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46namccc200277 k 4500 | |
001 | 000000782895 | |
005 | 20230428172340 | |
007 | ta | |
008 | 020918s2001 ulkaj 001a kor | |
020 | ▼a 8932310742 ▼g 04080 : ▼c \20000 | |
035 | ▼a KRIC08262582 | |
040 | ▼a 221016 ▼d 221016 ▼d 221016 ▼d 211009 ▼c 211009 | |
049 | 1 | ▼l 111221871 ▼f 개가 ▼l 111220510 ▼f 개가 |
082 | 0 4 | ▼a 780.9519 ▼2 21 ▼a 780.953 |
090 | ▼a 780.953 ▼b 2001b | |
100 | 1 | ▼a 이강숙, ▼g 李康淑, ▼d 1936-2020 ▼0 AUTH(211009)67737 |
245 | 1 0 | ▼a 우리 양악 100년 / ▼d 이강숙 ; ▼e 김춘미 ; ▼e 민경찬 [공저]. |
260 | ▼a 서울 : ▼b 현암사, ▼c 2001. | |
300 | ▼a 400 p. : ▼b 삽도,연보 ; ▼c 20 cm. | |
490 | 1 0 | ▼a 방일영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총서 ; ▼v 5 |
504 | ▼a 참고문헌(p.362-370)과 주, 색인수록 | |
700 | 1 | ▼a 김춘미 ▼0 AUTH(211009)94757 |
700 | 1 | ▼a 민경찬 ▼0 AUTH(211009)92598 |
830 | 0 | ▼a 한국문화예술총서(방일영문화재단) ; ▼v 4 |
940 | ▼a 우리 양악 백년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b | Accession No. 1112205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b | Accession No. 1112218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천원 780.953 2001b | Accession No. 192056572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01b | Accession No. 1511276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b | Accession No. 11122051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80.953 2001b | Accession No. 111221871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6-29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천원 780.953 2001b | Accession No. 192056572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80.953 2001b | Accession No. 15112765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우리 나라에서 서양 음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세기 말 개신교의 선교 활동에 따라 찬송가가 보급되면서부터였다. 서양 음악의 유입 초기에는 당시까지 즐겨 사용하던 전통 음악과 너무나 이질적인 탓에 쉽게 수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개화기, 일제 강점기를 통해 사회 전반에 서구식 문화가 이입하면서 양악 역시 금세 우리 문화의 일부로 받아들여졌다. 이 책은 애초에는 서양에서 들어온 것이라 하더라도 이제는 우리의 것이 된 양악에 대하여 굳이 우리 것이니 아니니 편가르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의 보편적 가치를 찾고자 하는 차원에서 서술하였다. 구한말이래 해방 공간까지의 음악사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기에 새롭게 밝혀진 부분을 정리하는 방향으로 집필했고, 광복 후 음악사는 큰 흐름 속에 여러 구체적 사실을 채우는 방식으로 집필하였다. 서양 음악의 국내 유입에 대한 여러 가지 설에서부터 양악 확산의 계기가 된 양악대의 창설, 시대별로 즐겨 부른 동요·가곡·기악곡 등, 각 음악 단체의 조직과 활동, 전문 음악 교육 기관 및 음악 출판, 음악의 현장에 이르기까지를 자세히 고찰하였으며, 지난 한 세기 우리 양악의 시대별 변천사를 악보는 물론 풍부한 사진 도판과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연표를 실어 우리 양악 100년사를 일목요연하게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개략적인 서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I. 서양 음악의 수용 과정' 에서는 서양 음악의 국내 유입 시기에 대한 여러 가지 설과 양악 확산의 계기가 된 양악대의 창설, 통감부의 음악 교육 정책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Ⅱ. 일제 강점기의 양악' 에 서는 조선총독부의 음악 정책과 음악 교육에서부터 20세기 초 한국 양악의 주류를 형성한 창가를 비롯 일제 강점기에 불린 동요, 가곡, 기악곡, 연주 단체의 조직과 활동, 전문 음악 교육 기관, 레코드 음악, 음악 출판에 대해 소개하였다. 'Ⅲ. 광복 후 한국 음악사의 전개' 에서는 광복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음악을 밀접할 수밖에 없었던 당대 정치와 관련지어 정치성이 극대화한 시기, 탈 정치적 심미성 추구 시기, 음악의 심미성과 윤리성 구현 시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Ⅳ. 해방 공간과 한국 전쟁기의 음악'에서는 그 시기에 등장한 해방 가요와 민족 음악 운동, 음악가협회와 음악가동맹의 대립, 음악 단체들을 소개하고 창작 음악의 전개와 음악 출판 및 교육, 한국 전쟁기의 음악사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다. 그리고 'V. 현대의 한국 음악 1'과 'Ⅵ. 현대의 한국 음악 2'에서는 한국 음악을 조직적으로 확산해 나간 대한음악가협회, 한국음악단체연합회, 한국음악협회, 교향악단 등 단체들의 활동을 소개하고, 창작 음악의 전개와 변화, 한국 음악에 대한 논쟁, 한국 음악학에 대한 자리 매김, 음악의 현장에 대해 고찰하였다. 저자 소개이강숙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및 석사 미국 휴스턴대학교 음악문헌학 석사 미시간주립대학교(앤아버) 음악교육학 박사. 모스크바 국립음악원 명예박사 빛 명예교수. 前 서울대 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저서> 『열린 음악의 세계』(1980),『음악의 방법』(1982),『종족음악과 문화』(편저, 1982),『음악의 이해』(1985),『음악적 모국어를 위하여』(1985),『음악과 지식』(편저, 1987),『음악 선생님을 위하여』(1990),『한국음악학』(1990) 외 김춘미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음악학 석사 미시간주립대학교 음악학 박사 現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소장 <저서> 『역사는 만들어 가는 것이다』(1992),『음악학의 시원』(1995),『한국예술학으로 가는 길』(1997),『예술사 서술의 기초』(1998),『한국음악학의 사회사적 구조』(1999), 『한국작곡가 사전』( 공저, 1999),『백병동 연구』(2000) 외 민경찬서울대학교 음악대학 학사 일본 수림외국어전문학교 일본어과 졸업 동경예대 대학원 석사 現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교수 저서 『김순남 가곡전집』(편저, 1989) 『홍난파 자료집』(편저, 1995), 『한국창가의 색인과 해제』(1997), 『한국 작곡가 사전』(공저, 1999)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이강숙(지은이)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기악과를 졸업한 후 미국 휴스턴 대학에서 음악문헌학으로 석사를, 그리고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음악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인 최초의 음악학자로서 미국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조교수를 지낸 후 서울대학교에서 15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KBS교향악단 초대 총감독을 역임하였으며 1992년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의 교장으로 6년 동안 음악원을 포함한 6개원의 체제를 확립하였으며 1998년에는 초대 총장으로 취임하여 2002년까지 3대 총장까지 연임하였다. 10년간 한예종의 총장으로서 우리나라 음악교육과 예술교육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아 2002년에는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5년에는 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주빈국 조직위원장을 맡은 바 있다. 1998년 《 현대문학》에 문학적 기질을 발휘하는 명 에세이 「 술과 아내」를 발표하면서 소설가로서의 발을 내딛었으며 2001년에는 단편 『빈 병 교향곡』으로 등단, 그 이후로 소설가로서의 삶을 살고 있다. 2013년에는 단편 『반쯤 죽은 남자』로 제39회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20년 12월 향년 84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문화예술총서를 발간하며 = 4 『우리 양악 100년』에 부쳐 = 7 Ⅰ. 서양 음악의 수용 과정 1. 서양 음악의 국내 유입 시기 = 16 2. 찬송가의 수입 = 22 3. 찬송가의 선율을 차용한 세속의 노래, 애국가 = 35 4. 양악대의 창설 = 46 5. 일본 군가의 유입 = 53 6. 학교의 음악 교육과 통감부의 음악 교육 정책 = 66 Ⅱ. 일제 강점기의 양악 1. 조선총독부의 음악 정책과 음악 교육 = 78 2. 일제 강점기에 불린 애국가류의 창가 = 94 3. 일제 강점기의 창작 음악1 - 창가 = 103 4. 일제 강점기의 창작 음악2 - 동요 = 118 5. 일제 강점기의 창작 음악3 - 가곡 = 132 6. 일제 강점기의 창작 음악4 - 기악곡 및 기타 = 156 7. 연주 단체의 조직과 활동 = 163 8. 전문 음악 교육 기관 = 168 9. 레코드 음악의 등장 = 175 10. 음악 출판 = 187 Ⅲ. 광복 후 한국 음악사의 전개 1. 정치성의 극대화 시기 = 207 2. 탈정치적 심미성의 추구 시기 = 213 3. 음악의 심미성과 윤리성의 구현 시기 = 221 Ⅳ. 해방 공간과 한국 전쟁기의 음악(1945∼1953년) 1. 해방 가요의 등장과 민족 음악 운동 = 224 2. 음악가협회와 음악가동맹의 대립, 그리고 음악 단체들 = 231 3. 창작 음악의 전개 = 243 4. 음악 출판 = 251 5. 음악 교육 = 257 6. 한국 전쟁기의 음악사 = 261 Ⅴ. 현대의 한국 음악 1(1953∼1979년) 1. 분단 시대의 출발 = 270 2. 대한음악가협회와 한국음악단체연합회, 그리고 한국음악협회 = 271 3. 교향악단 = 273 4. 창작 음악의 전개1 - 가곡 = 277 5. 창작 음악의 전개2 - 기악곡 = 287 6. 음악 출판 = 294 7. 연주계의 음악 활동 = 300 Ⅵ. 현대의 한국 음악 2(1980년대 이후) 1. 창작계의 변화 : 자생적인 한국 음악을 위하여 = 317 2. 한국 음악에 대한 논쟁 = 325 3. 한국 음악학의 통합적인 자리매김 = 331 4. 음악의 현장 = 338 맺는말 = 343 연표 = 346 참고문헌 = 362 주석 = 371 찾아보기 =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