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실천연구와 방법

실천연구와 방법 (1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류택열 柳澤烈, 1946-
서명 / 저자사항
실천연구와 방법 / 柳澤烈 著
발행사항
서울 :   교육과학사,   2002  
형태사항
533 p. ; 25 cm
총서사항
現場硏究에서의 微視的 接近 ;3
ISBN
8982876170
서지주기
참고문헌(p. 521-525)과 색인수록
000 00735camcc2200253 c 4500
001 000000783231
005 20111223155946
007 ta
008 020803s2002 ulk b 001c kor
020 ▼a 8982876170 ▼g 93370
035 ▼a KRIC08286292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9 1 ▼l 111221983 ▼f 개가 ▼l 111221984 ▼f 개가
082 0 4 ▼a 370.72 ▼2 22
085 ▼a 370.72 ▼2 DDCK
090 ▼a 370.72 ▼b 2002z1
100 1 ▼a 류택열 ▼g 柳澤烈, ▼d 1946-
245 1 0 ▼a 실천연구와 방법 / ▼d 柳澤烈 著
260 ▼a 서울 : ▼b 교육과학사, ▼c 2002
300 ▼a 533 p. ; ▼c 25 cm
440 0 0 ▼a 現場硏究에서의 微視的 接近 ; ▼v 3
504 ▼a 참고문헌(p. 521-525)과 색인수록
900 1 0 ▼a 유택열, ▼e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72 2002z1 등록번호 111221983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05-05-03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72 2002z1 등록번호 11122198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류택열(지은이)

<학교운영과 실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실천연구에서의 질적 접근을 기대하며 = 7
실천연구를 통한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대하며 = 8
제1부 실천연구의 개념
 제1장 연구에서의 미시적 접근 = 27
  Ⅰ. 미시교육학의 개념 = 28
   1. 미시교육학의 정의 = 28
   2. 미시교육학적 접근의 원리 = 30
   3. 미시교육학과 자기 교육모형 = 33
  Ⅱ. 연구에서의 미시적 접근 = 36
   1. 연구의 3대 분류 = 36
   2. 거시적 연구와 미시적 연구 = 39
   3. 미시교육학적 접근과 실천연구 = 44
  Ⅲ. 실천연구와 교육의 질 = 45
   1. 교육의 질과 교원의 연구력 = 45
   2. 교원의 연구력과 교육활동 = 46
   3. 연구력 신장과 실천연구 = 51
 제2장 실천연구의 개념 = 53
  Ⅰ. 실천연구의 정의 = 54
   1. 현장연구의 분류 = 54
   2. 현장연구의 발달 = 62
   3. 실천연구의 정의 = 67
  Ⅱ. 실천연구의 유형 = 71
   1. 귀납형 = 71
   2. 연역형 = 72
   3. 복합형 = 74
  Ⅲ. 실천연구의 적용 = 75
   1. 개인연구 = 76
   2. 수업연구 = 77
   3. 연구학교 = 77
제2부 실천연구 방법의 이론적 기초
 제3장 이론의 구성 과정 = 83
  Ⅰ. 이론의 중요성 = 84
   1. 실제적 의의 = 84
   2. 이론적 의의 = 84
   3. 방법적 의의 = 85
  Ⅱ. 학문의 3대 분류 = 85
   1. 과학 = 86
   2. 현상학 = 87
   3. 철학 = 89
  Ⅲ. 이론의 구성 과정 = 91
   1. 사실 = 92
   2. 개념 = 92
   3. 원리·법칙 = 94
   4. 이론 = 95
 제4장 연구 체제와 논문 체재 = 97
  Ⅰ.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 98
   1. 양과 질 = 98
   2.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 99
   3.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특성 = 102
  Ⅱ. 일반논리와 연구논리 = 104
   1. 논리의 개념 = 104
   2. 일반논리와 과학논리 = 105
   3. 양적연구의 과정과 질적연구의 과정 = 109
  Ⅲ. 연구 체제와 논문 체재 = 122
   1. 체제의 개념 = 122
   2. 양적연구 체제와 질적연구 체제 = 127
   3. 연구 체제와 논문 체재 = 132
   4. 실천연구 계획서 체재와 보고서 체재 = 135
제3부 실천연구 기획 단계(Ⅰ단계)
 제5장 실천연구 주제 선정 = 141
  Ⅰ. 주제의 개념 = 142
   1. 주제의 특성 = 142
   2. 변인과 명제 = 143
   3. 주제의 소재 = 146
  Ⅱ. 주제 선정의 방법 = 148
   1. 주제 선정의 과정 모형 = 148
   2. 연구문제의 발견 = 150
   3. 연구문제의 분석 = 152
   4. 연구문제의 제기 및 평가 = 158
  Ⅲ. 주제 진술의 방법 = 164
   1. 주제 진술의 일반 모형 = 164
   2. 연구의 특성과 주제 진술 유형 = 165
   3. 주제 진술상의 유의점 = 168
 제6장 실천연구 기획서 작성 = 173
  Ⅰ. 계획서의 유형과 과정 = 174
   1. 기획과 계획 = 174
   2. 실천연구 계획서의 유형 = 174
   3. 실천연구 기획의 과정 모형 = 176
  Ⅱ. 서론의 구성 방법 = 177
   1. 서론의 구성 내용 = 177
   2. 교육목적과 연구목적 = 178
   3. 제한과 범위 = 184
   4. 용어의 정의 = 188
  Ⅲ. 실천연구 기획서 작성 = 193
   1. 체재 = 193
   2. 실천연구 기획서 작성 방법 = 194
   3. 실천연구 기획서(사례) = 202
제4부 실천연구 계획 단계(Ⅱ단계)
 제7장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 = 205
  Ⅰ. 이론적 고찰 방법 = 206
   1. 이론적 배경의 중요성 = 206
   2. 이론적 배경의 구성 = 207
   3. 이론적 고찰 방법 = 210
  Ⅱ. 이론적 배경의 논술 방법 = 212
   1. 종속변인(Y변인)의 논술 = 214
   2. 독립변인(X변인)의 논술 = 216
   3.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관계 논술 = 218
  Ⅲ. 선행연구의 분석과 논술 방법 = 220
   1. 선행연구의 분석 계획 = 220
   2. 인터넷 검색 방법 = 221
   3. 선행연구 분석 결과 논술 = 223
 제8장 실행가설의 설정 = 225
  Ⅰ. 실행가설의 설정과 유형 = 226
   1. 실행가설의 개념 = 226
   2. 실행가설의 설정 과정 = 231
   3. 가설의 진술 유형 = 236
  Ⅱ. 현장실태 분석과 제시 = 241
   1. 현장실태 분석 방법 = 241
   2. 현장실태 분석 결과 제시 = 245
   3. 현장실태 분석(사례) = 249
  Ⅲ. 실행가설의 구성과 진술 = 250
   1. 실행가설의 구성 = 250
   2. 실행가설의 진술 방법 = 254
   3. 실행가설 진술(사례) = 258
 제9장 연구의 설계 방법 = 261
  Ⅰ. 연구대상 = 262
   1. 표집이론 = 262
   2. 표집방법 유형 = 263
   3. 집단의 구성 방법 = 265
   4. 대상의 진술 방법 = 266
  Ⅱ. 기간 및 절차 = 267
   1. 연구기간의 의미 = 267
   2. 절차 구성의 방법 = 268
   3. 기간 및 절차의 진술 방법 = 270
  Ⅲ. 연구의 설계 방법 = 272
   1. 연구설계의 의미 = 272
   2. 연구의 설계 유형 = 273
   3. 연구설계의 진술 방법 = 277
 제10장 도구의 준비 및 제작과 활용 = 283
  Ⅰ. 도구의 유형 = 284
   1. 도구의 개념과 유형 = 284
   2. 도구의 제작 과정 = 285
  Ⅱ. 처치도구의 제작 = 286
   1. 교육과정 분석 = 286
   2. 학습지 제작 자료 수집 = 288
   3. 학습지 제작 = 289
   4. 학습지 활용 = 290
  Ⅲ. 검증도구의 제작 = 290
   1. 질문지법 = 291
   2. 면접법 = 303
   3. 관찰법 = 312
   4. 검사법 = 324
 제11장 통계적 방법 = 329
  Ⅰ. 통계의 유형 = 330
   1. 통계의 개념 = 330
   2. 통계의 유형 = 331
  Ⅱ. 기술통계의 방법 = 331
   1. 빈도와 측정치 = 332
   2. 기술통계의 유형 = 333
   3. 상관계수 = 334
  Ⅲ. 추리통계의 방법 = 342
   1. 정상분포 곡선 = 343
   2. CR검증 = 344
   3. x² 검증 = 348
   4. t검증 = 351
   5. F검증 = 355
 제12장 실천연구 계획서 작성 = 361
  Ⅰ. 가설의 실행 계획 = 362
   1. 실행 계획의 의의 = 362
   2. 실천내용 분석 및 선정모형 = 363
   3. 실행계획 수립 방법 = 364
   4. 실행계획의 진술 방법 = 366
  Ⅱ. 가설의 검증 계획 = 370
   1. 검증과 평가의 의미 = 370
   2. 검증내용 분석 및 선정 모형 = 372
   3. 양적연구의 검증계획 수립 방법 = 373
   4. 질적연구 결과 분석 계획 수립 방법 = 377
  Ⅲ. 실천연구 계획서 작성 = 382
   1. 체재 = 382
   2. 실천연구 계획서 작성 방법 = 383
   3. 실천연구 계획서(사례) = 387
제5부 실천연구 실행 및 보고 단계(Ⅲ단계)
 제13장 가설의 실행과 검증 = 391
  Ⅰ. 가설의 실행 = 392
   1. 가설 실행의 중요성 = 392
   2. 자료철 활용과 누가 기록철 = 393
   3. 실제의 제시 방법 = 394
  Ⅱ. 가설의 검증 = 400
   1. 통계 결과 제시 유형 = 400
   2. 도·표의 제시 방법 = 409
   3. 해설과 해석 = 411
   4. 질적연구 결과 제시 방법(사례) = 414
  Ⅲ. 논의의 방법 = 419
   1. 논의의 의의 = 419
   2. 논의의 방법 = 419
   3. 논의의 진술(사례) = 420
 제14장 요약 및 결론 = 423
  Ⅰ. 요약 및 요약서 = 424
   1. 연구와 오류론 = 424
   2. 요약의 방법 = 428
   3. 장·절별 요약 방법 = 432
  Ⅱ. 결론의 정립 = 438
   1. 결론의 의미 = 438
   2. 결론의 구성 모형 = 439
   3. 결론의 진술 방법 = 441
  Ⅲ. 제언 또는 과제 = 443
   1. 제언의 의의 = 443
   2. 제언의 방법 = 444
   3. 제언의 진술(사례) = 445
 제15장 실천연구 보고서 작성 = 447
  Ⅰ. 보고서의 체재 = 448
   1. 논문의 일반적 체재 = 448
   2. 양적·질적연구 논문의 체재 = 451
   3. 제본의 방법 = 454
  Ⅱ. 문체와 문장표현 = 455
   1. 연구 논문의 문체 = 455
   2. 연구 논문의 문장 표현 = 456
   3. 도·표의 표시 방법 = 457
  Ⅲ. 인용, 주 및 참고문헌 = 457
   1. 인용 = 458
   2. 주 = 459
   3. 참고문헌 = 466
제6부 평가 및 과제
 제16장 실천연구의 평가 = 471
  Ⅰ. 실천연구의 자기평가 = 472
   1. 실천연구 자기평가의 의의 = 472
   2. 실천연구 체제와 자기평가의 유형 = 473
   3. 실천연구 단계별 자기평가표 작성 = 475
  Ⅱ. 실천연구 보고서의 평가 = 479
   1. 이종승의 교육연구 평가 기준 = 479
   2. 한국교총의 연구 보고서 심사 기준 = 480
   3. 실천연구 논문의 질적평가 기준 = 481
  Ⅲ. 전국 현장교육연구 대회 = 484
   1. 전국현장교육연구운동 개요 = 484
   2. 2003년 제47회 전국현장교육연구대회 = 486
   3. 연구보고서 및 발표 심사 = 490
 제17장 실천연구의 과제 = 495
  Ⅰ. 실천연구 개념의 재정립 = 496
   1. 연구에서의 미시적 접근 = 496
   2. 실천연구 개념의 재정립 = 496
   3. 실천연구 목적의 재설정 = 499
  Ⅱ. 학교 실천연구 발표회 운영 = 501
   1. 학교 실천연구의 개념 = 501
   2. 학교 실천연구 발표회 운영 방법 = 503
   3. 학교 실천연구 발표 연구실적 인정 = 507
  Ⅲ. 현장교육연구대회 운영 개선 = 512
   1. 현장교육연구 대회 운영의 문제 = 512
   2. 학교 실천연구 대회의 제도적 장치 마련 = 514
   3. 학교·시도·전국규모연구대회 역할 분담 = 517
참고문헌 = 521
찾아보기 = 52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