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00783428 | |
005 | 20220516114030 | |
007 | ta | |
008 | 980406s1996 ulka b 001c kor | |
020 | ▼a 8930032389 ▼g 03300 | |
020 | ▼a 9788930032384 ▼g 03300 | |
040 | ▼a 211012 ▼c 21101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24943 ▼f 개가 ▼l 111224944 ▼f 개가 |
082 | 0 4 | ▼a 302.201 ▼2 23 |
085 | ▼a 302.201 ▼2 DDCK | |
090 | ▼a 302.201 ▼b 1996 | |
100 | 1 | ▼a Littlejohn, Stephen W. ▼0 AUTH(211009)130151 |
245 | 1 0 | ▼a 커뮤니케이션이론 / ▼d S.W. 리틀존 ; ▼e 김흥규 역 |
246 | 1 9 | ▼a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
250 | ▼a 제5판 | |
260 | ▼a 서울 : ▼b 나남출판, ▼c 1996 | |
300 | ▼a 491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나남신서 ; ▼v 238 |
504 | ▼a 참고문헌(p. 459-48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ommunication ▼x Philosophy |
700 | 1 | ▼a 김흥규, ▼e 역 ▼0 AUTH(211009)58049 |
830 | 0 | ▼a 나남신서 ; ▼v 238 |
900 | 1 0 | ▼a 리틀존, S. W., ▼e 저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1996 | Accession No. 11122494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1996 | Accession No. 11122494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1996 | Accession No. 1115219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1996 | Accession No. 1118641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201 1996 | Accession No. 111864198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4-21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Stephen W. Littlejohn이 지은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제 5 판을 번역한 것이
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최신 이론을 거의 망라하고 있으며 이 책에서 소개된 대부분의 이론은 풍부한 리서치 예를 기술적 용어의 사용 없이 정리했다. 특정 이론에 대한 적절한 연구 방법이며 여러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독자로 하여금 추후 연구를 자극한 점이 특징이다.
수많은 이론들을 단지 사전식으로 분류하고 정리 한 것이 아니라, 한 이론이 가질 수 있는 '타 이론과의 상대적인 위치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며' 그 한계와 비평까지 담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스테판 W. 리틀존(지은이)
갈등관리 전문가. 현재 뉴멕시코 대학 커뮤니케이션 & 저널리즘학과 외래교수. 캘리포니아 홈볼트 주립대학 교수 역임. 지은 책으로는 <커뮤니케이션 이론>, <중재:갈등상황에서의 권능부여>, <도덕적 갈등> 외 다수가 있다.
김흥규(옮긴이)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한 후 도미, 미주리 주립대학교 언론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수학 중 Q 방법론을 창안한 윌리엄 스티븐슨 교수를 만났으며 그의 제자 샌더스, 브레너, 패터슨 교수와 장원호 교수를 통해 Q에 입문했다. 1985년부터 2008년 현재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1996년에는 한국주관성연구학회(일명 한국Q학회)를 조직하여 Q의 보급에 힘쓴다. Q 방법론에 관한 저서, 연구보고서, 국내외 학술지 논문, 학술대회 발표논문이 총 120여 편에 이르며 각종 산업에 적용한 사례연구도 수십 편이 있다. ‘닥터Q’로 불리며 Q의 이론과 방법론을 매스커뮤니케이션, 광고, 마케팅, 정책학, 보건학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 적용하여 그 적실성과 유용성을 증명한다. 지은 책으로 <텔레비전과 페미니즘>, <사회과학통계분석: SPSS for Windows>, <Q방법론의 이해와 적용>, <광고효과측정> 등이, 옮긴 책으로 <커뮤니케이션이론>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7 제1부 탐구와 이론의 본질 제1장 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학파 = 21 1. 커뮤니케이션 이론이란 무엇인가 = 21 2. 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연구하는가 = 22 3. 커뮤니케이션의 학술적 연구 = 23 4. 커뮤니케니션의 정의 = 25 5. 커뮤니케이션의 탐구과정 = 29 1) 탐구의 기본 모델 = 29 2) 학파의 유형 = 30 3) 지식의 창조 = 32 6.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장르 = 34 1) 구조 기능 이론 = 34 2) 인지 행태 이론 = 36 3) 상호작용 이론 = 36 4) 해석 이론 = 37 5) 비판 이론 = 38 7. 커뮤니케이션 수준 = 39 8. 핵심 이론의 개발 = 40 9. 요약 = 41 제2장 탐구 과정에서의 이론 = 45 1. 이론의 본질 = 45 2. 이론의 기본 요소들 = 46 1) 이론에서의 개념 = 46 2) 이론에서의 설명 = 47 3) 이론의 전통적인 개념 = 49 4) 대안적 패러다임 = 53 3. 이론의 발전과 변화 = 54 4. 이론의 기능 = 55 5.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철학적 문제들 = 56 1) 커뮤니케이션 메타이론 = 56 2) 인식론의 문제 = 57 3) 존재론의 문제 = 59 4) 가치론적 문제 = 61 6.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평가 방법 = 62 1) 이론적 범위 = 62 2) 적합성 = 62 3) 발견적 가치 = 63 4) 타당도 = 63 5) 간결성 = 63 6) 개방성 = 64 7. 개념 및 논평 = 64 제2부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의 토픽 제3장 체계이론 = 71 1. 기초적인 체계 개념들 = 72 1) 체계란 무엇인가 = 72 2) 체계의 특성 = 72 2. 사이버네틱스 = 77 3. 정보이론 = 81 1) 기본 개념 = 81 2) 언어와 정보 = 83 3) 정보 전달 = 83 4. 지식 접근으로서의 일반체계이론 = 84 5.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 85 1) 관계에서 체계이론과 커뮤니케이션 = 85 2) 체계이론과 대규모의 네트워크 = 87 3) 네트워크와 수렴이론 = 88 6. 논평 및 비판 = 89 제4장 기호와 언어이론 = 97 1. 기호학 = 97 1) 기호, 행위 및 상호작용에 관한 Morris의 연구 = 98 2) Langer의 상징이론 = 102 3) Eco의 기호학 = 104 2. 언어의 구조 = 107 1) 고전적인 기초 = 107 2) 구조 언어학 = 108 3) 생성 문법 = 110 3.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이론들 = 111 1) Birdwhistell의 동작학 이론 = 112 2) Ekman과 Friesen의 동작학 이론 = 113 3) Hall의 근접학 이론 = 115 4. 논평 및 비판 = 116 제5장 담론 이론 = 121 1.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규칙 접근 = 122 2. 규칙에 대한 연구들 = 123 3. 구어 행동 이론 = 124 4. 제시적 일관성 = 127 5. 대화 분석 = 128 1) 대화의 원리 = 129 2) 대화의 일관성 = 131 3) 대화상의 논증 = 136 6. 담론의 포스트 구조주의적 관점 = 138 7. 논평 및 비판 = 141 제6장 메시지 산출이론 = 149 1. 성향 이론 = 150 1) 커뮤니케이션 두려움 = 150 2) 수사적 민감성 = 151 3) 커뮤니케이터 스타일 = 153 4) 공격 = 153 2. 상황의 역할 = 155 1) 일반적 접근 = 155 2) 특수한 접근 : 모호한 커뮤니케이션 = 156 3. 과정 이론 = 157 1) 적응 = 158 2) 행동 조립 = 159 3) 구성주의 = 161 4) 복종 획득 = 164 4. 논평 및 비판 = 168 제7장 메시지 수용과 처리 이론 = 177 1. 메시지의 해석 = 178 1) Osgood의 의미론 = 178 2) 관련성 이론 = 181 3) 귀인 이론 = 183 2. 정보 조직 = 186 1) 정보통합 이론 = 187 2) 일관성 이론 = 190 3. 판단 과정 = 194 1) 정교화 가능성 이론 = 194 2) 예상 위반 이론 = 197 3) 인지적 논증 = 200 4) 사회적 판단 이론 = 201 4. 논평 및 비판 = 203 제8장 상징적 상호작용, 드라마티즘 및 서사이론 = 211 1. 상징적 상호주의 = 211 1) Chicago학파 = 212 2) Iowa학파 = 216 2. 드라마티즘과 서사 = 218 1) Burke의 드라마티즘 = 219 2) Goffman의 사회적 접근 = 223 3) Bormann의 수렴 이론 = 225 4) Fisher의 서사 이론 = 226 3. 논평 및 비판 = 228 제9장 사회와 문화적 현실 이론들 = 235 1. 현실의 사회적 구성 = 235 1) 자아의 사회적 구성 = 237 2) 감정의 사회적 구성 = 239 3) 사회적 구성에서의 설명 = 241 2. 규칙과 사회적 행동 = 243 1) Shimanoff의 규칙 지배 접근 = 243 2) 상황의존 규칙 이론 = 247 3) 의미관리 조정 이론 = 248 3. 언어와 문화 = 254 1) 언어 상대성 이론 = 254 2) 정교하고 제한된 코드 = 256 4. 논평 및 비판 = 259 제10장 경험과 해석이론 = 265 1. 현상학 = 265 1) 고전적인 현상학 = 266 2) 사회 현상학 = 268 3) 해석학적 현상학 = 271 2. 해석학 = 273 1) 텍스트 해석 = 274 2) 문화 해석 = 276 3) 커뮤니케이션 민속학 = 278 4) 조직의 문화 = 280 5) 해석적인 미디어 연구 = 283 3. 논평 및 비판 = 284 제11장 비판이론 = 293 1. 맑시즘과 프랑크푸르트 학파 = 294 1) 맑시스트적 비판 = 294 2)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보편적인 실용학 = 297 2. 문화연구 = 301 3. 페미니스트 이론 = 304 1) 무언 집단이론 = 306 2) 담론의 가부장적 세상 = 308 4. 논평 및 비판 = 310 제3부 상황적 주제 제12장 관계에서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 321 1. 관계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기초들 = 321 1) Palo Alto 집단 = 322 2) 관계 인지 = 327 2. 관계의 발전 = 328 1) 관계에서의 정보와 노출 = 328 2) 사회적 침투 이론 = 336 3) 관계 이탈 = 338 3. 상황에서의 관계 = 341 1) 친교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341 2) 결혼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344 3) 갈등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346 4. 논평 및 비판 = 351 제13장 집단의사결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359 1. 투입-과정-산출 모델 = 360 1) 일반적인 조직화 모델 = 360 2) 기능주의적 전통 = 361 3) 상호작용 전통 = 366 2. 구조합리주의자들의 관점 = 371 1) 구조 합리 이론 = 372 2) 구조화와 결정 개발 = 373 3. 논평 및 비판 = 376 제14장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네트워크 = 383 1. 네트워크 : 통합적인 시각 = 384 2. 위치적 전통 = 389 1) 고전적인 기초 : Weber = 389 2) Likert의 네 가지 체계 = 390 3) 강요하지 않는 통제와 동일시 = 394 3. 관계적 전통 = 396 1) 조직화 과정 = 397 2) 조직에서의 구조화 = 400 4. 문화적 전통 = 403 5. 논평 및 비판 = 404 제15장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 411 1. 하나의 조직 모델 = 412 2. 미디어 내용과 구조 = 413 1) Innis와 McLuhan = 413 2) 기호학 = 415 3. 사회제도로서의 미디어 = 418 4. 미디어와 수용자 = 419 1) 대중사회 대 공동체 = 419 2) 능동적인 수용자 대 수동적인 수용자 = 421 5. 문화적 결과 이론 = 421 1)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기능 = 421 2) 정보의 확산과 영향력 = 422 3) 여론과 침묵의 나선 = 425 4) 배양이론 = 428 5) 의제설정 기능 = 429 6. 개별적 결과이론 = 432 1) 효과 전통 = 432 2) 이용과 충족 그리고 의존 = 434 7. 논평 및 비판 = 439 제4부 결론 제16장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활용과 한계 = 451 1.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활용 = 452 1) 이론은 우리의 관찰을 돕는다 = 452 2) 이론은 우리의 증명을 돕는다 = 453 3) 이론은 우리의 비평을 돕는다 = 454 4) 이론은 우리의 행동을 돕는다 = 455 2.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한계점 = 456 1) 이론은 진실을 밝히지 못한다 = 456 2) 이론은 가치를 선택하지 못한다 = 456 참고문헌 = 459 찾아보기 = 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