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91namccc200361 k 4500 | |
001 | 000000775258 | |
005 | 20100807110335 | |
007 | ta | |
008 | 020607s2002 ulk 001a kor | |
020 | ▼a 8988996259 ▼g 03300 : ▼c \12000 | |
035 | ▼a KRIC08215720 | |
040 | ▼a 211059 ▼c 21105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49 | 1 | ▼l 111216755 ▼f 개가 |
082 | 0 4 | ▼a 410.92 ▼2 21 |
090 | ▼a 410.92 ▼b 2002 | |
100 | 1 | ▼a Chomsky, Noam ▼0 AUTH(211009)41272 |
245 | 1 0 | ▼a 프로파간다와 여론 / ▼d 노암 촘스키 ; ▼e 데이비드 바사미언 지음 ; ▼e 이성복 옮김. |
246 | 1 3 | ▼a 촘스키와의 대화 |
246 | 1 9 | ▼a Propaganda and the public mind |
260 | ▼a 서울 : ▼b 아침이슬 , ▼c 2002. | |
300 | ▼a 350 p. ; ▼c 23 cm. | |
500 | ▼a 색인: p.346-350 | |
500 | ▼a 부록: 추가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곳 | |
600 | 1 4 | ▼a Chomsky, Noam ▼v Interviews. |
650 | 0 | ▼a World politics ▼y 1989- |
650 | 0 | ▼a Language and languages ▼x Philosophy. |
653 | ▼a 언론 ▼a 여론 ▼a 프로파간다 ▼a propaganda | |
700 | 1 | ▼a Barsamian, David |
700 | 1 | ▼a 이성복, ▼e 역 |
900 | 1 0 | ▼a 촘스키, 노암 |
900 | 1 0 | ▼a 바사미언, 데이비드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92 2002 | Accession No. 1112167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0.92 2002 | Accession No. 1511323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0.92 2002 | Accession No. 1511323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0.92 2002 | Accession No. 11121675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0.92 2002 | Accession No. 15113230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0.92 2002 | Accession No. 15113230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노엄 촘스키의 이름은 2001년 9.11 테러 이후 세계 언론에 더욱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미국의 대외 정책을 비판하는 그의 주장은 <불량국가>, <촘스키, 9.11>, <숙명의 트라이앵글> 등의 출간을 통해 국내 독자들에게도 알려졌다.
이 책 <프로파간다와 여론>은 1998년부터 2000년까지의 현안 문제들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미국 대외 정책의 본질과 국익에 충실한 선전만을 일삼는 미국 언론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미국의 대안 매체 '얼터너티브 라디오'의 프로듀셔이자, 『더 프로그레시브』와 『Z 매거진』에 글을 기고하는 데이비드 바사미언과의 대담을 엮었다.
1999년 동티모르 분쟁,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분쟁, 베트남 전쟁의 후유증, MAI(다자간 투자협정) 등의 이슈에 대한 촘스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 자국의 이익과 관계가 없을 때는 처참한 인권 말살의 현장도 모르쇠로 일관하는 미국의 이중성이 적나라하게 폭로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놈 촘스키(지은이)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러시아계 유대인 이민 2세로 태어났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 진학한 뒤 언어학자 젤리그 해리스를 만나면서 언어학의 세계에 발을 디뎠다. 대학을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의 특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펜 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MIT에서 1958년(30세) 부교수, 1961년(33세) 종신교수, 1966년(38세) 석좌교수, 1976년(48세) ‘인스티튜트 프로페서Institute Professor(독립적인 학문기관으로 대우하는 교수)’가 된 그는 지금까지 논문 1,000여 편과 저서 100여 권을 발표했다. 노엄 촘스키는 언어학자이자 인지과학 혁명의 주역으로서 명성을 누리는 데 머물지 않았다. 젊은 시절부터 약자의 편에 서서 사회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 1967년 〈지식인의 책무〉를 발표하면서 세계 지식인들의 양심에 경종을 울린 그는, 여든 살을 넘긴 오늘날까지도 시대의 양심이자 행동하는 지식인으로서, 또한 세계 민중의 한 사람으로서 거대 다국적기업들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세계 질서와 미국의 제국주의, 자본의 언론 장악과 프로파간다를 신랄하게 파헤친다. 주요 저서로는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외에도 《미국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 《비밀, 거짓말 그리고 민주주의》, 《공공선을 위하여》, 《촘스키, 知의 향연》, 《촘스키, 사상의 향연》, 《촘스키, 고뇌의 땅 레바논에 서다》, 《촘스키, 러셀을 말하다》, 《촘스키와 푸코, 인간의 본성을 말하다》, 《숙명의 트라이앵글》, 《지식인의 책무》, 《여론조작》, 《통사 구조》, 《언어 이론의 논리적 구조》 등이 있다.
데이비드 버사미언(지은이)
1945년생 아르메니아계 미국 언론인, 저술가. 국제사회의 다양한 현안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진보적 매체 ‘대안 라디오(Alternative Radio)’의 설립자이자 연출자로서 독립 언론의 지형을 바꾸는 데 크게 기여했다. 놈 촘스키를 비롯해 하워드 진, 타리크 알리, 아룬다티 로이, 에드워드 사이드 등 세계적 지성과의 통찰력 있는 대담으로 유명하다.
이성복(옮긴이)
한국외국어대 서반아어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중남미지역연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옮긴이의 글 = 4 감사의 글 = 11 촘스키와의 대화를 시작하며 = 12 1장 대중행동의 승리 = 15 2장 미국이 나가신다 길을 비켜라 = 49 3장 국가 때문에 = 125 4장 갈림길에 서 있는 동티모르 = 173 5장 시애틀의 의미 = 183 6장 자유로운 사고 = 209 7장 연대 = 291 부록 = 321 원주 = 326 찾아보기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