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3
【대주제】
1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서 / 조난심 = 13
Ⅰ. 머리말 = 15
Ⅱ. 우리 나라의 교과서 제도 개관 = 16
Ⅲ. 교과서 정책 방향에 대한 검토 = 23
1. 다양한 교과서의 개발 = 23
2. 질 좋은 교과서의 개발 = 25
Ⅳ.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 = 30
1. 교과서 개발의 방향 = 30
2. 수준별 교과의 교과서 개발 방향 = 36
3. 통합 교과의 교과서 개발 방향 = 38
Ⅴ. 향후 과제 = 38
【국어과】
2 국어과 교과서의 변천 / 이상태 = 43
Ⅰ. 들머리 = 45
Ⅱ. 교과서의 유형 = 46
Ⅲ. 교과서 구성의 요건 = 47
Ⅳ. '국어' 교과서의 변천 = 51
1. 전체 흐름 = 51
2. 편수관 편찬 시기 = 53
3. 교육개발원 편찬 시기 = 54
4. 공모 시기 = 57
Ⅴ. 텍스트 이해의 수준 = 58
Ⅵ. 마무리 = 59
3 국어과 교과서와 학습 지도 / 김수업 = 63
Ⅰ. 들머리 = 65
Ⅱ. 제7차 교육과정 = 66
1. 전체 교육과정에서 노리는 것 = 66
2. 국어 교과에서 노리는 것 = 69
Ⅲ. 국어 교과서 = 72
1. 교과서의 갈래 = 73
2. 교과서의 짜임 = 75
3. 교과서의 속살 = 75
4. 교과서의 관리 = 77
Ⅳ. 교육 방법 = 79
1. 『국어』의 학습 활동 물음들 = 79
2. 『우리말 우리글』의 학습 활동 물음들 = 81
3.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 83
Ⅴ. 바람직한 국어 교육으로 가는 길 = 83
1. 교과서 쪽에서 = 83
2. 교육 방법 쪽에서 = 85
Ⅵ. 마무리 = 85
4 국어과 교과서와 교재 / 김주환 = 87
Ⅰ. 획일적 통제체제와 닫힌 교과서 = 89
Ⅱ. 학문권력과 교과서 = 91
Ⅲ. 교사와 교과서 = 94
Ⅳ. 열린 교과서, 『우리말 우리글』 = 95
1. 『우리말 우리글』 개발 방향 = 95
2. 『우리말 우리글』 개발의 의미 = 101
【지리과】
5 중학교 사회과 부도의 주제도 분석 및 개선 방안 / 손일 = 103
Ⅰ. 서론 = 105
Ⅱ.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 106
Ⅲ. 분석 = 107
1. 주제도의 종류와 그 비중 = 107
2. 단계구분도 = 109
Ⅳ. 요약 및 대안 = 120
6 중학교 지리 학습의 수준별 지도 방안 / 박미영 = 123
Ⅰ. 서론 = 125
1. 연구 목적 = 125
2. 연구 방법 = 126
Ⅱ. "남부지방의 생활"의 수준별 수업 = 128
1. 수준별 수업 과정 = 128
2. 수준별 수업의 학습 효과 = 130
3. 수준별 수업시 문제점 = 131
Ⅲ. 수준별 수업 결과 분석 = 133
1. 학업성취도 평가 = 133
2. 설문지 내용 분석 = 135
Ⅳ. 결론 = 139
7 중학교 지리 학습을 위한 인터넷 활용 / 서경련 = 147
Ⅰ. 서론 = 149
1. 필요성 = 149
2. 연구의 방향 = 149
Ⅱ. 인터넷 활용 학습의 이론적 배경 = 150
1. 인터넷 활용 학습의 배경 = 150
2. 인터넷 활용 학습의 특징과 필요성 = 151
3. 인터넷 활용 교수-학습 모형 = 152
4. 교수-학습에서 인터넷 활용 방법 = 154
Ⅲ. 인터넷 활용 학습의 실제 = 156
1. 학습자 집단의 컴퓨터 활용 능력 = 156
2. 학습 계획 = 157
3. 학습 활동 = 158
Ⅳ. 요약 및 결론 = 163
【수학과】
8 수학 교육과 수학 교과서 / 권영인 = 171
Ⅰ. 서론 = 173
Ⅱ. 수학 교육과 수학 교과서의 관계 = 173
1. 지도 내용의 형식화, 화석화의 경향 = 174
2. 수학자의 수학과 학생의 수학 = 175
3. 수학 교과서의 기능적 한계 = 175
Ⅲ. 기본 이론 = 176
1. 엄밀성의 문제와 수학적 내용의 생존의 문제 = 176
2. 발생적 원리 = 177
Ⅳ. 내용면 = 178
1. 학습 주제와 학습 활동 내용의 선정과 조직 = 178
2. 내용 전개 방법 = 182
Ⅴ. 단원 구성의 원칙 = 183
1. 단원의 구성 = 183
2. 소단원의 내용 전개 = 186
Ⅵ. 외형 체제 = 186
1. 판형과 분량 = 186
2. 활자의 크기 = 187
3. 색도 = 187
4. 편집 = 187
Ⅶ. 요약 및 결론 = 188
9 창의적 교수-학습을 위한 수학 교과서 분석 / 한인기 = 189
Ⅰ. 서론 = 191
Ⅱ. 수학 교과서의 문제해결 기술 방법 분석 = 191
Ⅲ. 창의적 교수-학습을 위한 수학 교과서 내용 분석 = 197
1. 작도 문제 = 197
2. 무게 중심의 증명 = 201
3. 수심의 증명 = 204
4. 각의 이등분선의 성질 = 207
Ⅳ. 결론 = 210
【영어과】
10 영어과 교과서의 변천 / 김정렬 = 213
Ⅰ. 머리말 = 215
Ⅱ. 해방 이전의 우리 나라 영어 교육 = 215
1. 관립학교의 영어 교육 = 216
2. 사립학교의 영어 교육 = 216
3. 초창기의 영어 교수법 = 217
4. 일제 시대의 영어 교육 = 217
Ⅲ.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교재의 변화 = 218
1. 교수 요목기(1946.11∼1955.8) = 218
2. 제1차 교육과정기(1955.8∼1963.2) = 219
3. 제2차 교육과정기(1963.2∼1974.12) = 220
4. 제3차 교육과정기(1974.12∼1981.12) = 221
5. 제4차 교육과정기(1981.12∼1988.3) = 222
6. 제5차 교육과정기(1987.3∼1992.2) = 227
7. 제6차 교육과정기(1992.6∼2002) = 233
8. 제7차 교육과정기(1997∼현재) = 240
Ⅳ. 외국의 영어과 교재 = 244
1. 북한의 고등중학교 영어 교과서 = 244
2. 싱가포르의 초등 영어 교과서 = 247
3. 대만의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 248
4. 일본의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 250
Ⅴ. 맺음말 = 251
11 영어 대안교재 개발가능성 타진 / 이도수 = 259
Ⅰ. 머리말 = 261
1. 대안 교재의 개념 = 261
2. 영어 대안교재 개발의 필요성 = 262
Ⅱ. 구성주의 패러다임에 입각한 영어 대안교재 개발 = 263
1. 구성주의의 개념 = 264
2. 구성주의와 교육 = 265
3.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한 대안 교육교재 = 271
Ⅲ. 맺는 말 = 279
12 영어 교육과 사전 활용 / 정영국 = 281
Ⅰ. 서론 = 283
Ⅱ. 연구의 배경 = 283
Ⅲ. 표현 활동과 사전 사용 = 286
1. 한영사전 = 286
2. BBI(1986/1997) = 290
3. Longman Language Activator(LLA, 1993) = 292
4. The Oxford Thesaurus(Urdang 1991) = 295
Ⅳ. 결론 및 제언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