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6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783647 | |
005 | 20100807123733 | |
007 | ta | |
008 | 020924s2002 ulk 001a kor | |
020 | ▼a 8977781612 ▼g 93340: ▼c \120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11010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41.481 ▼2 21 |
090 | ▼a 341.481 ▼b 2002 | |
100 | 1 | ▼a Donnelly, Jack. ▼0 AUTH(211009)85585 |
245 | 1 0 | ▼a 인권과 국제정치 : ▼b 국제인권의 현실과 가능성 및 한계 / ▼d 잭 도널리 저 ; ▼e 박정원 역. |
246 | 1 9 | ▼a International human rights |
260 | ▼a 서울 : ▼b 오름 , ▼c 2002. | |
300 | ▼a 341 p. ; ▼c 23 cm. | |
500 | ▼a 색인수록 | |
500 | ▼a 부록: 1. 토론거리. - 2. 용어해설. - 3. 세계인권선언 | |
700 | 1 | ▼a 박정원 , ▼e 역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481 2002 | 등록번호 1112250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481 2002 | 등록번호 1112250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 청구기호 341.481 2002 | 등록번호 14102029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 청구기호 341.481 2002 | 등록번호 1410202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국제정치이론에서 줄곧 냉소적이고 회의적인 시선을 받아왔던 인권문제에 관해 일관되게 인권의 보편적 츠견을 강조해온 지은이 잭 도널리가 일반 독자들까지를 염두에 두고 국제 인권의 이론과 실제를 담은 책 <인권과 국제정치>를 펴냈다.
1장은 세계정치에서의 인권의 성장과 제도화 등에 대한 역사적. 경험적 추이와 변환을 다루고 있으며, 2장에선 인권의 성격과 실제, 연원과 같은 철학적 문제와 국제인권정치에 대한 이론 등을 다루며 '인권 관련 이론'을 강조하고 있다.
3장에서 6장까지는 냉전기 인권의 국제정치사례를 다루며, 특히 6장은 천안문 사태를 둘러싼 인권문제들, 7장은 탈냉전기의 사례로 구 유고의 계승전쟁을 둘러싼 인권문제를 다루는 등 사례연구의 비중을 높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잭 도널리(지은이)
미국 뉴욕주 마운트 버논에서 출생했다.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덴버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좌 교수이다.
박정원(옮긴이)
경남 진주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졸업 (정치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졸업 (정치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외교학과 박사과정 수료, 헝가리과학원 정치학 박 사, 현재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주요 저역서 및 논문: 『인권과 국제정치』 (2002), 『평화교육』 (2011), 『분단-통일에서 분리- 통합으로』 (공저, 2013), “동유럽민주이행의 특성”, “민주화 이후 중유럽의 ‘적대와 인정의 정치’”

목차
목차 역자서문 = 5 감사의 말 = 15 저자서문 = 17 제1장 세계정치 화두로서의 인권 = 25 국제인권규범의 등장 = 27 냉전에서 국제인권규약까지 = 31 1970년대 : 인권기준의 마련과 감시 = 34 1980년대 : 인권의 성장과 제도화 = 37 1990년대 : 탈냉전시대의 지속과 변화 = 39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46 제2장 인권의 이론 = 49 인권의 성격 = 49 인권의 원천 또는 정당화 = 53 인권의 목록 = 56 인권과 국제사회 = 62 정치현실주의와 인권 = 68 문화상대주의와 보편적 인권 = 71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78 제3장 인권의 국내정치 : 남아메리카 남부원추지대의 사례 = 81 군부쿠데타 이전의 정치 = 82 고문과 실종 = 84 국가안보 논리 = 88 인권NGO = 93 군부통치의 종식 = 96 '눙까 마스(Nunca Mas)' : 과거청산의 문제 = 98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105 제4장 인권의 다자정치 = 109 유엔 인권위원회 = 110 조약-보고체제 = 118 노동자의 권리와 아파르트헤이트 = 126 지역인권레짐 = 134 다자간 인권메커니즘에 대한 평가 = 155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160 제5장 인권과 외교정책 = 163 미국 국제인권정책의 주요문제 = 163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인권정책 = 170 미국과 남아메리카 남부원추지대 = 186 미국의 남아프리카공화국 정책 = 190 국제인권에 대한 다른 서방국들의 접근 = 196 국제인권정책의 상이점 = 201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207 제6장 천안문(天安門)사태와 인권 = 213 중국의 민주화운동 = 214 천안문사태에 대한 국제적 반응 = 220 국제적 반응에 대한 평가 = 230 건설적 개입에 대한 재고찰 = 234 보론 : 아시아적 가치 = 238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245 제7장 구(舊)유고슬라비아에서의 전쟁과 대학살 = 249 갈등의 배경 = 249 전쟁과 대학살 = 252 국제적 반응 = 254 새로운 유형과 선례 = 261 민족주의와 인권 = 264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267 제8장 탈냉전세계에서의 국제인권 = 269 이데올로기와 국제개입 = 270 주권, 권력, 상호의존 = 272 민주주의와 인권 = 275 시장과 인권 = 283 신세계질서와 국제인권정책 = 286 더 읽으면 좋은 자료들 = 289 【부록1】 토론거리 = 291 【부록2】 용어해설 = 313 【부록3】 세계인권선언 = 321 색인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