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00778810 | |
005 | 20221216153651 | |
007 | ta | |
008 | 020823s2002 ulk 000a kor | |
020 | ▼a 8970133461 ▼g 04700 : ▼c \5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49 | 1 | ▼l 111220640 ▼f 개가 ▼l 111220641 ▼f 개가 |
082 | 0 4 | ▼a 401 ▼2 21 |
090 | ▼a 401 ▼b 2002 | |
100 | 1 | ▼a Rousseau, Jean-Jacques, ▼d 1712-1778 ▼0 AUTH(211009)103715 |
245 | 1 0 | ▼a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 ▼d 장 자크 루소 지음 ; ▼e 주경복, ▼e 고봉만 옮김. |
246 | 1 9 | ▼a Essai sur l'origine des langues |
260 | ▼a 서울 : ▼b 책세상, ▼c 2002. | |
300 | ▼a 241p. ; ▼c 21 cm. | |
490 | 0 0 | ▼a 책세상문고 , 고전의 세계 ; ▼v 017 |
504 | ▼a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수록 | |
650 | 0 | ▼a Language and languages ▼x Origin. |
700 | 1 | ▼a 주경복, ▼g 朱璟福, ▼d 1950-, ▼e 역 ▼0 AUTH(211009)126592 |
700 | 1 | ▼a 고봉만, ▼d 1963-, ▼e 역 ▼0 AUTH(211009)62353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2 | 등록번호 1112206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2 | 등록번호 1112206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401 2002 | 등록번호 1310241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2 | 등록번호 11122064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1 2002 | 등록번호 1112206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401 2002 | 등록번호 1310241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의 기원에 대한 논의는 중세와 근대 초기의 유럽에서 특히 활발했다. 단순히 언어가 어떻게 생겨났는지를 따지는 것에 그치지 않고, 거기서 도출되는 결론은 언어에 관련된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계몽주의자 루소 또한 당대의 뜨거운 화제를 비켜가지 않았는데, 그는 언어를 사회 제도 중 하나로 봄으로써 그 기원을 탐색하기 시작했다.
이 책은 원본의 최초 완역으로, 언어는 이성의 표현이 아닌 감성의 표현에서 출발했다고 주장하는 루소의 과감한 시각을 그대로 담았다. 그는 언어를 '신이 주신 것'이 아닌 인간 스스로가 만들어 낸 것이라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인간의 역사를 타락과 퇴보의 시각에서 바라봄으로써 인색의 대전환을 꾀해 당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루소는 책을 통해 언어는 인간의 감각적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몸짓과 목소리를 보편적으로 사용해왔다고 말한다. 또한 말과 노래는 같은 기원에서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면서, 퇴화된 현대의 언어와 음악은 원래의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루소의 낭만적 혁명성을 드러내고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장 자크 루소(지은이)
18세기 프랑스의 정치사상가이자 철학자, 소설가, 교육이론가, 음악가, 극작가이다. 태어난 지 9일 만에 어머니를 잃고 열 살에 아버지와 헤어진 그는 열여섯 살 때부터 고향인 제네바를 떠나 유럽을 떠도는 생활을 했다. 그 방랑의 길에서 만난 바랑 부인은 연인이자 후원자로서 루소의 지적 성장을 도왔고, 이후 그의 사상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정식 교육을 거의 받지 못한 루소는 파리에 정착해 《백과전서》 집필에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저술 활동을 시작한다. 1750년 계몽주의의 한계를 넘어서는 《학문예술론》으로 명성을 얻은 후 문명과 사회 및 사유재산 제도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담은 《인간 불평등 기원론》, 근대 교육론의 기원으로 평가받는 《에밀》, ‘인민 주권’을 창안해 프랑스 혁명의 사상적 지주가 되는 《사회계약론》 등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인간과 세계의 모형을 제시한다. 1761년에는 낭만적인 연애소설 《신엘로이즈》를 출간해 큰 성공을 거두며 독자들과 교감한다. 인간 존재의 근원적 선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자연으로의 회귀를 설파한 루소는 이성과 지성을 중시한 계몽 철학자들과 대립하게 됨으로써 혹독한 비난과 핍박을 받는다. 또 절대왕정과 기독교를 위협하는 급진적 사상으로 인해 저작들이 판매 금지되고 프랑스에서 추방당했으며, 사생활과 관련해서는 자식들을 고아원에 맡긴 것에 대한 비난이 그를 따라다녔다. 망명 생활이 이어지며 불안과 박해 망상에 시달리던 루소는 말년에 식물의 세계에서 안식을 찾고 《고백》, 《루소, 장 자크를 심판하다?대화》,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 등 자신을 성찰하는 집필 활동을 계속하다 1778년 생을 마감했다.
주경복(옮긴이)
1969년 원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77년 한국외국어대학교 프랑스어과를 졸업한 뒤에, 1978-1979년 대한항공에 근무하다가 1979년 10월 프랑스 파리 5대학교 언어과학 전공 3년차 과정 (Licence)에 편입하였다. 파리 5대학에서 학부과정을 다시 미치고 학사 학위를 받은 뒤에 이어서 석사 과정을 마치고 학위를 받았다. 이어서 박사 과정(DEA)을 거친 뒤에 1986년 11월 파리제5대학교대학원에서 언어과학 박사 학위 논문 심사에 통과함으로써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그 뒤 귀국하여 1987년 봄부터 대학에서 강의를 맡아왔다. 건국대, 중앙대, 한국외대, 성신여대, 홍익대, 서울대, 이화여대 등에서 언어철학, 커뮤니케이션, 인문사상, 사회비평, 문화이론, 프랑스어 등을 강의하였다. 프랑스 학회 회장, 한국문화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교육정책이론연구회 회장, 한국불어불문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다. 전국교수회 회장, 교육개혁시민운동연대 운영위원장 및 대표, 전국사립대학교수협의회 회장,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의장 등을 역임했고, 2007년부터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 학교법인 지산학원 이사, 미래교육정책연구소 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 위키디피아) 2010년 현재 건국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레비스트로스>, <프랑스 말글 짓기>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언어의 기원에 관한 시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등이 있다.
고봉만(옮긴이)
프랑스 마르크 블로크 대학(스트라스부르 2대학)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북대학교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루소와 레비-스트로스 등 프랑스 사상가들의 저서와 개성 있는 프랑스 소설을 번역·소개하는 작업을 계속해오고 있다. 옮긴 책으로 『크루아상 사러 가는 아침』 『마르탱 게르의 귀향』 『방드르디, 야생의 삶』 『인간 불평등 기원론』 『덧없는 행복』 『크리스마스의 악몽』 『악마 같은 여인들』 등 다수가 있다.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 7 제1장 우리의 사고를 전달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하여 = 15 제2장 말의 첫 발명은 욕구가 아닌 정념에서 왔다 = 25 제3장 처음의 언어는 형상적이었다 = 29 제4장 최초의 언어가 나타낸 특성과 변화 = 33 제5장 글쓰기에 대하여 = 39 제6장 호메로스는 과연 글씨를 쓸 줄 알았던 것일까 = 49 제7장 근대 음조론 = 53 제8장 언어 기원의 보편적인 차이와 지역적인 차이 = 61 제9장 남방 언어의 형성 = 65 제10장 북방 언어의 형성 = 85 제11장 이런 차이들에 대한 고찰 = 91 제12장 음악의 기원 = 95 제13장 선율에 관하여 = 101 제14장 화음에 관하여 = 107 제15장 우리의 아주 예민한 감각은 어떻게 정신적 영향에 의해 작용하는가 = 113 제16장 색과 음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오해 = 119 제17장 자신의 예술에 해로운 음악가의 오류 = 127 제18장 어떻게 그리스 음악 체계와 우리의 음악 체계는 전혀 관련성이 없는가 = 131 제19장 음악은 어떻게 퇴화했는가 = 137 제20장 언어와 통치 형태와의 관계 = 145 해제 - 자연으로 돌아가라! = 150 1. 시대가 흐를수록 새롭게 다가오는 루소 = 150 2. 루소의 삶 = 153 3. 언어의 기원에 관한 여러 주장들 = 166 (1) 신수설 = 171 (2) 의성설 = 176 (3) 유추설 = 177 (4) 감정 표출설 = 178 (5) 가창설 = 179 (6) 몸짓설 = 180 (7) 노동설 = 181 (8) 의지설 = 182 (9) 진화설 = 182 4.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에서 루소가 주장하는 것 = 187 5. 인식론적 단절을 이룬 루소의 사상 = 200 6. 당대의 학자들을 당혹스럽게 한 루소 = 207 7. 시대를 앞서간 포스트모더니스트 = 210 주 = 213 더 읽어야 할 자료들 = 235 옮긴이에 대하여 =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