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학의 도전과 응전
제1장 서론
Ⅰ. 행정학의 위기 = 4
1. 정치와 행정 = 4
2. 행정이념과 정체성 = 8
3. 행정이론과 정체성의 위기 = 12
Ⅱ. 행정환경의 변화 = 17
1. 정보화 = 19
2. 세계화 = 23
3. 지방화 = 26
4. 민주화 = 27
Ⅲ. 정치이념의 변화 = 29
1. 신자유주의 = 31
2. 제3의 길 = 34
Ⅳ. 이 책의 구성 = 35
제2장 행정학의 패러다임
Ⅰ. 정부에 대한 도전 = 42
1. 공적 문제해결의 메커니즘 = 43
1) 정부부문 -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 43
2) 민간부문 - 시장과 시민단체 = 44
3) 국제부문 - 국제기구와 국제NGO = 46
2. 정부부문의 도전과 대응 = 49
1) 거버넌스 = 50
2) 신공공관리 = 51
Ⅱ. 행정학의 패러다임 이동 = 53
1. 역할분담에 관한 패러다임 = 54
1) 패러다임의 개념 = 55
2) 패러다임의 비교기준 = 55
2. 행정학의 전통적 패러다임 = 59
1) 각 부문의 활동영역 = 59
2) 부문간의 세력관계 = 60
3) 각 부문 내의 세력관계 = 61
3. 행정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 62
1) 각 부문의 활동영역 = 63
2) 부문간의 세력관계 = 64
3) 각 부문 내의 세력관계 = 66
제3장 부문간의 협력과 갈등
Ⅰ. 정부와 시장 = 69
Ⅱ. 정부와 시민 = 72
Ⅲ. 정부와 국제 = 75
제2편 정부부문의 역할체계
제1장 정부의 역할체계
Ⅰ. 정부역할의 결정요인 = 86
Ⅱ. 정부역할의 시대적 변화 = 89
1. 야경국가 = 90
2. 법치국가 = 91
3. 행정국가 = 92
4. 복지국가 = 94
5. 환경국가 = 95
Ⅲ. 정부에 대한 신념과 불신 = 97
Ⅳ. 정부의 일과 행정서비스 = 103
1. 정부 일의 구분 = 104
2. 행정서비스의 우선순위 = 105
Ⅴ. 정부역할의 전망 = 109
제2장 정부의 역할분담체계
Ⅰ. 역할분담의 논거 = 113
1. 국가권력의 분립 = 113
2. 입법부 = 114
3. 사법부 = 115
4. 행정부 = 116
Ⅱ. 환경의 변화와 정부역할 = 117
Ⅲ. 정부의 역할분담 = 121
1. 분권화의 논리 = 121
2. 중앙정부의 역할 = 126
3. 지방정부의 역할 = 128
제3장 행정부의 역할수행
Ⅰ. 역할수행의 주체 = 132
Ⅱ. 대통령 = 135
Ⅲ. 국무총리 = 141
Ⅳ. 중앙행정기관 = 146
1. 재정경제부 = 147
2. 교육인적자원부 = 151
3. 통일부 = 156
4. 외교통상부 = 159
5. 법무부 = 162
6. 국방부 = 164
7. 행정자치부 = 170
8. 과학기술부 = 174
9. 문화관광부 = 177
10. 농림부 = 180
11. 산업자원부 = 183
12. 정보통신부 = 186
13. 보건복지부 = 189
14. 환경부 = 192
15. 노동부 = 195
16. 여성부 = 200
17. 건설교통부 = 203
18. 해양수산부 = 207
Ⅴ. 지방자치단체 = 211
제3편 정부의 역할수행능력
제1장 정부의 역할수행능력
Ⅰ. 정부능력의 의의 = 220
1. 국정수행능력 = 222
2. 문제해결능력 = 222
3. 정책수립능력 = 223
4. 조직관리능력 = 223
5. 국가경쟁력 = 224
Ⅱ. 정부능력의 구분 = 224
1. 국가능력 = 225
2. 자원동원능력 = 227
3. 행정능력 = 228
4. 관리지식체계 = 229
제2장 정부의 관리능력
Ⅰ. 행정관리자의 리더십 = 235
1. 리더십의 이해 = 237
2. 권한과 책임 = 240
3. 자질과 능력 = 242
4. 부하의 의무 = 244
Ⅱ. 조직관리능력 = 245
1. 조직구조의 설계 = 246
2. 조직과 개인 = 250
3. 조직과 환경 = 252
4. 지식·정보의 관리 = 254
Ⅲ. 정책관리능력 = 259
1. 정책의 성격 = 261
2. 정책의 흐름 = 264
3. 정책과 현실의 타협 = 272
Ⅳ. 인적관리능력 = 275
1. 인력관리시스템 = 276
2. 공무원의 자격과 능력 = 280
3. 업적평가와 보상시스템 = 283
Ⅴ. 재정관리능력 = 289
1. 예산의 이해 = 291
2. 예산의 흐름 = 295
3. 통제와 성과의 균형 = 299
제4편 정부활동의 혁신
제1장 정부혁신의 배경 = 306
Ⅰ. 정부혁신의 방향 = 306
Ⅱ. 정부혁신과 시장원리 = 310
Ⅲ. 작고 효율적인 정부 = 314
1. 작은 정부의 배경 = 315
2. 작은 정부의 논점 = 317
제2장 정부혁신의 전략
Ⅰ. 역할수행방식의 개혁 = 321
1. 민영화 = 321
2. 행정서비스의 위탁수행 = 326
Ⅱ. 행정규제의 개혁 = 327
Ⅲ. 정부역할수행의 투명성 = 330
제3장 한국정부의 개혁
Ⅰ. 한국정부의 개혁노력 = 338
Ⅱ. 정부혁신에 대한 외생적 압력 = 342
1. 민간부문의 영향 = 342
2. 국제부문의 영향 = 343
3. 후진국의 고뇌 = 346
Ⅲ. 정부의 미래 - 전자정부 = 348
참고문헌 = 353
사항색인 = 363
인명색인 =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