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법철학

법철학 (8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최종고 , 1947-
서명 / 저자사항
법철학 = Jurisprudence Rechtsphilosophie / 崔鍾庫 著.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   2002.  
형태사항
xviii, 706 p. ; 26 cm.
ISBN
8910509473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14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80956
005 20100807120104
007 ta
008 020909s2002 ulk 001a kor
020 ▼a 8910509473 ▼g 93360 : ▼c \30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23689 ▼f 개가 ▼l 111223690 ▼f 개가 ▼l 111233489 ▼f 법학
082 0 4 ▼a 340.1 ▼2 21
090 ▼a 340.1 ▼b 2002a
100 1 ▼a 최종고 , ▼d 1947-
245 1 0 ▼a 법철학 = ▼x Jurisprudence Rechtsphilosophie / ▼d 崔鍾庫 著.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2.
300 ▼a xviii, 706 p. ; ▼c 26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2a 등록번호 1112236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2a 등록번호 11122369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0.1 2002a 등록번호 1112334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제1편 총론
   제1장 법철학이란 학문
      Ⅰ. 법철학의 의의 = 2
      Ⅱ. 법철학의 임무 = 4
      Ⅲ. 법철학의 체계 = 6
      Ⅳ. 법철학과 인접학문 = 10
        1. 법(과)학과의 관계 = 11
        2. 법사회학과의 관계 = 11
        3. 법사학(法史學)과의 관계 = 12
        4. 사회철학과의 관계 = 13
        5. 법이론과의 관계 = 14
      Ⅴ. 본서의 방법 = 15
   □□ 참고문헌 = 17
   제2장 법의 개념 
      Ⅰ. 법이란? = 19
      Ⅱ. 라드브루흐의 법개념 = 24
      Ⅲ. 법개념에 관한 논쟁 = 25
        1. 켈젠-에를리히 논쟁 = 25
        2. 하트-풀러-드워킨 논쟁 = 26
        3. 드라이어-회르스터-크라비츠 논쟁 = 29
      Ⅳ. 법개념의 과제 = 31
   □□ 참고문헌 = 33
   제3장 법의 이념 
      I. 법의 이념 = 35
      Ⅱ. 법 이념의 의미 = 36
      Ⅲ. 법 이념의 종류 = 39
      Ⅳ. 정의 = 42
        1. 고대와 중세의 정의론 = 43
        2. 근세의 정의론 = 45
        3. 켈젠의 정의론 = 46
        4. 라드브루흐의 정의론 = 47
        5. 코잉의 정의론 = 49
        6. 페를만의 정의론 = 51
        7. 롤즈의 정의론 = 52
        8. 바인베르거의 정의론 = 58
        9. 정의와 실천론 = 62
      Ⅴ. 합목적성 = 64
      Ⅵ. 법적 안정성 = 67
      Ⅶ. 법이념의 내적 통일 = 71
      Ⅷ. 법과 법이념의 관계 = 73
   □□ 참고문헌 = 77
   제4장 법철학의 역사
      Ⅰ. 고대의 법철학 = 80
      Ⅱ. 자연법론 = 82
        1.스콜라철학 = 82
        2.신토마스주의 = 82
        3.합리주의적 자연법론 = 83
        4.역사적 자연법론 = 84
      Ⅲ. 관념주의 법철학 = 85
      Ⅳ. 공리주의 법철학 = 86
      Ⅴ. 역사법학파 = 86
      Ⅵ. 법실증주의 = 88
        1. 독일보통법학과 프랑스주석학파 = 88
        2. 분석법학과 순수법학 = 88
      Ⅶ. 자유법론 = 89
      Ⅷ. 현상학적 법철학 = 90
      Ⅸ.실질적 가치론의 법철학 = 91
      Ⅹ. 실존주의 법철학 = 92
      XⅠ. 실용주의 법철학 = 93
      XⅡ. 법현실주의 = 94
      XⅢ.법철학사의 과제 = 95
        □□ 참고문헌 = 96
   제5장 법과 도덕
      Ⅰ. 법과 도덕의 문제 = 97
      Ⅱ. 법과 도덕의 구별 = 99
        1. 법과 도덕의 구별론 = 99
        2. 법과 도덕의 일원론 = 104
      Ⅲ. 법실증주의와 법의 도덕성 = 108
        1. 법실증주의의 반성 = 108
        2. 법의 도덕성의 요청 = 110
      Ⅳ. 인간실존과 법상황 = 114
        1.인간존재와 법 = 114
        2. 윤리적 판단과 법률주의 = 118
        3.상황과 사랑의 윤리 = 120
        4. 법을 통한 사랑의 실현 = 123
      Ⅴ. 도덕의 법적 강제 = 126
        1. 출발점 : 밀의 ''해악의 원칙''(harm principle) = 127
        2. 데블린 - 하트의 논쟁 = 127
        3. 최근의 경향 = 128
      Ⅵ. 남은 과제 = 129
   □□ 참고문헌 = 132
   제6장 법의 효력
      Ⅰ. 규범과 효력 = 134
        1. 도덕적 효력 = 135
        2. 사회윤리적 효력 = 135
        3. 강제규율로서의 효력 = 136
      Ⅱ. 법효력의 개념 = 137
      Ⅲ. 법효력의 근거 = 138
        1. 법률적 효력론 = 138
        2. 사실적 효력론 = 140
        3. 철학적 효력론 = 142
      Ⅳ. 법의 승인 = 143
      Ⅴ. 법과 힘 = 146
   □□ 참고문헌 = 148
   제7장 법의 미학 
      Ⅰ. 법미학의 의의 = 150
      Ⅱ. 법과 미술 = 151
        1. 법의 신화 = 153
        2. 정의의 상징 = 154
        3. 재판관으로서의 신 = 155
        4. 법사(法史)와 미술사 = 157
        5. 사법과 권력의 비판 = 158
        6. 미술과 저작권 = 159
        7. 법과 정의의 동서양 = 160
      Ⅲ. 법과 문학 = 163
        1. 법과 언어 = 163
        2. 법과 문학 = 164
      Ⅳ. 법미학의 과제 = 170
   □□ 참고문헌 = 172
   제8장 자연법론와 법실증주의
      Ⅰ. 현대의 자연법론 = 174
        1. 에릭 볼프 = 174
        2. 풀러 = 181
        3. 피니스 = 183
      Ⅱ. 현대의 법실증주의 = 185
        1. 하트 = 186
        2. 라즈 = 186
      Ⅲ. "제 3의 길" = 186
        1. 라드브루흐 법철학 = 187
        2. 법해석학 = 188
        3. 법률적 논의이론 = 191
        4. ''법의 일반원칙''론 = 192
        5. ''비판법학'' = 198 
      Ⅳ. 결론 = 198
   □□ 참고문헌 = 200
   제9장 법의 종교철학
      Ⅰ. 법의 종교성 = 201
      Ⅱ. 법신학의 원류(源流) = 203
      Ⅲ. 헥켈의 이왕국론(二王國論) = 206
      Ⅳ. 에릭 볼프의 선린법(善隣法) = 210
      Ⅴ. 돔보아의 은총법(恩寵法) = 214
      Ⅵ. 법철학과 법신학 = 219
      Ⅶ. 법의 종교철학 = 221
   □□ 참고문헌 = 223
   제10장 H.켈젠의 법철학 
      Ⅰ. 순수법학자 켈젠 = 224
      Ⅱ. 순수법론의 기본원리 = 228
        1. 법의 개념과 규정 = 230
        2. 법ㆍ도덕ㆍ종교 = 231
        3. 조건적 판단으로서의 법규 = 232
        4. 근본규범(根本規範) = 234
        5. 권리와 의무 = 238
        6. 법의 창설 = 239
        7. 국가주권과 법질서 = 241
      Ⅲ. 켈젠의 영향 = 243 
      Ⅳ. 한국법학과 켈젠 = 245
   □□ 참고문헌 = 248
   제11장 G.라드브루흐의 법철학
      Ⅰ.라드브루흐의 법철학의 의의 = 250
      Ⅱ.라드브루흐의 상대주의 법철학 = 251
        1. 법철학적 상대주의의 배경 = 251
        2. 상대주의의 법철학적 기초 = 252
        3. 상대주의의 가치관 = 254
        4. 법이념과 상대주의 = 256
        5. 상대주의와 민주주의 = 259
        6. 상대주의의 한계 = 262
      Ⅲ. 라드브루흐의 후기법철학 = 264
        1. 법실증주의의 비판 = 264
        2. 법원칙에로의 전환 = 265
      Ⅳ. 라드브루흐와 현대법철학 = 270
        1. ''라드브루흐 공식'' = 271
        2. 상대주의의 재해석 = 277
        3. 라드브루흐와 켈젠 = 280
        4. 한 삶의 평가 = 285
        5. 현대 법이론과의 연관 = 288
   □□ 참고문헌 = 291
   제12장 포스트모던시대 법철학 
      Ⅰ. 포스트모던과 포스트모더니즘 = 295 
      Ⅱ. 논의이론 = 297
        1. 신합리주의 법철학 = 297
        2. 피이벡 = 298
        3. 페를만 = 301
        4. 찌펠리우스 = 304
        5. 드라이어 = 306
        6. 아르니오 = 309
        7. 알렉시 = 311
      Ⅲ. 비판법이론 = 318
        1. 비판이론의 법철학 = 318
        2. 비판법학운동 = 320
        3. 웅거 = 322
      Ⅳ. 포스트모던시대의 법적 과제 = 325
   □□ 참고문헌 = 329
   제13장 동아시아 법철학 
      Ⅰ. 현대 법철학과 동아시아 = 332
      Ⅱ. 동아시아 법문화의 전통 = 335
      Ⅲ. 동아시아적 자연법 = 339
      Ⅳ. 동아시아 법철학의 과제 = 341
        1. 법치주의 전통의 재해석 = 341
        2. 법과 이데올로기 = 342
        3. ''유교적 자본주의''의 문제 = 343
        4. 인권과 인간책임 = 344
        5. 정법(正法)과 선법(善法)의 이념 = 345
        6. 법윤리(法倫理)와 법미학(法美學) = 346
        7. 동아시아적 민주주의 = 347
      Ⅴ. 동아시아 법철학의 방법 = 348
      Ⅵ. 맺음말 = 351
   □□ 참고문헌 = 353
   제14장 한국사상과 법철학 
      Ⅰ. 법철학적 과제로서의 한국사상 = 355
      Ⅱ. 한국법사상의 모색과정 = 356
        1. 이항녕의 풍토법론(風土法論) = 356
        2. 황산덕의 법도구론(法道具論) = 357
        3. 전봉덕의 한국적 자연법론 = 358
        4. 유기천의 샤머니즘법론(法論) = 358
        5. 함병춘의 유교법문화론(儒敎法文化論) = 359
      Ⅲ. 한국법의 사상적 기초 = 360
        1. 홍익인간(弘益人間)사상 = 360
        2. 재세이화(在世理化)사상 = 360
        3. 선리악화(善利惡禍)사상 = 361
        4. 제화소복(除禍召福)사상 = 361
        5. 하화중생(下和衆生)사상 = 361
        6. 수기치인(修己治人)사상 = 362
        7. 양법미의(良法美意)사상 = 362
        8. 과실상규(過失相規)사상 = 363
        9. 숭덕광업(崇德廣業)사상 = 363
        10. 경(敬)과 (誠)의 사상 = 364
        11. 예주법종(禮主法從)사상 = 364
        12. 인내천(人乃天)사상 = 365
        13. 해원상생(解怨相生)사상 = 365
        14. 경천애인(敬天愛人)사상 = 365
        15. ''본''사상 = 366
        16. 겸손(謙遜)의 법사상 = 366
        17. 배려(配廬)의 법사상 = 366
      Ⅳ. 한국법철학의 방법 = 367
        1. 비교법철학의 가능성 = 367
        2. 법철학의 실천성 = 368
        3. 법개념과 법이론 = 369
      Ⅴ. 한국법철학의 과제 = 370
   □□ 참고문헌 = 371
제2편 각론
   제1장 사물의 본성
      Ⅰ. 사물의 본성에의 관심 = 374
      Ⅱ. 사물의 본성의 개념 = 376
      Ⅲ. 사물의 본성론의 배경 = 379
      Ⅳ. 사물의 본성의 논의 = 383
        1. 사회학적 고찰로서의 사물의 본성론 = 386
        2. 자연법론으로서의 사물의 본성론 = 392
      Ⅴ. 사물의 본성론의 성과 = 397
      Ⅵ. 사물의 본성론의 비판 = 400
      Ⅶ. 사물의 본성론의 과제 = 405
   □□ 참고문헌 = 406
   제2장 법의 발전론
      Ⅰ. 법은 발전하는가? = 407
      Ⅱ. 막스 베버의 견해 = 408
      Ⅲ. 라드브루흐의 견해 = 410
      Ⅳ. 델 베키오의 견해 = 414
      Ⅴ. 갈란터의 견해 = 415
      Ⅵ. 레빈더의 견해 = 418
      Ⅶ. 노네와 젤츠닉의 견해 = 420
      Ⅷ. 법발전론의 과제 = 423
   □□ 참고문헌 = 425
   제3장 법과 인간
      Ⅰ. 법적 인간상 = 426
        1. 이론적 법에서 보는 인간 = 427
        2. 법적 인간상의 특징 = 430
        3. 역사적 법에서 보는 인간 = 436
      Ⅱ. 법과 인간성 = 441
        1. 법학적 인간학 = 442
        2. 법의 인간성 보장 = 443
        3. 인간성 배반으로서의 범죄 = 450
        4. 법과 윤리 = 453
   □□ 참고문헌 = 455
   제4장 법과 자유
      Ⅰ. 법과 자유의 문제 = 456
      Ⅱ. ''자유''관념의 도입 = 458
      Ⅲ. 헌법에서의 자유권 = 461
        1. 신체에 관한 자유 = 462
        2. 사생활에 관한 자유 = 463
        3. 주거의 자유 = 463
        4. 거주ㆍ이전의 자유 = 464
        5. 통신의 자유 = 464
        6. 양심의 자유 = 464
        7. 종교의 자유 = 466
        8. 언론ㆍ출판의 자유 = 466
        9. 집회ㆍ결사의 자유 = 467
        10. 학문ㆍ예술의 자유 = 467
      Ⅳ. 민법에서의 자유 = 469
      Ⅴ. 형법에서의 자유 = 472
      Ⅵ. 자유의 법철학 = 474
   □□참고문헌 = 478
   제5장 법치국가
      Ⅰ. 국가와 법의 관계 = 479
      Ⅱ. 법치국가의 개념 = 480
      Ⅲ. 법치국가의 철학 = 482
      Ⅳ. 라드브루흐의 법치국가론 = 484
      Ⅴ. 평가와 전망 = 488
   □□ 참고문헌 = 492
   제6장 법과 실천이성
      Ⅰ. 실천이성의 복권 = 495
      Ⅱ. 서양법철학에서의 법과 실천이성 = 496
        1. 서양철학에서의 이성 = 496
        2. 칸트 = 497
        3. 헤겔 = 500
        4. 라드브루흐 = 502
        5. 켈젠 = 504
        6. 페를만 = 507
        7. 알렉시 = 509
      Ⅲ. 동양법철학에서의 법과 실천이성 논의 = 511
        1. 지행론(知行論) = 511
        2. 예치주의(禮治主義) = 514
        3. 삼강오륜(三綱五倫) = 516
        4. 정명론(正名論) = 517
        5. 황금률(黃金律)과 혈구지도(혈矩之道) = 519
      Ⅳ. 법철학적 과제 = 524
   □□ 참고문헌 = 526
   제7장 민주주의 
      Ⅰ. 민주주의의 법철학적 기초 = 527
      Ⅱ.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 530
      Ⅲ. 민주적 방법으로서의 데모크라시 = 533
      Ⅳ. 민주주의에의 결단 = 536
      Ⅴ. 궁극적 민주주의에의 확언 = 540
      Ⅵ. 민주주의의 법철학 = 543
   □□ 참고문헌 = 547
   제8장 권리와 의무
      Ⅰ. 권리의 개념 = 548
      Ⅱ. 권리의 법철학 = 549
        1. 오스틴의 권리론 = 550
        2. 예링의 권리론 = 550
        3. 호펠드의 권리론 = 551
        4. 파운드의 권리론 = 552
        5. 드워킨의 권리론 = 553
      Ⅲ. 권리의 실천론 = 556
      Ⅳ. 의무와 책임 = 558
      Ⅴ. 권리와 의무의 조화 = 560
   □□ 참고문헌 = 562
   제9장 의무와 책임 
      Ⅰ. 의무ㆍ책임의 법철학적 전개 = 563
        1. 근세까지 = 563
        2. 칸트 = 564
        3. 홈즈 = 564
        4. 뒤기 = 565
        5. 개신교 사회이론 = 566
        6. 켈젠 = 567
        7. 라드브루흐 = 568
        8. 보덴하이머 = 569
        9. 라즈 = 569
        10. 코뮤니테리언 플랫폼 = 570
      Ⅱ. 의무와 책임의 법철학적 조명 = 571
        1. 법적 의무와 책임 = 572
        2. 덕의 윤리(virtue-ethics) = 573
        3. 세계인간책임선언 = 575
        4. 생명윤리와 책임 = 577
        5. 책임과 정의 = 578
        6. 책임과 아시아 법철학 = 579
      Ⅲ. 결론 = 581
   □□ 참고문헌 = 582
   제10장 법과 이데올로기
      Ⅰ. ''이데올로기''의 문제 = 583
      Ⅱ. 법과 이데올로기 = 584
      Ⅲ. 사회주의의 문제 = 588
      Ⅳ. 자유지상주의의 법철학 = 591
        1. 리버태리어니즘(Libertarianism) = 591
        2. R. 노직의 최소국가론 = 593
        3. 하이에크의 사회적 정의비판 = 596
      Ⅴ.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 = 599
        1. 사회주의 = 599
        2.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 = 602
        3. 페미니즘과 문화상대주의 = 605
   □□ 참고문헌 = 609
   제11장 구조의무
      Ⅰ. 구조의무의 문제 = 610
      Ⅱ. 착한 사마리아인법 = 611
        1. 반대이론 = 614
        2. 찬성이론 = 615
      Ⅲ. 구조의무와 형법 = 617
      Ⅳ. 구조의무의 법철학 = 620
      Ⅴ. 구조의무의 입법화 = 623
   □□ 참고문헌 = 626
   제12장 평화와 비폭력 
      Ⅰ. 폭력의 상황 = 627
      Ⅱ. 폭력의 원인 = 628
      Ⅲ. 관용(寬容)의 정신 = 631
      Ⅳ. 평화운동 = 632
      Ⅴ. 평화와 비폭력 = 635
      Ⅵ. 평화연구 = 637
   □□ 참고문헌 = 639
   제13장 공(公)과 사(私)
      Ⅰ. 공사법의 법이론 = 640
      Ⅱ. 공사법과 법사상 = 643
      Ⅲ. 공사법과 한국법사상 = 645
        1. 한국인의 공사관(公私觀) = 646
        2. 한국의 공사법(公私法) = 649
      Ⅳ. 결론 = 652
   □□ 참고문헌 = 654
   제14장 저항권과 시민불복종
      Ⅰ. 시민불복종의 사상 = 655
        1. 소로우 = 655
        2. 간디 = 656
        3. 롤즈 = 656
        4. 카우프만 = 658
      Ⅱ. 악법의 문제 = 658
      Ⅲ. 저항권의 문제 = 660
        1. 저항권의 초(超)실정법성 = 661
        2. 저항권의 행사요건 = 662
      Ⅳ. 양심의 문제 = 665
      Ⅴ.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 = 666
      Ⅵ. 결론 = 667
   □□ 참고문헌 =668
   제15장 형벌
      Ⅰ. 형벌의 문제 = 669
      Ⅱ. 형벌권의 기초 = 670
      Ⅲ. 형벌과 문화 = 671
      Ⅳ. ''법과 도덕''에서 본 형벌 = 672
      Ⅴ. 사형 = 674
      Ⅵ. 라드브루흐의 형벌관 = 674
      Ⅶ. 형벌과 사면(赦免) = 676
   □□ 참고문헌 = 677
   결장 법철학의 한계와 과제
      Ⅰ. 법철학의 한계 = 678
      Ⅱ. 괴테의 법사상 = 679
      Ⅲ. 성인과 법 = 680
      Ⅳ. 고통의 인간실존 = 681
      Ⅴ. 법이 없는 영역 = 682
      Ⅵ. 변혁적 정의 = 682
      Ⅶ. 욥의 정의 = 684
      Ⅷ. 법철학의 미래과제 = 686
   □□ 참고문헌 = 689
인명색인 = 691
사항색인 = 699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진원 (2022)
Montesquieu, Charles de Secondat, baron de (2023)
신동호 (2023)
최유경 (2022)
이준서 (2022)
조태제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2023)
한미법학회 (2022)
Engstrom, David Freeman (2023)
Dreier, Horst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