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41camccc200397 k 4500 | |
001 | 000000778614 | |
005 | 20100807113741 | |
007 | ta | |
008 | 020409s2002 ulka b 001a kor | |
020 | ▼a 8986598280 ▼g 93840 : ▼c \13000 | |
035 | ▼a KRIC08156317 | |
040 | ▼a 211062 ▼c 211062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17969 ▼f 개가 ▼l 111217970 ▼f 개가 |
082 | 0 4 | ▼a 801/.95/092 ▼2 21 |
090 | ▼a 801.95092 ▼b 2002 | |
100 | 1 | ▼a Homer, Sean |
245 | 1 0 | ▼a 프레드릭 제임슨 : ▼b 맑스주의,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 ▼d 숀 호머 지음 ; ▼e 이택광 옮김. |
246 | 1 9 | ▼a Fredric Jameson : Marxism, hermeneutics, postmodernism |
260 | ▼a 서울 : ▼b 문화과학사 , ▼c 2002. | |
300 | ▼a 320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문화과학 이론신서 ; ▼v 28 |
500 | ▼a 부록 : 이 책을 읽기 위해 이해하고 있어야 할 개념들 | |
500 | ▼a 찾아보기: p. 313-320 | |
500 | ▼a 원저자명: Homer, Sean | |
504 | ▼a 참고문헌: p. 305-312 | |
504 | ▼a 서지적 각주 수록 | |
600 | 1 0 | ▼a Jameson, Fredric. |
650 | 0 | ▼a Jameson, Fredric. |
650 | 0 | ▼a Marxist criticism. |
650 | 0 | ▼a Hermeneutics. |
650 | 0 | ▼a Postmodernism (Literature) |
700 | 1 | ▼a 이택광, ▼e 역 ▼0 AUTH(211009)52844 |
900 | 1 1 | ▼a 호머, 숀 |
900 | 1 1 | ▼a 제임슨, 프레드릭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2 | Accession No. 11121796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01.95092 2002 | Accession No. 1112179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숀 호머(지은이)
영국 셰필드 대학 정신치료연구센터를 거쳐 현재 그리스 시티 칼리지 미디어학부 학과장이다.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사회이론의 소통가능성을 지속적으로 모색해 왔으며 <문제는 정치경제학이란 말입니다! 지젝의 마르크스주의에 관하여>(2001)에서는 정신분석의 실천적 가능성을 봉쇄하는 지젝의 이론적 모순을 비판했다. 지은 책으로는 <프레드릭 제임슨: 비판적 읽기>등이 있다.
이택광(옮긴이)
문화비평가, 경희대학교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영미문화전공 교수. 영국 워릭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셰필드대학교 대학원 영문학과에서 문화비평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술, 영화, 대중문화에 대해 글을 쓰며 여러 매체에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철학자의 아틀리에』 『버지니아 울프 북클럽』 『무례한 복음』 『인문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 『인상파, 파리를 그리다』 『이것이 문화비평이다』 『99% 정치』 『한국 문화의 음란한 판타지』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저자의 말 = 7 한국어판 서문 = 9 역자서문 : 프레드릭 제임슨과 문화비평 = 13 서론 = 23 사르트르 : 상황에서 역사로 = 32 1. 형식의 변증법 = 40 형식의 논리 = 41 내용의 논리 = 60 메타비평 = 65 2. 역사 : 정치적 무의식 = 72 맑스주의와 역사주의 = 77 정치적 무의식으로서의 역사 = 82 서사로서의 역사 = 101 누구의 서사로서 드러나는 역사인가? = 111 3. 욕망의 정치학 = 123 쾌락의 이데올로기 = 124 욕망의 이데올로기 = 128 욕망의 생산 = 133 리비도 장치의 이형들 = 149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의 변증법 = 159 4.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자본주의 = 165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논리 = 170 후기 자본주의의 시대 구분 = 177 비디오 예술과 포스트모던적 텍스트성 = 185 리얼리즘 - 모더니즘 - 포스트모더니즘 = 195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변증법 = 204 5. 후기 자본주의의 공간논리 = 208 사회이론에서 공간의 재확인 = 209 포스트모더니즘의 현상학 = 212 공간의 사회적 생산 = 226 공간의 기호학 = 230 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의 공간 - 시간적 변증법 = 236 6. 맑스주의, 총체성 그리고 차이의 정치학 = 244 총체성에 대한 포스트모던 비판 = 245 맑스주의와 총체성 = 248 매개와 물화 = 264 제'3세계' : 동일성과 차이 = 271 결론 = 276 맑스주의와/아니면 포스트모더니즘? = 278 매개와 문화정치학 = 290 부록 = 300 참고문헌 = 305 찾아보기 =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