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지문법의 디딤돌

인지문법의 디딤돌 (Loan 9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종도.
Title Statement
인지문법의 디딤돌 / 김종도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이정 ,   2002.  
Physical Medium
391 p. : 삽도 ; 23 cm.
ISBN
8978785492
General Note
색인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 p. 371-381
비통제주제어
인지문법.,,
000 00665namccc200253 k 4500
001 000000773894
005 20100807105058
007 ta
008 020304s2002 ulka 001a kor
020 ▼a 8978785492 ▼g 93710 : ▼c \18,000
035 ▼a KRIC08116568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9 1 ▼l 111213446 ▼f 개가 ▼l 111213447 ▼f 개가
056 ▼a 701.5 ▼2 4
082 0 4 ▼a 415 ▼2 21
090 ▼a 415 ▼b 2002
100 1 ▼a 김종도.
245 1 0 ▼a 인지문법의 디딤돌 / ▼d 김종도 지음.
260 ▼a 서울 : ▼b 박이정 , ▼c 2002.
300 ▼a 391 p. : ▼b 삽도 ; ▼c 23 cm.
500 ▼a 색인수록.
504 ▼a 참고문헌 : p. 371-381
653 ▼a 인지문법.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2 Accession No. 11121344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15 2002 Accession No. 111213447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6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종도(지은이)

<인지문법의 토대 2>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부 틀짜기 = 15
 1장 기본 가정 = 17
  1.1. 들어가기 = 17
  1.2. 근본 가정 = 19
  1.3. 문법의 정의 = 26
  1.4. 표준문법과 인지문법의 비교 = 31
  1.5. 내용 필수 원리 = 37
 2장 인지능력 = 41
  2.1. 비교 = 45
  2.2. 주사 사슬 = 48
  2.3. 초점 조절 = 50
  2.4. 영상과 영상도식 = 57
  2.5. 변형 = 60
  2.6. 게쉬탈트 작용 = 64
  2.7. 융합 = 68
  2.8. 은유 = 75
  2.9. 환유 = 80
 3장 문법조직 = 87
  3.1. 의미와 문법 = 87
  3.2. 영상으로서의 통사 = 89
  3.3. 문법 형태소 = 91
  3.4. 구성본 = 94
  3.5. 구성 순서 = 96
  3.6. 어휘부와 통사부 = 102
 4장 이론적 구조물 = 106
  4.1. 범주화 = 106
  4.2. 영역 = 120
  4.3. 영상의 차원 = 125
  4.4. 윤곽과 바탕 = 130
  4.5. 심리 공간 = 133
  4.6. 인가 = 139
 5장 의미론 = 141
  5.1. 사전 대 백과사전 = 141
  5.2. 의미론의 여러 모습 = 147
  5.3. 인지문법적 의미론 = 150
  5.4. 어휘의미론 = 163
2부 적용 = 169
 6장 언어현상 = 171
  6.1. 참조점 세우기 = 171
  6.2. 참조점 구문 = 173
  6.3. 활성역 현상 = 178
  6.4. 주관성 대 객관성 = 182
  6.5. 확정성 = 185
  6.6. 수동형 = 199
  6.7. 양화 = 206
 7장 문법 부류 = 216
  7.1. 명사 = 218
  7.2. 동사 = 228
  7.3. 타동성 = 235
  7.4. 의미역과 문법관계 = 250
  7.5. 참여자와 무대 = 253
  7.6. 형용사 = 256
3부 문법적 현상들의 분석 = 261
 8장 시제와 양상 = 263
  8.1. 인식모형 = 263
  8.2. 시제 = 268
  8.3. 양상 = 273
 9장 상 = 281
  9.1. 상 = 281
  9.2. 상 의미의 조정과 이중성 = 286
  9.3. 상황 유형과 관점 유형의 상호 작용 = 297
  9.4. 상과 동작류 = 300
  9.5. 상과 양상 = 302
 10장 조응 현상 = 306
  10.1. 앞선 분석 = 306
  10.2. 조응 현상의 인지적 해석 모형 = 311
  10.3. 직접 맥락 = 316
  10.4. 결속 조응 현상 = 326
  10.5. 소루성 일치 = 335
 11장 인지문법의 은유모형 = 338
  11.1. 들어가기 = 338
  11.2. 은유의 인지 문법적 모형 = 340
  11.3. 은유모형의 통일 = 358
참고문헌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