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

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세기
서명 / 저자사항
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 / 이세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푸른사상 ,   2002.  
형태사항
469 p. : 삽도 ; 24 cm.
기타표제
이세기의 예술가 탐구 한국 명인 100인
ISBN
8956400318
000 00597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83081
005 20100807123113
007 ta
008 020919s2002 ulka 000a kor
020 ▼a 8956400318 ▼g 03800: ▼c \28000
040 ▼a 211009 ▼c 211009 ▼d 244002
049 1 ▼l 111224979 ▼f 개가 ▼l 111224980 ▼f 개가
082 0 4 ▼a 700.922 ▼2 21
090 ▼a 700.922 ▼b 2002
100 1 ▼a 이세기
245 1 0 ▼a 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 / ▼d 이세기 지음.
246 0 3 ▼a 이세기의 예술가 탐구 한국 명인 100인
260 ▼a 서울 : ▼b 푸른사상 , ▼c 2002.
300 ▼a 469 p. : ▼b 삽도 ; ▼c 24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11224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112249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41024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511293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11224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112249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4102454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청구기호 700.922 2002 등록번호 1511293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은 저자가 대한매일(전 서울신문) 논설위원으로 있던 1992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신문과 대한매일 전면에 걸쳐 일주일에 한번씩 연재되던 [이세기 인물 탐구] 시리즈에서 다루던 소설가 황순원 선생님(92년 11월 3일자)을 필두로 문화예술 각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활동을 보인 예술가들이 대상이 되고 있다. 그것은 갑작스럽게 쓰여진 것이 아니라 신문사 생활을 하는 동안 전시장이나 공연장 주변에서 늘 만나던 사람들의 이야기이고 그래서 기존 스크랩에 의존하지 않은 싱싱한 이면사들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파헤치고 있다. 대상이 정해지면 배우가 역할을 맡은 것처럼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오랜 시간 묵고에 들어갔다. 예술가들인 만큼 각자 타고난 재능과 노력, 어떤 어려움 앞에서도 굴하지 않는 지조와 개성, 끈질긴 집념은 누구나 비슷했다. 이 땅의 예술문화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이들인 만큼 비판하고 분석하는 시각이 아니라 최상의 상찬도 모자란다는 식으로 접근해 나갔다. 전문가들의 조언과 추천을 통해 이 시리즈에 다뤄진 인물은 240여명, 200자 원고지로 총 6천여 장을 썼다. 신문 활자가 작았던 시절에는 35장에서 38장, 활자가 커지고 컬러사진을 크게 쓰면서 20장 안팍으로 줄어들어 분량이 조금씩 다른 것은 그런 연유에서다. 이번에는 그중 100인만을 모았다. 100이라는 숫자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 나로서는 모두가 소중한 분들이지만 평소 전화로 편지로 내 글을 격려하고 '언제 책이 되어서 나오느냐?'고 독촉하던 이들을 먼저 모으고 다음 책의 밸런스를 위해 아끼는 이들을 따로 준비중에 있다. [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이 예술을 향한 집념을 불태우는 젊은이들에게도 그들의 선대와 선배가 어떤 환경에서 어떻게 예술의 험난한 길을 걸어왔는가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세기(지은이)

이화여대 국문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조선일보 신춘문예 소설「두 시간 십분」당선. 현대문학 소설추천. MBC-TV 영화번역. 서울신문 논설위원(1991~1999),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문화예술》편집위원, 세종문화회관 운영위원(1999~2002), 한국영상자료원 이사(2002~2005), 영상물등급위원회 위원(2000~2004) 역임. 서울신문에「이세기의 인물 탐구」(1992~1999), 《문화예술》에「이세기의 예술가 탐구」(2000~2004) 연재. 현대문학상(1977), 서울언론인클럽 신문칼럼상(1999) 수상. 저서: 창작집 『바람과 놀며』, 『그 다음은 침묵』, 김옥길평전『자유와 날개』, 한국명인 100인『빛을 가꾸는 에피큐리언』, 강선영평전『여유와 금도의 춤』, 『예술을 뚫고 들어간 사람들』외 다수. 현재 차범석 연극재단 이사,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예심위원.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시의 경지로 소설을 승화시킨 황순원 = 9
꿈에서도 시를 쓰는 시인 고은 = 13
기하학적 건축미학 공일곤 = 18
구도자적 대시인 구상 = 24
흰빛에 흐르는 무구한 숨결 권영우 = 28
관조의 강가에선 권옥연의 회화세계 = 32
불꽃같은 연기자 김금지 = 37
천상의 피리부는 김기순 = 43
화단의 거봉 김기창 = 47
득도의 경지에 이른 김대환의 드럼 = 53
영원한 햄릿 김동원 = 57
춤추는 서정시인 김말애 = 62
청완의 가락짜는 김무길의 금도 = 66
무용계의 대모 김백봉 = 70
건축계의 학구파 김석철 = 75
절세의 명창 김소희 = 80
깨끗하고 담백한 김순정의 창작발레 = 85
보배로운 예술가 김영욱 = 89
생명주의 실천한 조각가 김영중 = 94
춤을 찾아 떠도는 보헤미안 김영태 = 98
환경을 생각하는 건축가 김원 = 102
선적(禪的)인 선(線) 추구하는 김장희의 미학 = 106
제3의 연극 주도한 김정옥 = 111
김천흥의 궁중정재의 멋 = 117
일중 김충현의 서도(書道) 회화 = 121
한국적 정서 그리는 김형근의 세련미 = 126
발레 지도자로 우뚝 선 김혜식 = 130
자유분방과 개성의 화가 김흥수 = 135
서양화가 도문희의 축제 의식 = 140
독보적 소리보물 묵계월 = 145
'미래가 기억해야할 위대한 예술가' 문신 = 149
가장 문학적인 발레리나 문훈숙 = 154
결곡하고 거대한 박경리의 문학 = 158
산같은 산의 화가 박고석 = 163
인위와 조작이 없는 박노수의 동양화 = 168
완벽을 추구하는 박동욱의 음악세계 = 173
우람장중의 명창 박동진 = 178
역사성을 존중하는 박명숙의 창작춤 = 183
'진도씻김굿' 명인 박병천 = 187
순수·대중음악 넘나드는 테너 박인수 = 191
남보다 앞장선 박일규의 첨단무용 = 195
힘의 실체가 깃든 배정혜의 한국춤 = 199
건반의 거장 백건우 = 203
청중에게 빛을 보내는 백남옥의 미성 = 207
21세기를 향한 백남준의 비주얼 아트 = 212
'저 숱한 소리들의 나라' 작곡가 백병동 = 218
58세에 17세 공주를 연기한 백성희 = 222
개혁적 화업 이룩한 서세옥의 회화세계 = 227
무장무애한 서정주의 시혼 = 232
동·서편제 통달한 성창순의 판소리 = 237
현장에 서 있는 만년 문화부 기자 손기상 = 242
타고난 소리꾼 안숙선 = 246
가야금산조의 가문을 잇는 양승희 = 251
「파란마음 하얀마음」 아동문학 어효선 = 256
건축계 대부 엄덕문 = 261
'제주도'를 쓰는 소설가 오성찬 = 266
연극계의 반란 오태석 = 270
첨단시대를 향한 원정수의 건축언어 = 275
살아있는 회화(繪畵) 연출하는 유덕형의 무대 = 279
유영교의 생명이 깃든 조각 = 284
강렬한 색채의 변주 유영국 = 289
현대무용의 선두주자 육완순 = 293
소설가로 변신한 음악평론가 이강숙 = 298
민족음악을 선도한 작곡가 이건용 = 302
비장미의 대명사 이광수의 소리굿 = 306
빛을 데생하는 화단의 신사 이대원 = 310
한국정서의 원류를 찾는 이만익 = 315
관객을 뇌쇄시키는 이매방의 춤 = 319
한국문학의 기린아 이어령 = 324
말과 행동에 책임지는 예술행정가 이종덕 = 329
미시적 치밀성과 거시적 대담성, 이종상의 원형상 = 334
셰익스피어의 전도사 이태주 = 338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는' 임영웅의 연극 = 342
교향악 운동의 초석 임원식 = 347
작품으로 행동하는 소설가 장덕조 = 351
'파우스트 장' 장민호 = 357
시·서·화 삼절의 노대가 월전 장우성 = 361
끌과 망치로 다듬어진 전무송의 연기 = 367
고백성사의 자세를 지킨 전봉초의 첼로 연주 = 372
푸른 숲으로 삶을 가꾸는 전숙희 = 376
바이올린의 화신 정경화 = 380
벽사(碧史)의 곡선을 이어받은 정재만 = 384
'경쾌한 에피큐리언' 시인 정현종 = 389
강산제(岡山制) 판소리 명인 조상현 = 394
거리문화를 평정한 조성렬의 큐빅운동 = 398
새로운 원형을 창조하는 조흥동의 춤제 = 402
한국적 리얼리즘 연극 확립한 차범석 = 406
화사한 고독이 여울지는 천경자화 = 411
앙드레 말로가 관심 보인 최기원의 예술조각 = 417
'지적 성직자' 소설가 최인훈 = 420
'어수꾸나 무서운' 최일남의 풍자 = 425
조각가 최종태의 도끼같은 '얼굴'들 = 429
'춤추는 학' 발레리나 최태지 = 434
미장부의 멋과 미를 갖춘 최현의 무격(舞格) = 438
청자(靑瓷) 연적같은 피천득의 수필 = 443
음악계의 신사 한상우의 송곳 평론 = 448
담백한 무기교의 수묵추상 홍석창 = 452
춤추기 위해 태어난 피닉스[靈鳥], 홍신자 = 456
동양적 신비 길어올리는 황병기의 금선(琴線) = 461
현대 도예의 일인자 황종례 = 466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