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9
서문 = 11
감사의 글 = 12
약어 = 13
1. 개관
1.1 개관 = 17
1.2 문법이란 무엇인가? = 17
1.3 습득이란 무엇인가? = 27
1.4 제2 언어 문법 발달에 대한 역사적 고찰 = 29
1.5 책의 구성 = 36
2. 모국어와 제2 언어의 상호관계
2.1 개관 = 45
2.2 대조 분석과 오류 분석에 대한 이론적 답변 = 45
2.3 탐구 문제들 = 48
2.3.1 제2 언어습득의 다른 단계들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 48
2.3.2 제2 언어습득의 다른 단계들의 통사적 특질은 무엇인가? = 54
2.4 모국어 영향 : 전이 = 78
2.5 탐구 문제들 = 83
2.5.1 무엇이 전이가능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 = 83
2.5.2 다른 습득의 단계들에서 모국어 지식은 발전하는 제2 언어지식과 어떤 식으로 상호교류하는가? = 86
2.6 결론 = 89
3. 보편문법
3.1 개관 = 93
3.2 보편문법의 원리와 매개변항 = 94
3.3 탐구 문제들 = 112
3.3.1 보편문법의 원리와 매개변항이 제2 언어에도 작용하는가? = 113
3.3.2 모국어 매개변항 설정과 제2 언어 매개변항 설정간에 어떤 상호작용이 있는가? = 123
3.3.3 제2 언어습득 과정에서 제2 언어 문법의 초기 상태는 무엇인가? = 125
3.3.4 제2 언어습득에서 보편문법의 재설정에 대한 긍정적 그리고/또는 부정적 입력의 효과는 무엇인가? = 129
3.4 결론 = 133
4. 유형적 보편성
4.1 개관 = 141
4.2 언어 보편성에 대한 유형적 접근 = 142
4.3 유형적 보편성과 제2 언어습득 = 146
4.4 제2 언어습득의 탐구 문제들 = 154
4.4.1 유형적 보편성 제약들이 제2 언어습득에서 역할을 하는가? = 155
4.4.2 유형적 유표성은 제2 언어습득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가? = 159
4.4.3 제2 언어습득에서 유형적 보편성에 대한 교육의 효과는 무엇인가? = 165
4.5 결론 = 168
5. 처리 접근법
5.1 처리 이론에 대한 개관 = 173
5.1.1 정보 처리 = 174
5.2 입력 처리 : 입력 처리 모형과 처리 교육 = 179
5.3 탐구 문제들 : 입력 처리 모형과 처리 교육 = 184
5.3.1 교육은 입력 처리와 제2 언어습득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가? = 184
5.4 입력 처리 : 경쟁 모형 = 189
5.5 탐구 문제들 : 경쟁 모형 = 193
5.5.1 어떤 유형의 전략들이 문장 해석에서 사용되는가? = 195
5.5.2 어떻게 제2 언어 학습자들은 문장 해석에서 단서 전략들을 사용하는가? = 201
5.6 발화 처리 : 다차원 모형과 처리 가능성 이론 = 205
5.7 탐구 문제들 : 다차원 모형과 처리 가능성 이론 = 215
5.7.1 발달 단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인지적 처리의 역할은 무엇인가? = 216
5.7.2 자연적인 제2 언어습득 대 교육받는 제2 언어습득에서의 인지적 처리의 역할은 무엇인가? = 219
5.7.3 처리 제한들은 어떻게 모국어 화자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방식과는 다르게 비모국어 화자들에게 영향을 끼치는가? = 221
5.8 결론 = 224
6. 기능 접근법
6.1 개관 = 237
6.1.1 기능 문법 = 237
6.1.2 관계 기능주의, 생태 기능주의, 그리고 문법화 = 247
6.2 제2 언어 문법습득에 대한 기능 접근법 = 249
6.3 탐구 문제들 = 252
6.3.1 중간언어에서 나타나는 형태-기능 관계들은 무엇인가? = 252
6.3.2 제2 언어 문법 발달에서 어떤 유형의 원리들이 문법 형태들을 기능으로 사상하는 것을 제한하는가? = 259
6.3.3 모국어 문법화는 어떻게 제2 언어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가? = 274
6.4 결론 = 278
7. 결론 : 제2 언어 문법습득의 통합적 관점
7.1 개관 = 285
7.2 주요한 공헌 = 286
7.2.1 모국어와 제2 언어의 상호관계 = 286
7.2.2 보편문법 = 288
7.2.3 유형적 보편원리들 = 291
7.2.4 처리 접근법 = 293
7.2.5 기능 접근법 = 296
7.2.6 유사성과 차별성 = 298
7.3 명사구의 비교 분석 : 명사, 대명사, 영 대용사, 재귀사 = 300
7.4 암시 = 306
7.4.1 기본 가정들 = 307
7.4.2 의사 결정자로서 교사 = 310
7.5 결론 = 315
참고문헌 = 319
찾아보기 =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