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장 행정의 이해 = 17
제1절 행정의 본질 = 18
1. 행정의 의미 = 18
2. 정치와 행정의 관계 = 20
3. 행정과 경영의 관계 = 24
제2절 현대행정의 특징과 과제 = 27
1. 현대 행정의 특징 = 27
2. 새로운 사회환경과 행정의 과제 = 31
제3절 행정의 기본기념 = 39
1. 의의 = 39
2. 행정의 이념 = 40
3. 행정 이념 간의 우선순위 = 46
제2장 행정학의 발달 = 49
제1절 행정학의 학문적 성격 = 50
제2절 행정학의 성립과 발달 = 52
1. 유럽 행정학의 성립과 전개 = 52
2. 미국 행정학의 성립 및 발전 배경 = 56
3. 한국 행정학의 발달 = 58
제3절 주요 행정이론의 변천 = 60
1. 과학적 관리론 = 60
2. 인간관계론 = 61
3. 비교행정론 = 62
4. 발전행정론 = 64
5. 신행정론 = 65
제4절 행정학의 접근 방법 = 65
1. 접근 방법이란 무엇인가? = 65
2. 역사적 접근 방법 = 67
3. 법적·제도적 접근 방법 = 67
4. 기능적 접근 방법 = 68
5. 형태론적 접근 방법 = 69
6. 생태론적 접근 방법 = 71
7. 체제론적 접근 방법 = 72
8. 현상학적 접근 방법 = 73
9. 공공선택론적 접근 방법 = 74
10. 신제도론적 접근 방법 = 76
제3장 행정환경과 행정문화 = 79
제1절 행정과 환경과의 관계 = 80
1. 행정환경의 의의 = 80
2. 행정조직과 환경과의 관계 = 80
제2절 행정환경의 구성 요소 = 82
1. 사회적 요소 = 82
2. 경제적 요소 = 83
3. 정치적 요소 = 84
4. 국제적 요소 = 87
제3절 한국의 행정환경 = 88
1. 사회적 환경 = 88
2. 경제적 환경 = 89
3. 정치적 환경 = 90
제4절 행정문화의 정의 = 92
1. 문화의 정의 = 92
2. 행정문화의 개념 = 92
제5절 행정문화의 내용 = 93
1. 서구 행정문화의 특징 = 93
2. 한국 행정문화의 특징 = 96
제6절 한국 행정문화의 변화 = 99
1. 변화의 배경 = 99
2. 한국 행정문화의 개선 방향 = 101
제4장 정책이론 = 104
제1절 정책학의 기초 개념 = 105
1. 정책연구의 필요성 = 105
2. 정책의 의의 = 107
3. 정책의 유형 = 109
4. 정책환경과 정책 체계 = 111
제2절 정책과정 이론 = 114
1. 정책 과정에 대한 견해 = 114
2. 정책형성 과정 = 114
3. 정책결정 과정 = 115
4. 정책집행 과정 = 123
5. 정책평가 과정 = 127
6. 정책종결 단계 = 131
제3절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132
1. 합리모형 = 132
2. 만족모형 = 134
3. 점증모형 = 136
4. 혼합관조모형 = 138
5. 최적모형 = 139
6. 기타 = 140
제4절 현대 사회에서의 정책의 위치 = 141
제5장 조직의 이해 = 144
제1절 조직의 기초 개념 = 145
1. 조직의 의의 = 145
2. 조직목표 = 152
3. 조직효과성 = 155
제2절 조직이론의 역사적 전개 = 157
1. 조직이론의 의의 = 157
2. 고전적 조직이론(과학적 관리론) = 158
3. 신고전이론(인간관계론) = 160
4. 현대이론 = 161
제3절 행정조직의 형태 = 467
1. 조직형태의 의의 = 167
2. 조직의 형태 = 167
3. 미래의 조직 = 173
4. 조직분석 = 178
5. 집권화와 분권화 = 180
제4절 조직과 인간 = 180
1. 의의 = 180
2. 인간관 = 180
3. 동기부여 = 182
4. 리더십 = 189
5. 갈등관리 = 192
제6장 인사행정 = 198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 = 199
1. 인사행정의 의의 = 199
2. 인사행정의 발달 = 202
제2절 현대인사행정 = 209
1. 적극적 인사행정 = 209
2. 중앙인사위원회 = 211
제3절 직업공무원제 = 213
1. 직업공무원제의 개념 = 213
2. 직업공무원제의 장·단점 = 214
3. 직업공무원제와 실적주의의 관계 = 214
제4절 공직의 분류 = 215
1. 공적 분류의 의의 = 215
2. 경력직 공무원 = 216
3. 특수경력직 공무원 = 216
제5절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 217
1. 직위분류제 = 217
2. 직위분류제의 구성 요소와 장단점 = 220
3. 계급제 = 222
제6절 채용 = 224
1. 모집의 의의 = 224
2. 시험 = 225
3. 임용의 의의 = 227
제7절 능력발전 = 228
1. 교육훈련의 의의 및 필요성 = 228
2. 교육훈련의 목적 = 229
3. 교육훈련 종류 = 230
4. 교육훈련 방법 = 231
제8절 근무성적 평정 = 233
1.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 = 233
2. 승진 = 237
3. 보수 및 연금 체계 = 240
제7장 재무행정 = 245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 = 246
1. 재무행정의 개념과 범위 = 246
2. 예산 = 247
3. 예산의 원칙 = 250
제2절 예산의 종류와 분류 = 254
1. 예산의 종류 = 254
2. 예산의 분류 = 257
3. 우리 나라 예산 과목 구조 = 259
제3절 예산 과정(절차) = 260
1. 예산 과정의 법적 기초 = 261
2. 예산의 과정 = 261
제4절 예산제도의 변천과 개혁 = 274
1. 품목별 예산제도 = 274
2. 성과주의 예산제도 = 276
3. 계획 예산제도 = 279
4. 영기준 예산제도 = 284
5. 예산제도 도입 및 활용 사례 = 289
제8장 지방행정 = 291
제1절 지방자치의 개념과 의의 = 292
1. 지방행정론의 연구 대상과 개념 = 292
2. 지방자치의 구성 요소 = 293
3.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 293
4. 지방자치의 이념 = 295
5. 우리 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 295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조직 체계와 계층구조 = 299
1.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유형 = 299
2. 지방자치단체의 구역과 계층구조 = 301
제3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과 기능 배분 = 302
1. 자치권의 의의와 개념 = 302
2. 공공사무에 대한 개요 = 305
3. 지방자치단체사무의 유형별 분류 = 308
제4절 지방자치 재정 = 311
1. 지방재정의 개념과 특성 = 311
2. 지방재정 수입의 종류 = 311
3.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 = 315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 316
1. 기관 구성의 의의와 형태 = 316
2. 우리 나라 자치단체의 기관 구성 = 318
제6절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의 집행기관 = 319
1. 지방의회의 의의와 지위 = 319
2. 지방의회의 권한 = 320
3. 지방의회의 조직과 운영 및 기능 = 321
4. 지방의회 의원의 권리와 의무 및 금지 사항 = 323
5. 지방의회의 보수 = 323
6. 집행기관의 개념과 지위 = 324
7. 지방자치단체장 = 325
8.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기관 = 327
제7절 지방자치와 주민 참여 = 329
1. 주민 참여의 개념 = 329
2. 주민 참여의 유형 = 329
3. 주민 참여의 방법 = 330
4. 우리 나라 주민 참여 제도 = 330
제8절 지방공기업과 제3섹터 = 331
1. 공기업의 개념과 설립 이유 = 331
2. 지방공기업의 운영 기준 = 331
3. 지방공기업의 분류 = 332
4. 제3섹터의 개념 = 334
5. 우리 나라 제3섹터의 현황 = 334
6. 제3섹터의 문제점 = 335
7. 제3섹터의 활성화 대책 = 35
제9장 행정정보체계론 = 337
제1절 새로운 행정환경 : 지식정보 사회 = 338
1. 지식정보 사회의 의의 = 338
2. 지식정보 사회의 영향 = 340
제2절 정보와 행정정보 체계 = 347
1. 정보와 행정정보 : 개념과 특징 = 347
2. 정보와 지식 = 349
3. 행정정보 체계의 개념과 특징 = 351
4. 행정정보 체계의 영향 = 355
제3절 행정정보화 = 358
1. 우리 나라의 행정정보화 = 358
2. 전자정부의 구현 = 360
3. 지식기반 국가와 지식정부의 역할 = 362
제4절 정보정책 = 364
1. 정보공개 제도 = 364
2. 개인 정보 보호 = 365
3. 지적재산권 보호 = 367
제10장 공공 부문의 노사관계 = 371
제1절 공공 부문 노사관계의 개념과 특징 = 372
1. 노사관계의 개념 = 372
2. 공공 부문 노사관계의 특징 = 374
3.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노사관계 비교 = 379
제2절 공공 부문 노사관계 제도의 발전 = 385
1. 국제적인 추세 = 385
2. 각국의 공공 부문 노사관계 제도 발전 = 386
제3절 우리 나라의 공공 부문 노사관계 제도 = 393
1. 우리 나라 공공 부문 노사관계 제도의 변화 = 393
2. 공공 부문 노사관계의 현황 = 395
3. 공공 부문 단체교섭의 주요 쟁점 = 401
제4절 노사분쟁의 관리 및 노사 협력 = 404
1. 분쟁 해소 방식의 유형 = 404
2. 분쟁 해소 방식에 대한 평가 = 408
3. 공공 부문 노사 협력의 실천 = 410
용어해설 = 415
참고 문헌 = 434
찾아보기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