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틀짜기 = 15
1장 기본 가정 = 17
1.1. 들어가기 = 17
1.2. 근본 가정 = 19
1.3. 문법의 정의 = 26
1.4. 표준문법과 인지문법의 비교 = 31
1.5. 내용 필수 원리 = 37
2장 인지능력 = 41
2.1. 비교 = 45
2.2. 주사 사슬 = 48
2.3. 초점 조절 = 50
2.4. 영상과 영상도식 = 57
2.5. 변형 = 60
2.6. 게쉬탈트 작용 = 64
2.7. 융합 = 68
2.8. 은유 = 75
2.9. 환유 = 80
3장 문법조직 = 87
3.1. 의미와 문법 = 87
3.2. 영상으로서의 통사 = 89
3.3. 문법 형태소 = 91
3.4. 구성본 = 94
3.5. 구성 순서 = 96
3.6. 어휘부와 통사부 = 102
4장 이론적 구조물 = 106
4.1. 범주화 = 106
4.2. 영역 = 120
4.3. 영상의 차원 = 125
4.4. 윤곽과 바탕 = 130
4.5. 심리 공간 = 133
4.6. 인가 = 139
5장 의미론 = 141
5.1. 사전 대 백과사전 = 141
5.2. 의미론의 여러 모습 = 147
5.3. 인지문법적 의미론 = 150
5.4. 어휘의미론 = 163
2부 적용 = 169
6장 언어현상 = 171
6.1. 참조점 세우기 = 171
6.2. 참조점 구문 = 173
6.3. 활성역 현상 = 178
6.4. 주관성 대 객관성 = 182
6.5. 확정성 = 185
6.6. 수동형 = 199
6.7. 양화 = 206
7장 문법 부류 = 216
7.1. 명사 = 218
7.2. 동사 = 228
7.3. 타동성 = 235
7.4. 의미역과 문법관계 = 250
7.5. 참여자와 무대 = 253
7.6. 형용사 = 256
3부 문법적 현상들의 분석 = 261
8장 시제와 양상 = 263
8.1. 인식모형 = 263
8.2. 시제 = 268
8.3. 양상 = 273
9장 상 = 281
9.1. 상 = 281
9.2. 상 의미의 조정과 이중성 = 286
9.3. 상황 유형과 관점 유형의 상호 작용 = 297
9.4. 상과 동작류 = 300
9.5. 상과 양상 = 302
10장 조응 현상 = 306
10.1. 앞선 분석 = 306
10.2. 조응 현상의 인지적 해석 모형 = 311
10.3. 직접 맥락 = 316
10.4. 결속 조응 현상 = 326
10.5. 소루성 일치 = 335
11장 인지문법의 은유모형 = 338
11.1. 들어가기 = 338
11.2. 은유의 인지 문법적 모형 = 340
11.3. 은유모형의 통일 = 358
참고문헌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