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45n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00780833 | |
005 | 20100807115902 | |
007 | ta | |
008 | 011010s2001 ulk 001a kor | |
020 | ▼a 8987826740 ▼g 93800 : ▼c \12000 | |
035 | ▼a KRIC08052053 | |
040 | ▼a 241002 ▼c 241002 ▼d 211009 | |
049 | 1 | ▼l 111223588 ▼f 개가 ▼l 111223589 ▼f 개가 |
082 | 0 4 | ▼a 801.9 ▼2 21 |
090 | ▼a 801.9 ▼b 2001a | |
100 | 1 | ▼a 신응철 ▼0 AUTH(211009)43263 |
245 | 1 0 | ▼a 해석학과 문예비평 / ▼d 신응철 지음. |
260 | ▼a 서울 : ▼b 예림기획 , ▼c 2001. | |
300 | ▼a 321 p. ; ▼c 23 cm. | |
440 | 1 0 | ▼a (예림)문예학 신서 ; ▼v 21 |
500 | ▼a 색인수록 | |
504 | ▼a 참고문헌포함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 2001a | Accession No. 1112235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 2001a | Accession No. 11122358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신응철(지은이)
경성대학교 문과대학 글로컬문화학부 교수다. 숭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카시러 문화철학에서의 인간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숭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경기대학교, 총신대학교, 백석대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전남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숭실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연세대학교 HK연구교수, 대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를 지냈다. 현재 한국해석학회 기획이사, 인문사회21 편집위원이며, 주요 관심 분야는 문화철학, 문화해석학, 사회철학, 기독교문화학, 문화콘텐츠, 인문콘텐츠 분야 등이다. 저서로는 『20대, 이제 철학을 만나다』(2014), 『기독교철학자들의 문화관』(2011), 『문화, 철학으로 읽다』(2009), 『기독교 문화학이란 무엇인가』(2006), 『관상의 문화학?사람은 생긴 대로 사는가』(2006), 『카시러 사회철학과 역사철학』(2004), 『철학으로 보는 문화』(2004), 『문화철학과 문화비평』(2003), 『해석학과 문예비평』(2001), 『카시러의 문화철학』(2000)이 있고, 역서로 『언어와 신화』(2015)가 있다. 이외에 문화철학, 문화해석학, 문화콘텐츠 분야의 40편이 넘는 KCI 논문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5 제1장 해석학과 문예비평 = 25 제2장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의 원리 = 53 제3장 해석학과 이데올로기 비판 = 83 제4장 객관주의와 상대주의 그리고 제3의 길 = 113 제5장 수용미학과 성서 해석학 = 151 제6장 '악'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185 제7장 엘리아데의 신화 비평 = 215 제8장 카시러의 인식 비평 = 249 제9장 텍스트의 올바른 이해와 해석 그리고 비평을 위하여 = 285 용어색인 = 297 인명색인 =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