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동학혁명과 태안

동학혁명과 태안 (Loan 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춘석 朴春錫
Title Statement
동학혁명과 태안 / 박춘석 편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산 :   도서출판 가야 ,   2001.  
Physical Medium
448 p. : 삽도 ; 23 cm.
General Note
사료 - 창산후인 조석헌 역사록(영인) 해제  
000 00598namccc200205 k 4500
001 000000777165
005 20100807112513
007 ta
008 020813s2001 hcka 000a d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9 1 ▼l 111216499 ▼f 개가
082 0 4 ▼a 951.902 ▼2 21 ▼a 953.059 ▼a 953.48059
090 ▼a 953.48059 ▼b 2001
100 1 ▼a 박춘석 ▼g 朴春錫
245 0 0 ▼a 동학혁명과 태안 / ▼d 박춘석 편저.
260 ▼a 서산 : ▼b 도서출판 가야 , ▼c 2001.
300 ▼a 448 p. : ▼b 삽도 ; ▼c 23 cm.
500 ▼a 사료 - 창산후인 조석헌 역사록(영인) 해제
950 1 ▼a 가격불명 ▼b \13400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Call Number 953.48059 2001 Accession No. 1112164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면서 = 10
제1장 왜 동학혁명이 일어나게 되었는가 = 15
  Ⅰ. 동학혁명 이전의 역사적 배경 = 17
    1. 세도정치의 등장 = 17
      (1) 홍국영의 세도정치 = 18
      (2)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 20
    2. 외세의 침투 = 22
    3. 3정의 문란 = 26
    4. 탐관오리의 횡포 = 29
    5. 민란의 발생 = 33
      (1) 홍경래의 난 = 34
      (2) 진주민란 = 37
제2장 동학혁명의 발발 = 41
  1. 전봉준의 고부봉기 = 43
  2. 혁명군 백산에 집결 = 47
  3. 활토현의 싸움 = 51
  4. 혁명군의 전주성 점령 = 55
  5. 전주화약 = 59
  6. 공주의 우금치 전투 = 66
제3장 동학혁명과 태안 = 73
  1. 태안에 언제 동학이 전래되는가 = 75
  2. 동학세력의 확산 = 78
  3. 최초의 기포지 원북(방갈리) = 86
  4. 태안성 점령 = 90
  5. 승승장구하는 혁명군 = 92
  6. 홍주성 전투 = 96
  7. 해미성 전투 = 99
  8. 매현(梅峴) 전투 = 101
제4장 동학혁명과 오늘의 태안 = 105
  1. 산화한 동학혁명군의 명단 = 107
  2. 동학혁명군 유족의 증언 = 119
  3. 동학혁명과 얽힌 실화 = 156
  4. 갑오동학혁명군 추모탑 = 170
  5. 동학혁명기념사업회 태안군지부 실상 = 176
  6. 태안지역 동학혁명군유족회의 실상 = 181
  7. 태안지역의 천도교와 오늘의 실상 = 185
제5장 태안이 낳은 동학혁명의 주역 = 191
  1. 도집 문장준(都執 文章埈) = 193
  2. 수접주 낙암 문장로(首接主 樂菴 文章魯) = 205
  3. 접주 조석현(接主 曺錫憲) = 207
  4. 묵암 이종일(默菴 李鍾一) = 209
사료. 창산후인 조석헌 역사록(영인) = 217
부록. 전봉준 공초문 = 403
책을 마치면서 = 44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갑동 (2022)
정만조 (2022)
서울역사박물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