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제4판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제4판 (172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McQuail, Denis 양승찬, 역 강미은, 역 도준호, 역
서명 / 저자사항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 데니스 맥퀘일 저 ; 양승찬, 강미은, 도준호 공역
판사항
제4판
발행사항
서울 :   나남,   2002  
형태사항
646 p. : 삽도 ; 25 cm
총서사항
나남신서 ;887
원표제
Mass Communication theory (4d ed.,c2000)
ISBN
8930038875
서지주기
참고문헌(p. 595-638)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ass media
000 00965camcc2200325 c 4500
001 000000778575
005 20100826135134
007 ta
008 020510s2002 ulka 001c kor
020 ▼a 8930038875 ▼g 94300 : ▼c \25,000
035 ▼a KRIC08182190
040 ▼a 211029 ▼d 211009 ▼d 244002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218220 ▼f 개가 ▼l 111218221 ▼f 개가
082 0 4 ▼a 302.23 ▼2 22
090 ▼a 302.23 ▼b 2002c
100 1 ▼a McQuail, Denis
245 1 0 ▼a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 ▼d 데니스 맥퀘일 저 ; ▼e 양승찬, ▼e 강미은, ▼e 도준호 공역
246 1 9 ▼a Mass Communication theory ▼g (4d ed.,c2000)
250 ▼a 제4판
260 ▼a 서울 : ▼b 나남, ▼c 2002
300 ▼a 646 p. : ▼b 삽도 ; ▼c 25 cm
440 0 0 ▼a 나남신서 ; ▼v 887
504 ▼a 참고문헌(p. 595-638)과 색인수록
650 0 ▼a Mass media
700 1 ▼a 양승찬, ▼e▼0 AUTH(211009)7324
700 1 ▼a 강미은, ▼e▼0 AUTH(211009)22878
700 1 ▼a 도준호, ▼e▼0 AUTH(211009)89057
900 1 0 ▼a 맥퀘일, 데니스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112182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113798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11521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511438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511438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112182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1137980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115219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5114383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02.23 2002c 등록번호 15114383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네 번째 개정판을 낸 맥퀘일의《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은 이제 언론학 분야의 고전이 된 것 같다. 특히 영어권 대학에서 교재로 채택되어 온 범위를 본다면 이 한 권의 책이 매스커뮤니케이션 분야의 교육에 미친 영향력은 정말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역자들도 모두 유학 시절 이 책의 이전 판으로 공부하면서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접했기 때문에 네 번째 개정판이 나온 후 반가운 마음으로 함께 번역하기로 뜻을 모을 수 있었다.

역자들은 이번 번역 작업을 통해 언론학 영역의 주요한 이론을 다시 정리해 보면서 급변하는 미디어 기술환경에 따른 이론적 변화와 학문적 영역의 다양성을 실감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이 책은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 전반을 조망하는 학문적 접근을 이해하는 데 기초적 도움을 주는 이론서이다.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요소인 미디어, 메시지, 수용자에 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기존 미디어, 뉴 미디어와 관련한 풍부한 사례를 제공해준다.

또한 이 책에서는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사회와 문화와 연관해서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시한다. 저자도 밝혔지만 이 책 전반은 전통적인 사회과학 이론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역자들이 다른 이론서와 비교하여 이 책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이 책이 사회과학 이론뿐만 아니라 인문학 전통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 많은 거시 이론을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맥퀘일은 전통적인 경험 연구와 비판적 연구를 적절히 비교하면서 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넓혀줄 수 있다고 본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이론과 사례는 매우 미국적이고 서구적인 것이다.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다루는 학문이 서구에서 발전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이 책을 수업 교재로 쓸 경우 개념과 이론의 전제와 가정, 사례 등을 우리 사회와 연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저자가 너무나 폭넓은 커뮤니케이션 영역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특정한 이론적 논의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매스커뮤니케이션 현상을 다루는 다양한 이론적 접근의 지도를 그리는 데는 이 책이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역자서문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니스 맥퀘일(지은이)

암스테르담 대학교 언론하고 명예교수이다. 그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교수 및 연구활동을 하면서 복잡한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광범위하고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연구자로 정평이 나 있다. Media Performance(1992), Audience Analysis(1997) 이외에도 매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많은 연구논문을 썼다.

도준호(옮긴이)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간 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초빙 교수로 지냈으며, 정보통신정책 연구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언론정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대중매체의 이해와 활용>(공저), 역서로 <매스커뮤니케이션이론>(공역)이 있다.

양승찬(옮긴이)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 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재단에 재직했으며, 한국언론학회 총무이사, 연구이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회 회장, 감사, 연구기획위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lt;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저널리즘&gt;(공저), &lt;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gt;(공저), 미디어와 유권자(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lt;미디어 효과이론&gt;(공역), &lt;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gt;(공역), &lt;미디어 정치 효과: 비개인적 영향력&gt;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 미디어와 여론 현상 분석,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환경에서의 저널리즘 진단, 미디어 수용자 조사 분석이다.

강은미(옮긴이)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5
저자 서문 = 7
제1부 이론
 제1장 초기 접근들 = 21
  1. 매스미디어의 중요성 = 21
  2. 미디어와 사회의 관계 = 22
  3. 접근방식의 근본적인 차이 = 24
  4. 다른 유형의 이론 = 25
  5. 커뮤니케이션 과학과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 = 27
  6. 대안적 분석 전통 : 구조적, 행동주의적, 문화적 분석 = 30
  7.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정의 = 32
  8. 매스미디어 제도 = 33
 제2장 매스미디어의 기원 = 35
  1. 초기에서 매스미디어까지 = 35
  2. 인쇄 매체 : 책과 도서관 = 37
  3. 인쇄 매체 : 신문 = 39
  4. 대중 매체로서의 영화 = 42
  5. 방송 = 45
  6. 음악 미디어 = 46
  7. 새로운 전자 미디어 = 48
  8. 미디어 사이의 차이점 = 50
  9. 공익을 위한 미디어 변화의 의미 = 55
 제3장 개념과 모델들 = 57
  1. 미디어와 사회에 관한 초기 시각들 = 57
  2. 대중(mass)이라는 개념 = 60
  3. 매스커뮤니케이션의 과정 = 61
  4. 대중으로서의 수용자 = 62
  5. 대중 문화와 대중적인 문화 = 64
  6. 이론과 연구를 위한 주도적인 패러다임의 발전 = 67
  7. 대안적인 패러다임 = 71
  8. 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 모델 = 75
  9. 미디어와 사회에 관한 새로운 이론적 시각들 = 82
 제4장 미디어 이론과 사회 이론 = 83
  1. 미디어, 사회, 그리고 문화 : 연계성과 갈등 = 83
  2. 사회 전반에 걸친 과정으로서 매스커뮤니케이션 : 사회 관계의 매개 = 86
  3. 미디어를 사회와 연결하는 기준점 = 89
  4. 미디어 이론을 위한 주요 사안들 : (1) 권력과 불평등 = 91
  5. 미디어 이론을 위한 주요 사안들 : (2) 사회통합과 정체성 = 93
  6. 미디어 이론을 위한 주요 사안들 : (3) 사회 변화 = 97
  7. 미디어-사회 이론 1 : 대중사회 이론 = 98
  8. 미디어-사회 이론 2 : 맑스주의 관점 = 100
  9. 미디어-사회 이론 3 : 기능주의 = 103
  10. 미디어-사회 이론 4 : 비판적 정치경제학 = 107
  11. 미디어-사회 이론 5 : 현대화와 발전 = 109
  12. 미디어-사회 이론 6 : 커뮤니케이션 기술결정론 = 111
  13. 미디어-사회 이론 7 : 정보사회 = 113
  14. 갈등 대 조화, 그리고 미디어중심 대 사회중심 접근 방법 = 115
 제5장 매스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117
  1. 배경 : 문화적 접근 = 117
  2.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118
  3.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비판 이론 = 121
  4. 헤게모니 = 123
  5. 후기 비판 문화 이론 : 버밍햄 학파 = 124
  6. 성별과 매스미디어 = 125
  7. 대중적인 것에 대한 재평가 = 129
  8. 상업화 = 132
  9.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와 문화 = 134
  10. 미디어 논리와 커뮤니케이션의 편견 = 136
  11. 문화 계발과 정체성의 매개 = 137
  12. 문화의 글로벌화 = 139
  13. 매스미디어와 포스트모던 문화 = 141
 제6장 뉴미디어 - 새로운 이론? = 145
  1. 뉴미디어와 매스미디어 = 145
  2. 정보사회의 도래 = 148
  3. 뉴미디어 이론의 주요 사안들 = 152
  4. 뉴미디어 이론을 위한 가능한 기반 = 154
  5. 정보 흐름의 새로운 경향 = 157
  6. 컴퓨터를 매개로 한 공동체 형성 = 161
  7. 정치 참여, 뉴미디어, 그리고 민주주의 = 163
  8. 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국제적 편견 = 165
  9. 자유의 테크놀로지? = 166
  10. 새로운 평형 장치? = 168
  11. 소결 = 169
 제7장 미디어와 사회에 관한 규범적 이론 = 171
  1. 미디어와 공익 = 171
  2. 미디어의 사회 이론을 위한 주요 사안들 = 174
  3. 이론의 초기 접근 : 제4부로서의 언론 = 176
  4. 언론 자유에 관한 1947위원회와 사회책임 이론 = 178
  5. 전문가주의와 미디어 윤리 = 180
  6. 《언론의 4이론》과 그 이후 = 183
  7. 공공 서비스 방송의 대안 = 186
  8. 매스미디어, 시민 사회, 그리고 공적 영역 = 187
  9. 현대의 공적 영역에 대한 불만, 그리고 반응들 = 190
  10. 규범적 미디어 이론 : 앞으로의 방향 = 191
제2부 구조
 제8장 미디어 구조와 수행 : 원칙과 책임성 = 195
  1. 평가의 틀 = 195
  2. 미디어 자유 = 196
  3. 미디어 평등 = 199
  4. 미디어 다양성 = 200
  5. 정보의 질 = 203
  6. 사회질서와 결속 = 208
  7. 문화적 질서 = 210
  8. 규범적 미디어 이론의 적용 범위 = 212
  9. 변화하는 규범적 환경 = 213
  10. 책임성의 의미 = 214
  11. 두 개의 대안적인 책임 모델 = 216
  12. 책임성의 내용과 관계 = 217
  13. 책임성의 틀 = 219
  14. 소결 = 223
 제9장 미디어 구조와 기관 = 225
  1. 일반적 기업활동과 차별되는 미디어 산업 = 225
  2. 미디어 구조의 기초와 분석의 수준 = 228
  3. 미디어 구조의 경제적 원칙들 = 230
  4. 소유권과 통제 = 236
  5. 경쟁과 집중 = 238
  6. 미디어 경제학의 특성 = 243
  7. 미디어 구조의 역학 = 244
  8. 매스미디어 규제 : 대안 모델 = 246
  9. 미디어 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 249
  10. 국가간 다양성 : 미디어 시스템의 사회적·문화적 구체성 = 251
  11. 미디어 체계와 정치 체계 = 252
  12. 공산주의 붕괴 이후 미디어 구조의 변화 = 254
 제10장 글로벌 매스커뮤니케이션 = 259
  1. 기원 = 259
  2. 새로운 동인 : 기술과 자본 = 261
  3. 다국적 미디어 소유권과 통제 = 262
  4. 글로벌 매스미디어의 다양성 = 264
  5. 문화적 제국주의를 넘어서 = 266
  6. 미디어 초국가화 과정 = 270
  7. 국제적인 미디어 의존도 = 273
  8. 뉴스의 국제적인 흐름 = 276
  9. 미디어 문화의 글로벌 교역 = 280
  10. 국가적·문화적 정체성의 개념 = 285
  11. 소결 = 289
제3부 조직
 제11장 미디어 조직 = 293
  1. 연구 전통의 태동 = 293
  2. 틀과 관점 = 294
  3. 컨텐츠에 대한 조직적인 영향력 : 주요 논쟁점 = 295
  4. 분석 수준 = 297
  5. 사회적인 힘의 영역에서의 미디어 조직 = 300
  6. 사회와의 관계 = 302
  7. 저널리스트의 역할 : 관여 혹은 중립? = 304
  8. 압력과 이익집단 = 311
  9. 소유주와 고객과의 관계 = 312
  10. 수용자와의 관계 = 317
  11. 내부구조와 역학의 측면 = 321
  12. 매스커뮤니케이터의 개인적 특성의 영향 = 322
  13. 뉴스 조직에서의 여성 = 326
  14. 잠재적인 갈등 = 329
  15. 미디어 직업 역할의 딜레마 = 332
 제12장 미디어 문화의 생산 = 335
  1. 맥락에서 생산으로 = 335
  2. 미디어 조직 행동 : 게이트키핑과 선택 = 336
  3. 이데올로기적 영향 대 조직적 영향 = 337
  4. 뉴스선택 요인들 = 338
  5. 접근을 위한 노력 = 346
  6. 뉴스에 대한 정보원의 영향 = 350
  7. 미디어 조직행동 : 처리과정과 표현 = 355
  8. 미디어 문화의 논리 = 361
  9. 의사결정의 대안적 모델 = 362
  10. 주목 획득의 필요 = 364
제4부 컨텐츠
 제13장 미디어 컨텐츠 : 분석의 이슈, 개념, 방법 = 367
  1. 왜 미디어 컨텐츠를 연구해야 하는가? = 367
  2. 컨텐츠에 대한 비판적 시각 = 371
  3. 구조주의와 기호학 = 376
  4. 정보로서의 미디어 컨텐츠 = 380
  5. 미디어 수행과 관련한 담화 = 385
  6. 조사 방법에 대한 의문 = 392
  7. 전통적인 내용분석 = 394
  8.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비교 = 396
  9. 소결 = 398
 제14장 미디어 장르와 텍스트 = 399
  1. 장르와 관련된 문제 = 399
  2. 미디어 형식과 논리 = 404
  3. 뉴스 장르 = 407
  4. 뉴스 가치와 뉴스 구조 = 412
  5. 이야기체로서의 뉴스 = 418
  6. 뉴스 보도 과정의 대안 형태 = 421
  7. 문화적 텍스트와 의미 = 422
제5부 수용자
 제15장 수용자 이론과 연구방식 = 433
  1. 수용자의 개념 = 433
  2. 수용자의 기원 = 434
  3. 대중이라는 개념에서 시장 개념으로의 변화 = 435
  4. 비판적 관점 = 438
  5. 수용자 연구의 목표 = 440
  6. 대안적인 연구 전통 = 441
  7. 제기되는 이슈 = 444
  8. 수용자의 유형 = 447
  9. 집단 또는 공중 개념으로서 수용자 = 448
  10. 충족 욕구가 유사한 집합체로서 분류되는 수용자 = 450
  11. 미디어 유형에 따른 수용자 = 451
  12. 채널과 컨텐츠에 의해 정의된 수용자 = 453
  13. 수용자-송신자 관계의 대안 모델 = 455
  14. 수용자 도달에의 문제점 = 456
  15. 수용자 도달과 영향력에 대한 영향의 일반적인 시각 = 458
  16. 능동성과 선택성 = 460
 제16장 수용자 형성과 경험 = 465
  1. 왜 미디어를 이용하는가의 문제 = 465
  2. 수용자 형성의 구조적 접근 = 466
  3. 이용과 충족 접근법 = 469
  4. 수용자 선택과 관련한 통합적 모델 = 474
  5. 미디어 이용과 일상적 삶 = 478
  6. 미디어 이용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 479
  7. 하위문화와 수용자 = 481
  8. 라이프 스타일 = 482
  9. 성별화된 수용자 = 483
  10. 사교성과 미디어 이용 = 485
  11. 미디어 이용의 규범적인 틀 = 488
  12. 컨텐츠에 대한 수용자의 규범 = 490
  13. 수용자들의 관점 = 491
  14. 미디어와 팬 현상 = 493
  15. 수용자 개념의 종언? = 494
  16. 수용자의 도피 = 496
  17. 수용자의 미래 = 498
  18. 다시 수용자 개념으로 = 498
제6부 효과
 제17장 미디어 효과 연구의 전통 = 503
  1. 미디어 효과의 전제 = 503
  2. 미디어 효과 연구와 이론의 역사 : 4단계 = 505
  3. 미디어 효과의 차원과 종류 = 513
  4. 미디어 효과의 과정 : 유형학 = 516
 제18장 단기적 효과의 과정 = 521
  1. 개인적 반응과 반작용 = 521
  2. 미디어와 폭력 = 527
  3. 행동 효과 모델 = 530
  4. 집단적 반작용 효과 = 532
  5. 캠페인 = 536
  6. 선전 = 543
  7. 소결 = 545
 제19장 장기적 효과, 간접적 효과 = 547
  1. 발전의 맥락에서 전파 = 547
  2. 지식의 분배 = 548
  3. 뉴스의 전파와 뉴스로부터의 학습 = 549
  4. 틀짓기 효과 = 552
  5. 의제설정 = 554
  6. 지식 격차 = 557
  7. 의도하지 않은 장기 변화 : 잠정적 모델 = 559
  8. 사회화 = 561
  9. 현실의 정의와 구성 = 562
  10. 침묵의 나선 : 여론 분위기 형성 = 562
  11. 현실 구성과 의식하지 못하는 편견 = 565
  12. 문화계발 효과 = 566
  13. 사회적인 통제와 인식의 형성 = 569
  14. 다른 사회 기관에 미치는 효과 = 574
  15. 사건의 결과 = 576
  16. 미디어와 문화적인 변화 = 577
  17. 소결 = 578
에필로그
 제20장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이슈 = 581
  1. 지속되는 매스커뮤니케이션 = 581
  2. 이론의 양상 = 582
  3. 새 이론은 필요한가? = 584
  4. 매스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논리 = 587
  5. 불완전한 의미 생산자로서 매스미디어 = 589
  6. 권력, 영향력과 효과 = 592
  7. 문화의 문제 = 595
참고문헌 = 597
찾아보기 = 641


관련분야 신착자료

有山輝雄 (2023)
Gladwell, Malcolm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