122
(2) 감각형-직관형 = 122
(3) 사고형-감정형 = 123
(4) 판단형-인식형 = 123
4가지 선호지표의 대표적 표현들 = 124
4. 각 유형별 주기능·부기능·3차기능·열등기능 = 126
5. 유형별 해석 = 128
ISTJ = 128
ISTP = 128
ESTP = 129
ESTJ = 129
ISFJ = 130
ISFP = 130
ESFP = 131
ESFJ = 131
INFJ = 132
INFP = 132
ENFP = 132
ENFJ = 133
INTJ = 133
INTP = 134
ENTP = 134
ENTJ = 135
6. 기능 및 기질별 특성 = 135
1) 4가지 기능(ST/SF/NF/NT)별 특징 = 135
2) 4가지 기질(ST/SF/NF/NT)의 특성 = 140
제5장 BGT = 141
1. 개관 = 141
2. 이론적 배경 = 143
3. 도구의 구성 = 145
4. 실시 = 147
1) 준비물 = 147
2) 실시상의 유의사항 = 147
3) 여러 가지 실시 방법들 = 147
5. 평가 항목들과 그에 대한 해석 = 150
1) 조직화 방식 = 150
2) 크기의 일탈 = 152
3) 형태의 일탈 = 153
4) 형태의 왜곡 = 154
5) 그려나가는 방식 = 155
6. BG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 156
1) 기질적 뇌손상 = 156
2) 정신분열증 = 157
3) 신경증(성격장애 제외) = 157
제6장 HTP = 159
1. 개관 = 159
2. 실시 = 162
1) 그림단계 = 162
2) 질문 단계 = 163
3. 해석 = 164
1) 구조적/표현적 요소 = 164
(1) 검사시의 태도와 소요시간 = 164
(2) 순서 = 165
(3) 지우개의 사용 = 165
(4) 위치 = 166
(5) 선의 강도 = 167
(6) 크기 = 167
(7) 그림의 선 = 168
(8) 세부묘사 = 169
(9) 왜곡 = 170
(10) 대칭 = 170
(11) 투명화 = 171
(12) 동작의 묘사 = 171
(13) 기타 여러 가지의 투사적 요소 = 171
(14) 통합을 하지 못하는 것과 그 외의 정신증적 지표 = 171
2) 내용적 요소 = 172
집 = 172
(1) 지붕 = 172
(2) 벽 = 173
(3) 문 = 173
(4) 창문 = 174
(5) 굴뚝 = 175
(6) 진입로와 계단 = 176
(7) 그 밖의 특징들 = 176
(8) 기타의 부속물 = 176
나무 = 177
(1) 주제 = 178
(2) 둥치 = 179
(3) 가지 = 180
(4) 수관 = 182
(5) 뿌리 = 182
(6) 잎 = 183
(7) 나무 껍질 = 183
사람 = 183
(1) 머리 = 184
(2) 얼굴 = 186
(3) 목 = 189
(4) 사지 = 189
(5) 나머지 신체부분 = 192
(6) 인물에 대한 조망 = 193
(7) 의상 = 194
(8) 기타 = 195
제7장 Rorschach 검사 = 199
1. 개관 = 199
2. 도구의 구성 = 203
3. 실시 = 203
1) 준비물 = 203
2) 좌석배치 = 203
3) 피검자에게 로샤 검사를 소개하기 = 204
4) 지시 = 204
5) 피검자의 질문에 응답하기 = 205
6) 반응 기록 = 205
7) 질문 단계 = 205
4. 체점 체계 = 209
1) 반응 영역과 발달질 = 210
2) 결정인 = 213
(1) 형태 = 214
(2) 운동 = 216
(3) 유채색 = 218
(4) 무채색 = 221
(5) 음영-재질 = 222
(6) 음영-차원(VISTA) = 223
(7) 음영-확산 = 223
(8) 형태차원 = 224
(9) 쌍반응 및 반사 반응 = 224
(10) 복합 결정인 : 혼합 반응 = 225
3) 형태질 = 227
4) 반응 내용 및 평범 반응 = 229
5) 조직화 활동 = 235
6) 특수 점수 = 238
5. 구조적 요약 및 해석 = 246
1) 점수 계열지 = 249
2) 구조적 요약 - 상단부 = 249
3) 구조적 요약 - 하단부 = 252
(1) Core section(핵심 영역) = 252
(2) Ideation section(사고 영역) = 258
(3) Affect section(정서 영역) = 261
(4) Mediation section(중재 영역) = 264
(5) Processing section(과정 영역) = 268
(6) Interpersonal section(대인관계 영역) = 270
(7) Self-Perception section(자기 지각 영역) = 274
(8) 특수 지표 = 276
6. 요약 = 282
제8장 TAT = 283
1. 개관 = 283
2. 도구의 구성 = 286
3. 실시 = 287
4. 도판별 내용과 기본 반응 = 289
5. 해석 = 305
6. TAT에서 나타나는 진단별 반응 특징 = 319
1) 정신분열증 = 319
2) 우울증 = 320
3) 경조증 = 320
4) 히스테리성 성격 = 320
5) 강박 장애 = 320
6) 편집증 = 320
7) 불안 상태 = 321
제9장 SCT = 323
1. 개관 = 323
2. SSCT = 327
1) 검사의 개발 과정 = 327
2) 실시 = 328
3) 해석과 평점 = 330
부록 Ⅰ Rorschach : 각 카드별 반응영역, 평범반응, Z값 및 반응별 형태질 = 341
부록 Ⅱ Rorschach : 능동 운동반응 a와 수동 운동반응 p = 413
부록 Ⅲ Rorschach : 각 카드별 조직화 점수 (Z값) = 416
참고문헌 = 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