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이해
제1장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개념과 특성 = 13
1.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개념 = 14
가. 용어의 정의 = 14
나.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개념 = 20
2.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특성 = 22
제2장 쓰기에 대한 관점의 변화 = 27
1. 쓰기 교육에서 패러다임의 변화 = 28
2. 쓰기에 대한 관점과 쓰기 교육 = 31
가. 관점 구분의 방식 = 31
나. 형식적 관점과 결과 중심의 쓰기 교육 = 35
다. 인지적 관점과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 = 38
라. 사회적 관점과 대화 중심의 쓰기 교육 = 44
3. 통합적 관점으로의 전환 = 49
제3장 과정 중심 쓰기 연구의 전개 양상 = 55
1. 기준 설정의 방식 = 56
2. 과정 중심 쓰기 연구의 전개 양상 = 60
가. 연구물을 묶는 방식 = 60
나. 글 측면에서 본 쓰기 과정 연구 = 62
다. 필자 측면에서 본 쓰기 과정 연구 = 68
라. 사회적 측면에서 본 쓰기 과정 연구 = 80
3. 우리 나라에서의 전개 양상 = 82
4. 과정 중심 쓰기 연구의 지향점 = 86
제4장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의의와 한계 = 93
1.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효과 = 94
2.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의의 = 96
가. 쓰기의 본질에 따른 의의 = 96
나. 교육적 필요에 따른 의의 = 102
3.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한계 = 105
제5장 과정 중심 쓰기 교육과 상위인지 = 113
1. 상위인지의 개념과 구성 요소 = 114
가. 상위인지의 개념 = 114
나. 상위인지의 구성요소 = 118
2. 자기 조정 전략의 성격과 유형 = 121
가. 자기 조정 전략의 성격 = 121
나. 자기 조정 전략의 유형 = 122
다. 쓰기 과정별 자기 조정 요소 = 127
3. 과정 중심 접근에서 상위인지의 의미 = 135
가. 쓰기와 상위인지 = 135
나.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과 상위인지 = 137
제6장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미래 = 139
1. 새로운 관점의 대두와 전망 = 140
가. 후기 쓰기 과정 이론 = 140
나. 장르 중심 쓰기 교육 이론 = 144
다.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의 전망 = 145
2. 과정 중심의 쓰기 교육 강화를 위한 제언 = 148
가. 교육 내적인 면 = 148
나. 교육 외적인 면 = 151
3.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연구 과제 = 152
제2부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실천
제7장 쓰기 교육과정 = 159
1. 외국의 교육과정 = 160
가. 영국 = 160
나. 호주 = 161
다. 미국 = 162
2. 우리 나라 교육과정 = 166
가. 우리 나라 교육과정의 특징 = 166
나. 문제점과 개선의 방향 = 167
제8장 쓰기 교재 구성 = 173
1. 쓰기 교재 개발의 변인 = 174
2. 국, 내외 교재의 검토 = 177
가. 우리 나라〈쓰기〉교과서 검토 = 178
나. 외국 교재 검토 = 182
3. 과정 중심 쓰기 교재 구성의 원리 = 185
가. 단원 구성의 원리 = 186
나. 차시 구성의 원리 = 192
4. 과정 중심의 쓰기 교재 구성 방법 = 196
가. 단원 구성 유형 설정 방법 = 197
나. 단원 전개 방식 설정 방법 = 208
다. 상위인지 전략의 강조 방법 = 214
제9장 쓰기 지도의 원리 = 223
1. 관점과 관련된 원리 = 224
가. 구성 행위 강조의 원리 = 224
나. 개별성의 원리 = 227
다. 사고력 강조의 원리 = 228
라. 회귀성 강조의 원리 = 229
마. 전략 중심의 교육 = 231
바. 상황성의 원리 = 236
사. 의미 중심의 원리 = 238
아. 상위인지 강조의 원리 = 239
2. 지도 방법과 관련된 원리 = 240
가. 방법 교수의 원리 = 240
나. 방법 중심의 원리 = 242
다. 협의의 원리 = 243
라. 목표 중심의 원리 = 249
마. 통합 지도의 원리 = 250
바. 활동 중심의 원리 = 256
사. 습관의 원리 = 257
아. 나눔의 원리 = 258
제10장 과정별 쓰기 지도 방법 = 259
1. 쓰기 과정 구분의 방식 = 260
가. 기존 논의의 검토 = 260
나. 과정 구분의 방식 = 263
2. 계획하기 지도 = 266
가. 계획하기 지도의 원리 = 266
나. 계획하기 지도 방법 = 268
3. 내용 생성하기 지도 = 276
가. 내용 생성하기 지도의 원리 = 276
나. 내용 생성하기 지도 방법 = 277
4. 내용 조직하기 지도 = 285
가. 내용 조직하기 지도의 원리 = 285
나. 내용 조직하기 지도 방법 = 287
5. 표현하기 지도 = 305
가. 표현하기 지도의 원리 = 305
나. 표현하기 지도 방법 = 307
6. 수정하기 지도 = 315
가. 수정하기 지도의 원리 = 315
나. 수정하기 지도 방법 = 322
7. 조정하기 지도 = 328
가. 조정하기 지도의 원리 = 328
나. 조정하기 지도 방법 = 335
제11장 쓰기 평가의 원리와 방법 = 343
1. 쓰기 평가의 동향 = 344
2. 쓰기 평가의 원리와 방법 = 347
가. 쓰기 평가의 원리 = 347
나. 쓰기 평가의 방법 = 353
3.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개념 = 363
가. 과정 평가의 뜻 = 363
나.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개념 = 365
4.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와 제한점 = 371
가.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의의 = 371
나.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제한점 = 373
5. 과정 중심 쓰기 평가 방법 = 375
가. 사고 구술법(think-aloud method) = 375
나. 과정상 자기 기록법(on-line self recode method) = 376
다. 과정상 질문법(on-line question method) = 377
라. 자기 회상법(self recall method) = 378
마. 오필(誤筆) 분석법(writing miscue analysis) = 379
바. 글 분석 추론법 = 379
6. 과정 중심 쓰기 평가의 과제 = 380
참고문헌 = 383
부록 : 글쓰기 교육에 관한 연구 논문 목록 = 393
학위 논문 목록 = 393
학술지 논문 목록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