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창의성 이론은 창의성을 북돋울 수 있는가? = 3
제1장 창의성의 개념 = 9
1. 창의성의 이해 및 속성 = 9
2. 창의성의개념 정의 = 13
3. 광고에서 창의성의 개념 = 19
4. 광고에서 창의성의 역할 = 21
제2장 창의적 과정 = 26
1. 문제 해결 과정 = 27
2. 정의적 과정 = 31
3. 두 가지를 종합한 입장 = 35
4. 브라스코와 모쿠아의 패러독스 이론 = 36
제3장 창의성 연구의 역사적 흐름 = 40
1. 신비주의적 접근 = 41
2. 실용주의적 접근 = 42
3. 심리역동적 접근 방법 = 43
4. 심리 측정 방법 = 44
5. 인지적 접근 = 44
6. 사회-성격적 접근 = 45
7. 전체 맥락적 접근 = 46
제4장 창의성 모형 = 48
1. 로드스의 모형 = 49
2. 칙센미할리의 모형 = 54
3. 아마빌의 모형 = 57
4. 우드만과 쉔펠트의 모형 = 65
제5장 개인 창의성의 구성 요소 = 71
1. 선행 조건 = 72
2. 성격 = 73
3. 감성 능력 = 84
4. 지적 능력 = 88
5. 인지 스타일 = 98
6. 지식 = 100
7. 경험 = 102
8. 직관 = 104
9. 동기 = 107
제6장 팀 창의성 = 127
1. 팀 구성 = 128
2. 팀 특성 = 130
3. 팀의 문제 해결 과정 = 135
4. 팀 창의력의 기법들 = 139
제7장 창의적 환경 요소 = 156
1. 자원 접근 = 157
2. 교육 및 훈련 = 159
3. 리더십 = 162
4.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 167
5. 보상 = 169
6. 조직 분위기 = 170
7. 근무 환경 = 171
8. 직무 도전성 = 172
9. 경력 개발 = 173
제8장 연령과 창의성 = 177
1. 연령과 창의성 = 177
2. 창의성 발달 이론 = 179
제9장 임파워먼트와 창의성 = 184
1. 내재적 동기와 임파워먼트 = 185
2. 임파원먼트의 개념 = 187
3. 임파워먼트된 개인 및 조직의 특성 = 192
4. 임파워먼트와 관련 요인 = 193
제10장 창의성의 측정 = 195
1. 창의성 측정 방법 = 195
2. 창의성 측정의 타당도 문제 = 198
참고 문헌 = 200
부록 : 창의성 향상을 위한 실전 연습 = 231
1. 사고 방식의 확장을 위한 15가지 실행적 정신 활동 안내서 = 232
2. 확산적 사고력 검사 및 훈련 프로그램 = 271
3. 문제발견력 검사 = 279
4. 문제 해결 훈련 프로그램 = 281
5. 창의적 성격 검사 = 283
6. 창의적 성격 훈련 프로그램 = 286
7. 광고회사 카피라이터 실기 시험 문제 =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