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해석학과 문예비평

해석학과 문예비평 (2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응철
서명 / 저자사항
해석학과 문예비평 / 신응철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예림기획 ,   2001.  
형태사항
321 p. ; 23 cm.
총서사항
(예림)문예학 신서 ; 21
ISBN
8987826740
일반주기
색인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포함
000 00645namccc200241 k 4500
001 000000780833
005 20100807115902
007 ta
008 011010s2001 ulk 001a kor
020 ▼a 8987826740 ▼g 93800 : ▼c \12000
035 ▼a KRIC08052053
040 ▼a 241002 ▼c 241002 ▼d 211009
049 1 ▼l 111223588 ▼f 개가 ▼l 111223589 ▼f 개가
082 0 4 ▼a 801.9 ▼2 21
090 ▼a 801.9 ▼b 2001a
100 1 ▼a 신응철 ▼0 AUTH(211009)43263
245 1 0 ▼a 해석학과 문예비평 / ▼d 신응철 지음.
260 ▼a 서울 : ▼b 예림기획 , ▼c 2001.
300 ▼a 321 p. ; ▼c 23 cm.
440 1 0 ▼a (예림)문예학 신서 ; ▼v 21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포함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 2001a 등록번호 1112235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 2001a 등록번호 1112235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신응철(지은이)

첩첩산중 유달리 별밤이 아름다운 안동 예안(삼계)에서 태어나 기독교 학교인 경안고등학교에 다녔다. 고교 시절부터 안동교회에 다니면 서 신앙을 가졌다. 목사가 되기 위해 숭실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했고, 1980년대 후반 뜨거운 민주화운동의 열기 한가운데서 대학생과 노동자의 분신을 목격했다. 그 뒤 사회 정의와 개인의 신앙, 사람살이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기 시작했다. 관심은 늘 사회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할 것인가에 모아졌다. 이질적인 문화는 서로를 어떻게 이해하고 소통하는가? 문화비평의 공통된 잣대는 있는가? 전통문화와 기독교문화는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가? 철학에서 답을 찾고자 숭실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한 뒤 하이데거, 가다머, 리쾨르의 해석학과 카시러의 문화철학을 연구했다. 국내에서 문화철학 연구가 전무했던 덕분에 〈카시러 문화철학에서의 인간 연구〉(2000)라는 논문으로 국내 최초로 문화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해석학회 총무이사/편집이사, 한국기독교철학회 총무이사/편집이사, 인문콘텐츠학회 총무이사, 한국문화융합학회 기획이사로 활동하며 문화철학과 문화해석학 전반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기독교 문화학과 문화비평에도 관심을 기울여왔다. 2007년에 출간한 《기독교 문화학이란 무엇인가》는 문화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동안 《캇시러의 문화철학》, 《해석학과 문예비평》, 《문화철학과 문화비평》, 《카시러 사회철학과 역사철학》, 《철학으로 보는 문화》, 《기독교 철학자들의 문화관》, 《기독교 문화학이란 무엇인가》, 《문화, 철학으로 읽다》, 《20대 이제 철학을 만나다》, 《에른스트 카시러》, 《대학생이 알아야할 인성·교양·윤리의 문제들》과 번역서 《언어와 신화》(카시러)를 출간했다. 전남대학교·숭실대학교·연세대학교 학술연구교수를 거쳐 대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경성대학교 글로컬문화학부 교수, 동아대학교 철학생명의료윤리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지금은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카시러의 문화정치학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제1장 해석학과 문예비평 = 25
 제2장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의 원리 = 53
 제3장 해석학과 이데올로기 비판 = 83
 제4장 객관주의와 상대주의 그리고 제3의 길 = 113
 제5장 수용미학과 성서 해석학 = 151
 제6장 '악'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 185
 제7장 엘리아데의 신화 비평 = 215
 제8장 카시러의 인식 비평 = 249
 제9장 텍스트의 올바른 이해와 해석 그리고 비평을 위하여 = 285
용어색인 = 297
인명색인 = 3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