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예술경영

예술경영 (11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용호성
단체저자명
김주호 1960-
서명 / 저자사항
예술경영 / 김주호 ; 용호성 지음.
발행사항
서울 :   김영사 ,   2002.  
형태사항
311 p. : 삽도 ; 24 cm.
총서사항
예술경영 ; 4
ISBN
8934907967
서지주기
참고문헌(p.307-308)및 색인수록
000 00661camccc200241 k 4500
001 000000784999
005 20100807125305
007 ta
008 020923s2002 ulka 000 kor
020 ▼a 8934907967 ▼g 93600 : ▼c \17,900
035 ▼a KRIC08355574
040 ▼a 211014 ▼d 211009
049 1 ▼l 111225662 ▼f 개가 ▼l 111225663 ▼f 개가
082 0 4 ▼a 700.68 ▼2 21
090 ▼a 700.68 ▼b 2002
110 ▼a 김주호 ▼d 1960-
245 1 0 ▼a 예술경영 / ▼d 김주호 ; ▼e 용호성 지음.
260 ▼a 서울 : ▼b 김영사 , ▼c 2002.
300 ▼a 311 p. : ▼b 삽도 ; ▼c 24 cm.
440 0 0 ▼a 예술경영 ; ▼v 4
504 ▼a 참고문헌(p.307-308)및 색인수록
700 1 ▼a 용호성 ▼0 AUTH(211009)45558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112256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112256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511419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511419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112256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112256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511419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68 2002 등록번호 1511419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예술경영 시리즈 4권. 예술경영 유학파 1세대로서 각각 현장전문가로, 정책전문가로 일해온 지은이 두 명이 함께 썼다.

예술경영의 탄생 배경과 현재까지의 이론화 과정 그리고 다양한 실무 분야의 내용들을 세 가지 범주로 나눠 다루고 있다. 1) 예술경영의 배경과 개념의 정립, 2) 예술경영에 도입된 경영학적 방법론과 사례, 3) 그런 방법론들이 응용된 예술경영의 다양한 분야별 업무 소개이다. 예술경영에 도입된 경영학의 이론들을 현실적인 예술경영의 사례에 접목시켜주고 잇는 것이 특징이다.

예술경영이란 무엇인가, 기초이론, 마케팅 등의 개념에서 비롯하여 재원조성, 예술공간의 경영, 예술가의 관리, 예술단체의 관리 등 실무적인 분야까지 다루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주호(지은이)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및 동 대학원, London City University의 대학원을 졸업한 후 예술경영 Diploma를 취득했다. 1987년 예술의 전당에 입사하여 공연기획 및 국제교류업무를 담당하다가 1997년 LG연암문화재단으로 자리를 옮겨 LG아트센터 운영국장으로 재직했다. 한국공연예술매니지먼트협회 이사와 FACP(Federation for Asian Cultural Promotion) 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학에서 예술경영 강의도 하고 있다. 옮긴책으로 <Music Business Handbook>이 있으며, 현재 (주)메타기획컨설팅의 대표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다.

용호성(지은이)

고려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아메리칸대학교 예술경영학 석사, 경희대학교 예술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뉴욕대학교와 미국감정가협회 (AAA)에서 공동운영하는 미술품 감정 전문가 과정을 수료하고, 미술품 감정사의 관문인 USPAP 시험에 합격했다. 브로드웨이리그(CTI)에서 운영하는 공연 프로듀서 과정을 이수하고, 컬럼비아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예술교육연구센터에서 객원연구원으로 머물며 미국의 30여 개 예술조직 사례를 연구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문화예술교육과장, 예술정책과장, 문화여가정책과장, 국립국악원 기획운영단장, 주영한국문화원장,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자료운영부장 등을 역임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경희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에서 예술경영학을 강의했다. 1993년 <월간 객석>에 음악평론이 당선된 후 <주간조선><디지털타임스><월간 춤><문화예술><메세나><예술의전당> 등 여러 매체에 문화예술 칼럼을 연재했고, 아마추어 재즈 드러머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뉴욕오감》 《문화예술단체의 재원조성》 등이 있으며, 《전석매진》 《공연예술마케팅》 《공연기획》 등을 번역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1장 예술경영이란 무엇인가
 1. 예술과 경영 = 16
  (1) 예술 = 17
  (2) 경영 = 19
 2. 예술경영 = 23
 3. 예술경영인 = 25
 4. 예술경영의 대상 = 30
  (1) 비영리적 범주의 예술활동 = 31
  (2) 영리적 범주의 예술활동 = 35
 5. 예술경영의 역사 = 36
  (1) 고대 및 중세 = 36
  (2) 르네상스 = 37
  (3) 근대 = 38
 6. 최근의 조류 = 39
  (1) 유럽 = 39
  (2) 미국 = 40
 7. 한국에서의 예술경영 = 42
  (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 43
  (2) 예술의 전당 건립 = 44
  (3) 예술경영의 교육과 향후 과제 = 46
2장 예술경영의 기초이론
 1. 예술단체의 기획 = 50
  (1) 예술경영의 과정과 기획 = 50
  (2) 전략적 기획의 이해 = 51
  (3) 전략적 기획의 과정 = 53
 2. 예술단체의 조직화 = 61
  (1) 조직화의 필요성 = 61
  (2) 조직의 구성 = 62
  (3) 이사회의 구성과 운영 = 64
 3. 자원봉사제의 운영 = 69
  (1) 자원봉사의 동기 = 70
  (2) 자원봉사자의 역할범위 = 73
  (3) 자원봉사 관리자의 역할 = 75
  (4) 자원봉사제 운영을 위한 준비 = 80
  (5) 자원봉사 지원자의 모집 및 선발 = 82
  (6) 자원봉사자의 교육훈련 및 배치 = 88
  (7) 자원봉사제의 운영관리 및 평가 = 91
3장 예술상품의 마케팅
 1. 예술상품의 마케팅에 대한 이해 = 100
  (1) 비영리단체로서의 예술단체와 마케팅 = 100
  (2) 마케팅의 정의와 적용 범위 = 103
  (3) 마케팅 지향적 조직의 구성 = 105
 2. 예술시장에 대한 이해 = 109
  (1) 예술시장의 특성 = 109
  (2) 공연예술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이해 = 112
  (3) 공연예술 관객에 대한 수용단계별 접근방법 = 119
 3. 관객조사와 STP전략 = 128
  (1) 관객조사 = 128
  (2) 시장세분화Market Segmentation = 132
  (3) 표적시장의 선택Targeting = 136
  (4) 포지셔닝Positioning 전략 = 137
 4. 마케팅 믹스 = 143
  (1) 상품Product = 143
  (2) 가격Price = 149
  (3) 장소/유통Place = 155
  (4) 홍보/판매촉진Promotion = 157
 5. 인터넷 마케팅 = 168
  (1) 인터넷 마케팅의 대두 = 168
  (2) 인터넷 마케팅의 특성 = 169
  (3) 인터넷 마케팅과 공연예술시장의 변화 = 169
  (4) 인터넷을 활용한 공연예술의 마케팅과 홍보 전략 = 171
4장 재원조성
 1. 재원조성Fund Raising = 176
  (1) 예술단체 재원의 구분 = 176
  (2) 재원조성이란 무엇인가 = 177
  (3) 현대적인 재원조성의 발전 = 177
  (4) 재원조성의 전제조건 = 178
 2. 재원조성을 위한 준비 = 180
  (1) 조직체제 형성Institution Building = 180
  (2) 인력자원의 확보 = 181
 3. 재원조성의 과정 = 186
  (1) SWOT분석 = 186
  (2) 재원조성취지서Case Statement작성 = 188
  (3) 잠재지원자파악 = 189
  (4) 잠재지원자와의 관계 형성 = 190
  (5) 지원 요청 = 191
  (6) 재원조성의 마무리와 평가 = 193
 4. 재원조성의 유형 = 195
  (1) 사업별 재원조성 = 195
  (2) 연례 재원조성 = 196
  (3) 기금조성 = 196
  (4) 재원조성 이벤트 = 197
 5. 지원 주체별 재원조성 전략 = 199
  (1) 정부 및 공공기관 = 199
  (2) 기업 = 204
  (3) 재단 = 214
  (4) 개인 = 216
5장 예술경영의 여러 분야
 1. 예술공간의 경영Theatre Management = 226
  (1) 극장이라는 공간의 의미 = 227
  (2) 극장의 유형 = 228
  (3) 복합예술공간Arts Centre = 240
  (4) 극장속의 필수 공간들 = 243
  (5) 극장의 업무와 조직 = 251
  (6) 극장의 프로그램 운영 = 255
  (7) 극장의 건립 = 257
 2. 예술가의 관리Artist Management = 260
  (1) 예술가는 누구인가? = 262
  (2) 매니저는 누구인가? = 263
  (3) 매니저의 유형 = 268
  (4) 매니지먼트 계약 = 272
  부록 : 예술가와 매니저의 계약 = 273
 3. 예술단체의 관리Company Management = 276
  (1) 예술단체의 설립 배경 = 276
  (2) 예술단체의 법률적 지위 = 278
  (3) 예술단체의 예술경영인 = 280
 4. 공연기획Performing Arts Promotion = 285
  (1) 공연기획이란 무엇인가? = 285
  (2) 공연기획자의 기본자세 = 287
  (3) 명칭으로 본 공연기획자 = 288
  (4) 유형으로 본 공연기획자 = 289
  (5) 공연기획의 처음부터 끝까지 = 291
  해외 공연단체 사업계획서 예시 = 297
 부록 : 해외 공연단체 표준계약서 예시 = 302
참고문헌 = 307
찾아보기 = 30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