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21세기)행정학

(21세기)행정학 (Loan 3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안경렬 이형호 임재강 정우열 허원구
Title Statement
(21세기)행정학 / 안경렬...[등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삼우사 ,   2002.  
Physical Medium
521 p. : 삽도 ; 25 cm.
ISBN
8986254948
General Note
공저자 : 이형호, 임재강, 정우열, 허원구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509-512)과 색인수록
비통제주제어
행정학,,
000 00811camccc200301 k 4500
001 000000778389
005 20100807113555
007 ta
008 020412s2002 ulka 001d kor
020 ▼a 8986254948 ▼g 93350 : ▼c \20000
035 ▼a KRIC00778388
040 ▼a 248009 ▼c 248009 ▼d 211009
049 1 ▼l 111218613 ▼f 개가 ▼l 111218614 ▼f 개가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2002
245 2 0 ▼a (21세기)행정학 / ▼d 안경렬...[등저].
260 ▼a 서울 : ▼b 삼우사 , ▼c 2002.
300 ▼a 521 p. : ▼b 삽도 ; ▼c 25 cm.
500 ▼a 공저자 : 이형호, 임재강, 정우열, 허원구
504 ▼a 참고문헌(p. 509-512)과 색인수록
653 ▼a 행정학
700 1 ▼a 안경렬 ▼0 AUTH(211009)121542
700 1 ▼a 이형호
700 1 ▼a 임재강
700 1 ▼a 정우열
700 1 ▼a 허원구
940 ▼a 이십일세기 행정학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2 Accession No. 11121861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2 Accession No. 11121861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안경렬(지은이)

2008년 현재 대구미래대학 경찰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치안행정학회 고문자치치안행정연구소장이자 경비지도사 출제.검증위원으로 일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Ⅰ편 행정학 기초이론
 제1장 행정의 본질
  제1절 행정의 의의 = 23
   1.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 24
   2. 행정학적 행정개념 = 24
  제2절 행정의 위상 : 행정과 정치, 경영의 관계 = 26
   1. 정치와 행정 = 26
   2. 행정과 경영 = 28
  제3절 행정변수 = 31
   1. 인간 = 31
   2. 구조(관리) = 31
   3. 환경 = 32
   4. 발전인·가치관·적극인 = 32
  제4절 행정과정 = 32
   1. 전통적 행정과정 = 33
   2. 현대적 행정과정 = 34
  제5절 행정이념 = 36
   1. 행정이념의 내용 = 36
   2. 행정이념간의 갈등 = 39
   3. 행정이념간의 우선순위 = 40
  제6절 행정활동의 유형 = 40
   1. 행정활동의 유형분류 = 40
   2. 규제행정 = 41
   3. 급부행정 = 43
   4. 민원행정 = 44
   5. 정부중재와 행정지도 = 46
 제2장 행정학의 발달과 접근방법
  제1절 관방학과 슈타인 행정학 = 49
   1. 관방학의 내용 = 50
   2. 관방학의 비판 = 50
   3. 슈타인 행정학 = 51
  제2절 현대행정학의 발달 = 52
   1. 행정학의 태동기 = 53
   2. 행정학의 설립·발전기 : 정치행정이원론 = 54
   3. 정치행정일원론 = 54
   4. 행정행태론 = 55
  제3절 비교행정론 = 55
   1. 비교행정의 의의와 발달배경 = 55
   2. 비교행정의 접근방법 = 57
   3. 비교행정론의 평가 = 58
  제4절 발전행정론 = 58
   1. 발전행정론의 의의 = 58
   2. 발전행정의 접근방법 = 60
   3. 발전행정론의 평가 = 61
  제5절 신행정론 = 61
   1. 이론적 특징 = 62
   2. 문제점과 평가 = 63
  제6절 행정학의 접근방법 = 64
   1. 전통적 접근방법 = 65
   2. 사회심리학적 접근방법 = 66
   3. 행태론적 접근방법 = 67
   4. 생태론적 접근방법 = 68
   5. 체제론적 접근방법 = 71
   6. 현상학적 접근방법 = 73
   7.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74
 제3장 행정국가와 현대행정
  제1절 국가관의 변천과 행정국가의 전개 = 77
   1. 행정국가의 형성 = 77
   2. 행정국가의 특성 = 78
   3. 작은 정부론 = 80
  제2절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 81
   1. 시장실패 = 81
   2. 정부실패 = 81
  제3절 뉴거버넌스 = 82
   1. 거버넌스의 개념 = 82
   2. 뉴거버넌스의 의미 = 83
   3. 거버넌스 논의의 평가 = 86
 제4장 행정과 가치
  제1절 공익 = 87
   1. 공익의 개념 = 88
   2. 공익의 본질 = 88
   3. 공익결정의 변수 = 90
   4. 공익의 특징 = 90
   5. 공익의 기능 = 91
  제2절 합리성 = 92
  제3절 가외성 = 92
   1. 가외성의 효용성 = 93
   2. 가외성의 한계 = 93
  제4절 사회적 형평성 = 94
  제5절 행정문화 = 95
   1. 문화의 의의 = 95
   2. 행정문화의 의의 = 96
   3. 우리나라의 행정문화 = 96
   4. 우니나라 행정문화의 발전방향 = 98
  제6절 행정윤리와 부패 = 99
   1. 행정윤리의 개념 및 특징 = 99
   2. 행정윤리의 중요성 = 100
   3. 행정윤리의 내용 = 101
   4. 행정권의 오용과 관료부패 = 102
   5. 행정윤리의 저해요인 = 106
   6. 행정윤리의 확보방안 = 107
제Ⅱ편 정책과 기획
 제1장 정책의 개념과 정책학
  제1절 정책의 개념과 특성 = 111
   1. 정책의 개념 = 111
   2. 정책의 구성요소 = 112
   3. 정책의 특성 = 113
   4. 정책의 기능 = 114
  제2절 정책학 연구의 의의 = 114
   1. 정책학의 등장배경 = 114
   2. 정책학의 발전 = 115
   3. 정책학의 특성 = 116
   4. 정책학의 학습방향 = 116
  제3절 정책의 유형 = 117
   1. 배분정책 = 117
   2. 규제정책 = 117
   3. 재분배정책 = 118
   4. 구성정책 = 119
   5. 추출정책 = 119
   6. 상징정책 = 119
 제2장 정책과정과 정책환경
  제1절 정책과정 = 121
   1. 정책과정의 의의 = 121
   2. 우리나라의 정책과정 = 122
  제2절 정책과정의 참여자 = 123
   1. 정책과정 참여자의 의의 = 123
   2. 의회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5
   3. 행정부와 사법부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5
   4. 대통령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6
   5. 정당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6
   6. 이익집단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6
   7. 정책공동체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7
   8. 시민단체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7
   9. 언론기관의 정책과정상의 역할 = 127
  제3절 정책환경 = 128
   1. 정책환경의 의의 = 128
   2. 정책결정요인론 = 128
 제3장 정책의제 설정
  제1절 정책의제 = 129
   1. 정책의제의 의의 = 129
   2. 정책의제의 유형 = 130
  제2절 정책의제 설정과정 = 130
   1. 정책의제 설정과정의 의의 = 130
   2. 정책의제 설정이론 = 133
   3. 정책의제 설정모형 = 135
 제4장 정책결정
  제1절 정책결정의 의의 = 137
   1. 정책결정의 개념 = 137
   2. 정책결정의 목표 = 138
  제2절 정책결정의 과정 = 138
   1. 정책문제의 파악과 정의 = 139
   2. 정책목표의 설정 = 140
   3. 정책대안의 탐색과 개발 = 140
   4. 정책대안의 결과예측 = 141
   5. 정책대안의 비교평가 = 142
   6. 최적대안의 선택 = 143
   7. 합법화와 자원배분 = 143
  제3절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 144
   1. 합리모형 = 144
   2. 만족모형 = 144
   3. 점증모형 = 145
   4. 혼합모형 = 145
   5. 최적모형 = 146
   6. 엘리트모형 = 146
   7. 집단모형 = 146
   8. 체제모형 = 147
   9. 제도모형 = 147
   10. 회사모형 혹은 연합모형 = 147
   11. 쓰레기통모형 = 148
   12. 공공선택모형 = 148
   13. 엘리슨모형 = 149
  제4절 합리적 정책결정의 제약요인과 제고방안 = 149
   1. 정책결정자 = 149
   2. 정책결정구조 = 150
   3. 정책결정환경 = 150
   4. 합리적 정책결정의 제고방안 = 151
 제5장 정책집행
  제1절 정책집행의 의의 = 153
   1. 정책집행의 개념 = 153
   2. 정책집행의 과정 = 154
  제2절 정책집행의 접근법과 집행자 모형 = 155
   1. 정책집행의 접근법 = 155
   2. 정책집행자의 모형 = 156
   3. 정책집행과 일선관료제 = 156
  제3절 정책집행의 성공요인 = 157
   1. 성공적 정책집행의 판단기준 = 157
   2. 정책집행의 성공요인 = 158
   3. 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 159
 제6장 정책평가
  제1절 정책평가의 의의 = 161
   1. 정책평가의 개념 = 161
   2. 정책평가의 대두배경 = 162
   3. 정책평가의 중요성 = 162
   4. 정책평가의 목적 = 163
  제2절 정책평가의 유형 = 163
   1. 총괄평가 = 163
   2. 과정평가 = 164
  제3절 정책평가의 과정 및 기준 = 164
   1. 정책평가의 과정 = 164
   2. 정책평가의 기준 = 164
   3. 정책평가에 있어서의 타당성 = 165
  제4절 정책평가의 방법 = 166
   1. 실험적 방법 = 166
   2. 비실험적 방법 = 167
  제5절 정책평가의 한계와 발전방안 = 167
   1. 정책평가의 한계 = 167
   2. 정책평가의 발전방안 = 167
 제7장 정책변동
  제1절 정책실패 = 169
   1. 정책실패의 개념 = 169
   2. 정책실패의 원인 = 169
  제2절 정책변동 = 172
   1. 정책변동의 개념 = 172
   2. 정책변동의 종류 = 173
   3. 정책변동과 저항 = 174
  제3절 정책종결 = 175
   1. 정책종결의 의의 = 175
   2. 정책종결의 원인 = 175
   3. 정책종결의 유형 = 176
   4. 정책종결의 전략 = 176
 제8장 기획
  제1절 기획의 의의 = 177
   1. 기획의 개념 = 177
   2. 기획의 유사개념 = 178
   3. 기획의 필요성 = 179
   4. 기획이론의 발전 = 180
   5. 기획의 종류 = 181
   6. 기획의 한계 = 182
  제2절 국가기획과 기획이론 = 183
   1. 국가기획의 발전요인 = 183
   2. 국가기획과 민주주의 = 184
   3. 우리나라의 국가기획 = 184
   4. 기획연습과제 = 185
  제3절 기획기구와 기획과정 = 186
   1. 기획기구 = 186
   2. 기획과정 = 186
  제4절 합리적 기획의 제약요인과 기획의 원칙 = 187
   1. 정치·행정적 제약요인 = 188
   2. 계획수립과정상의 제약요인 = 188
   3. 계획집행상의 제약요인 = 188
   4. 합리적 기획의 원칙 = 189
   5. 기획연습과제 = 189
제Ⅲ편 조직관리
 제1장 조직이론의 발전
  제1절 조직의 의의 = 193
  제2절 현대사회와 조직 = 194
   1. 조직의 대규모화 = 194
   2. 조직의 복잡화 = 194
   3. 조직의 전문화 = 195
   4. 조직의 통합성과 계층성 = 195
   5. 조직의 민주화 = 195
  제3절 조직론의 계보 = 196
   1. 고전적 조직이론 = 196
   2. 신고전적 조직이론 = 198
   3. 현대조직론 = 201
  제4절 조직의 유형과 형태 = 202
   1. 조직의 유형 = 202
   2. 조직의 형태 = 205
  제5절 조직의 원리 = 216
   1. 의의 = 216
   2. 조직의 기본적 원리 = 216
  제6절 조직의 변수 = 218
   1. 조직구조 = 218
   2. 조직인 = 219
   3. 조직환경 = 219
  제7절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구조 = 220
   1. 정부조직의 개념과 유형 = 220
   2. 우리나라 정부조직의 변천사 = 220
   3. 우리나라 정부조직 = 221
 제2장 조직의 기능론
  제1절 의사결정 = 227
   1. 의사결정의 유형 = 228
   2. 의사결정 이론모형 = 229
   3. 의사결정 과정과 제약요인 = 229
  제2절 의사전달과 PR = 231
   1. 의사전달의 유형 = 231
   2. 의사전달의 과정 = 234
   3. 효과적인 의사전달 = 236
  제3절 권위 = 236
   1. 권위의 개념과 기능 = 236
   2. 권위의 유형 = 237
   3. 권위의 수용 = 238
  제4절 리더십 = 238
   1. 리더십의 이론 = 239
   2. 효과적인 리더십의 확보 = 240
  제5절 동기부여 = 242
   1. 동기부여이론 = 243
   2. 동기부여의 효율화 = 245
 제3장 조직과정론
  제1절 목표설정과 관리 = 247
   1. 목표의 의의 = 247
   2. 목표의 유형 = 248
   3. 목표관리의 과정 = 250
   4. 목표관리의 장단점 = 252
  제2절 정책과 기획 = 255
   1. 정책 = 255
   2. 기획 = 257
  제3절 조직화 = 259
   1. 의의 및 기본적 구상 = 259
   2. 구조와 형태 = 260
   3. 조직변화 = 261
  제4절 인적자원관리와 통제 = 262
   1. 인적자원관리의 의의 = 262
   2. 인적자원관리의 기능 = 264
   3. 행정책임 = 265
   4. 행정통제 = 265
   5. 행정참여 = 265
 제4장 통합론
  제1절 갈등관리 = 271
   1. 갈등의 의의 = 271
   2. 갈등의 기능 = 272
   3. 갈등의 유형 = 272
   4. 갈등관리의 방법 = 273
  제2절 조정 = 275
   1. 조정의 유형 = 275
   2. 조정의 방법 = 276
 제5장 조직과 환경
  제1절 조직의 문화 = 279
   1. 조직문화의 개념과 기능 = 279
   2. 조직문화의 개발과 관리 = 280
  제2절 조직발전 = 280
   1. 조직발전의 과정 = 281
   2. 조직발전의 기법 = 282
   3. 조직발전의 문제점과 성공요건 = 283
  제3절 조직변화 = 284
  1. 조직변화의 개념과 특징 = 284
  2. 조직변화의 담당자와 접근방법 = 285
  3. 조직변화의 과정과 저항 = 286
 제6장 관리과학
  제1절 시스템분석 = 289
   1. 시스템분석의 개념 = 289
   2. 시스템분석의 특징 = 290
   3. 시스템분석의 과정 = 291
  제2절 관리과학의 기법 = 293
   1. 선형계획 = 293
   2. 게임이론 = 293
   3. 시뮬레이션 = 294
   4. 비용편익분석 = 294
   5. 비용효과분석 = 296
   6. 델파이기법 = 297
제Ⅳ편 인사행정
 제1장 인사행정의 개념
  제1절 인사행정의 의의 = 301
   1. 인사행정의 개념 = 301
   2. 인사행정의 특징 = 301
  제2절 인사행정의 발달 = 302
   1. 엽관주의 = 302
   2. 실적주의 = 303
   3. 대표관료제 = 305
  제3절 인사행정의 구성체계 = 307
 제2장 인사행정의 기초
  제1절 인사관계법령 = 309
  제2절 인사행정기관 = 310
   1. 중앙인사기관 = 310
   2. 지방자치와 인사기관 = 314
  제3절 공직분류와 공무원제도 = 315
   1. 분류의 의의 = 315
   2. 공직의 유형 = 316
 제3장 채용
  제1절 모집 = 323
   1. 모집의 의의 = 323
   2. 모집의 적극화 방안 = 324
   3. 지원자격요건 = 324
  제2절 시험 = 327
   1. 시험의 의의 = 327
   2. 시험의 종류 = 328
   3. 시험의 효용성 = 330
  제3절 임명 = 331
   1. 채용후보자명부 = 331
   2. 추천 = 331
   3. 시보임용 = 332
 제4장 능력발전
  제1절 교육훈련 = 333
   1. 교육훈련의 종류 = 333
   2. 교육훈련에 대한 저항과 극복 = 335
  제2절 인사이동 = 337
   1. 승진 = 337
   2. 강임 = 338
   3. 배치전환 = 338
  제3절 근무성적평정 = 339
   1. 근무성적평정의 개념 = 339
   2. 근무성적평정의 목적 = 339
 제5장 근무의욕
  제1절 사기 = 341
   1. 사기의 의의 = 341
   2. 사기의 요인과 사기제고방법 = 341
   3. 사기조사 = 342
  제2절 보수와 연금제도 = 342
   1. 보수 = 342
   2. 연금제도 = 344
  제3절 인간관계관리 = 345
   1. 인사상담 = 345
   2. 제안제도 = 345
   3. 고충처리 = 346
 제6장 근무규율
  제1절 공무원 충성 = 347
  제2절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 348
   1. 정치적 중립의 개념과 필요성 = 348
   2. 정치적 중립의 문제점 = 348
  제3절 공무원단체 = 349
   1. 공무원단체의 의의 = 349
   2. 공무원단체의 활동내용 = 349
   3. 우리나라 공무원단체 = 350
  제4절 공직윤리 = 351
   1. 공직윤리의 의의 = 351
   2. 우리정부의 윤리적 행동규범 = 352
   3. 공직윤리의 발전방안 = 352
제Ⅴ편 재무행정
 제1장 재무행정의 기초이론
  제1절 재무행정과 예산의 의의 = 357
   1. 재무행정의 연구대상 = 357
   2. 예산의 개념 = 359
   3. 예산의 성격 = 361
   4. 예산의 법원(法源) = 361
   5. 예산과목 = 363
  제2절 예산의 기능과 원칙 = 364
   1. 예산의 기능 = 364
   2. 예산의 원칙 = 365
  제3절 예산의 종류 = 369
   1. 예산의 성질에 따른 종류 = 369
   2. 성립시기에 따른 종류 = 370
   3. 예산 불성립시의 종류 = 371
  제4절 예산의 분류 = 372
   1. 분류의 기준과 방법 = 372
   2. 기능별 분류 = 373
   3. 품목별 분류 = 374
   4. 조직별 분류 = 374
 제2장 예산과정
  제1절 예산과정의 의의와 단계 = 377
   1. 예산과정의 의의 = 377
   2. 예산과정의 단계 = 378
  제2절 예산의 편성 = 378
   1. 예산편성의 의의 = 378
   2. 예산편성의 과정 = 379
  제3절 예산의 심의 = 383
   1. 예산심의의 의의 = 383
   2. 예산심의의 과정 = 385
  제4절 예산의 집행 = 387
   1. 예산집행의 개념과 목표 = 387
   2. 예산집행상의 재정통제 = 388
   3. 예산집행상의 신축성 유지 = 389
  제5절 회계검사 = 395
   1. 회계검사의 의의 = 395
   2. 회계검사의 종류 = 395
  제6절 결산 = 397
   1. 결산의 의의와 기능 = 397
   2. 결산의 절차 = 398
   3. 결산의 기법 = 399
 제3장 예산제도
  제1절 예산제도의 의의와 발달과정 = 401
   1. 예산제도의 의의 = 401
   2. 예산제도의 발달과정 = 401
  제2절 예산제도의 종류 = 403
   1. 개관 = 403
   2. 품목별 예산제도 = 404
   3. 성과예산제도 = 404
   4. 계획예산제도 = 405
   5. 목표에 의한 관리 = 405
   6. 영기준예산제도 = 406
   7. 일몰법 = 407
   8. 자본예산제도 = 407
   9. 정치관리예산 = 408
   10. 성과기준예산제도 = 408
 제4장 지방재정
  제1절 지방재정의 의의 = 411
   1. 지방재정의 의의 = 411
   2. 지방재정의 특징 = 412
   3. 국가재정과 지방재정의 차이 = 412
  제2절 지방재정의 구조와 규모 = 413
   1. 지방재정의 구조 = 413
   2. 지방재정의 규모 = 413
  제3절 지방재정조정제도 = 416
   1. 의의 = 416
   2. 우리나라의 지방재정조정제도 = 417
  제4절 지방재정의 위기와 대책 = 419
   1. 지방재정위기의 의의 = 419
   2. 지방재정위기의 원인 = 420
   3. 지방재정위기의 대책 = 420
제Ⅵ편 지방행정
 제1장 지방행정론
  제1절 지방행정의 본질 = 425
   1. 지방행정의 개념 = 425
   2. 지방행정의 특징 = 426
   3. 지방행정의 존재형식 = 426
  제2절 지방행정의 지도이념 = 427
   1. 민주성·공정성·신뢰성 = 427
   2. 합법성 = 428
   3. 합목적성·효과성 = 428
   4. 개별성·다원성 = 428
   5. 합리성·능률성·생산성 = 428
  제3절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1. 집권과 분권 = 429
   2. 촉진요인 = 429
   3. 형태 = 430
  제4절 신중앙집권화 = 431
   1. 신중앙집권화의 촉진요인 = 431
   2. 신중안집권화의 한계 = 431
  제5절 광역행정 = 432
   1. 의의 = 432
   2. 필요성 = 432
  제6절 중앙통제 = 432
   1. 의의 = 432
   2. 중앙통제의 방식 = 433
   3. 한계 = 434
  제7절 일선기관 = 434
   1. 기능 = 434
   2. 유형 = 435
  제8절 지방행정의 구역과 주민 = 436
   1. 지방행정구역 개편의 유형 = 436
   2. 구역설정의 기준 = 436
   3. 지방자치단체의 주민 = 437
  제9절 도시행정 = 437
   1. 도시화의 요인 = 438
   2. 유형 = 438
   3. 도시화와 인구집중 = 438
 제2장 지방자치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441
   1. 의의 = 441
   2. 지방자치의 구성요소 = 442
   3. 지방자치의 효용성 = 443
   4. 지방자치의 현대적 경향 = 443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일반이론 = 443
   1. 특징 = 444
   2. 종류 = 444
   3. 계층구조 = 445
  제3절 헌법과 지방자치 = 445
   1. 지방자치에 관한 헌법의 규정 = 445
   2. 지방자치를 헌법에 규정한 의의 = 446
   3. 헌법규정에 함축된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기본적 특징 = 446
  제4절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 = 446
   1. 자치권에 관한 학설 = 446
   2. 자치권의 내용 = 447
  제5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 = 449
   1. 기관구성형태 = 449
   2. 지방의회 = 451
   3. 집행기관 = 452
  제6절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454
   1. 자치사무(고유사무) = 454
   2. 단체위임사무 = 455
   3. 기관위임사무 = 455
  제7절 지방재정 = 455
   1. 자주재원 = 455
   2. 의존재원 = 456
  제8절 주민참여 = 458
   1. 의의 = 458
   2. 필요성 = 458
   3. 유형 = 458
 제3장 행정책임과 행정통제 및 행정개혁
  제1절 행정책임 = 461
   1. 행정책임의 필요성과 기준 = 461
   2. 행정책임의 유형 = 462
  제2절 행정통제 = 463
   1. 의의 = 463
   2. 행정통제의 원칙 = 464
   3. 행정통제의 유형 = 464
  제3절 행정개혁 = 466
   1. 의의 = 466
   2. 접근방법 = 467
   3. 과정 = 468
   4. 행정개혁의 저항원인과 극복방안 = 468
제Ⅶ편 행정정보체계
 제1장 정보사회의 전개과정과 정보화지표
  제1절 정보사회의 대두배경 = 473
  제2절 정보사회의 동인 = 474
   1. 공급적 요인 = 474
   2. 수요적 요인 = 475
   3. 정책적 요인 = 476
  제3절 정보화와 정보사회의 개념 = 476
  제4절 정보화지표 = 477
   1. 정보화지표의 개념과 기능 = 477
   2. 정봐화지표의 접근방법 = 478
   3. 우리나라 정보화지표 모형 = 480
 제2장 행정정보화에 따른 행정환경의 변화와 영향
  제1절 정보사회와 행정 = 481
  제2절 행정정보화의 영향 = 482
   1. 개요 = 482
   2. 행정체제 내부에 미치는 영향 = 482
 제3장 현대행정과 행정정보화
  제1절 개관 = 491
  제2절 행정정보화에 대한 수요 = 491
   1. 행정수요와 행정정보화 = 491
   2. 행정의 분권화·지방화를 위한 행정정보화 = 492
   3. 행정문제의 복잡성과 행정정보화 = 492
   4. 행정의 민주화·인간화를 위한 행정정보화 = 493
  제3절 행정정보화 기술의 공급 = 493
   1. 행정기술 및 정보시스템 모형의 발달 = 493
   2. 정보관리기법 및 전략의 발전 = 494
  제4절 행정정보화의 내용 = 494
   1. 정보기술·정보관리기법의 활용증대와 행정의 효율화·서비스화 = 495
   2. 정보관련정책의 진전과 정보민주주의의 실현 = 495
   3. 행정조직의 정보화 환경 개선 = 496
 제4장 행정정보체계와 전자정부
  제1절 행정정보체계에 대한 접근법과 개념 = 497
   1. 행정정보체계에 대한 접근법 = 497
   2. 행정정보체계의 개념 = 499
   3. 행정정보체계의 특성 = 501
  제2절 전자정부 = 504
   1. 전자정부의 개념 = 504
   2. 전자문서교환 = 505
   3. 전자우편 = 506
   4. 우리나라의 전자정부계획 = 507
참고문헌 = 509
색인 = 51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