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면서 = 10
제1장 왜 동학혁명이 일어나게 되었는가 = 15
Ⅰ. 동학혁명 이전의 역사적 배경 = 17
1. 세도정치의 등장 = 17
(1) 홍국영의 세도정치 = 18
(2)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 20
2. 외세의 침투 = 22
3. 3정의 문란 = 26
4. 탐관오리의 횡포 = 29
5. 민란의 발생 = 33
(1) 홍경래의 난 = 34
(2) 진주민란 = 37
제2장 동학혁명의 발발 = 41
1. 전봉준의 고부봉기 = 43
2. 혁명군 백산에 집결 = 47
3. 활토현의 싸움 = 51
4. 혁명군의 전주성 점령 = 55
5. 전주화약 = 59
6. 공주의 우금치 전투 = 66
제3장 동학혁명과 태안 = 73
1. 태안에 언제 동학이 전래되는가 = 75
2. 동학세력의 확산 = 78
3. 최초의 기포지 원북(방갈리) = 86
4. 태안성 점령 = 90
5. 승승장구하는 혁명군 = 92
6. 홍주성 전투 = 96
7. 해미성 전투 = 99
8. 매현(梅峴) 전투 = 101
제4장 동학혁명과 오늘의 태안 = 105
1. 산화한 동학혁명군의 명단 = 107
2. 동학혁명군 유족의 증언 = 119
3. 동학혁명과 얽힌 실화 = 156
4. 갑오동학혁명군 추모탑 = 170
5. 동학혁명기념사업회 태안군지부 실상 = 176
6. 태안지역 동학혁명군유족회의 실상 = 181
7. 태안지역의 천도교와 오늘의 실상 = 185
제5장 태안이 낳은 동학혁명의 주역 = 191
1. 도집 문장준(都執 文章埈) = 193
2. 수접주 낙암 문장로(首接主 樂菴 文章魯) = 205
3. 접주 조석현(接主 曺錫憲) = 207
4. 묵암 이종일(默菴 李鍾一) = 209
사료. 창산후인 조석헌 역사록(영인) = 217
부록. 전봉준 공초문 = 403
책을 마치면서 = 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