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5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Pinar, William F Reynolds, William M Slattery, Patrick Taubman, Peter M 김복영, 역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 William F. Pinar ...[등저] ; 김복영...[등역].
발행사항
서울 :   원미사 ,   2001.  
형태사항
1275 p. ; 26 cm.
원표제
Understanding curriculum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ISBN
8955440065
일반주기
공저자: William M. Reynolds, Patrick Slattery, Peter M. Taubman  
서지주기
참고문헌(p. 1087-1260)과 색인수록
000 01013camccc200301 k 4500
001 000000769579
005 20100807100140
007 ta
008 020305s2001 ulk 001a kor
020 ▼a 8955440065 ▼g 93370 : ▼c \48000
035 ▼a KRIC08110485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49 1 ▼l 111213614 ▼f 개가 ▼l 111213615 ▼f 개가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1e
245 0 0 ▼a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 ▼d William F. Pinar ...[등저] ; ▼e 김복영...[등역].
246 1 9 ▼a Understanding curriculum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260 ▼a 서울 : ▼b 원미사 , ▼c 2001.
300 ▼a 1275 p. ; ▼c 26 cm.
500 ▼a 공저자: William M. Reynolds, Patrick Slattery, Peter M. Taubman
504 ▼a 참고문헌(p. 1087-1260)과 색인수록
700 1 ▼a Pinar, William F
700 1 ▼a Reynolds, William M
700 1 ▼a Slattery, Patrick
700 1 ▼a Taubman, Peter M
700 1 ▼a 김복영, ▼e▼0 AUTH(211009)13213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1e 등록번호 11121361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3 예약 예약가능(1명 예약중)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1e 등록번호 111213615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2-11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복영(지은이)

미국 University of Connecticut의 Department of Curriculum & Instruction에서 철학박사 학위 취득.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원 역임. 현재 인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창의인재개발학과 교수. 주요 관심 분야는 교육과정이론, 사회과 교육과정, 홀리스틱 교육과정, 문화연구 등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및 감사의 글 = 3
한국어판 서문 = 13
역자 서문 = 15
제1부 서론
 제1장 교육과정 이해 : 서론 = 27
  1. 서론 : 교육과정개발에서 교육과정 이해로 = 27
  2. 개론서 : 장르에 대한 주석 = 36
  3. 교과서 : '중요한 지표' = 42
  4. 교육과정의 개념과 교육과정 전문가 / Philip W. Jackson = 52
   영역의 지도화 = 57
  5. 현대 분야의 지도화 = 73
  6. 연구 = 85
  7. 결론 : 패러다임 전쟁 = 99
제2부 역사적 담론 1828-1979
 제2장 역사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창조와 변용(1828-1927) = 105
  1. 서론 : 역사의 중요성 = 105
  2. 19세기에 등장한 교육과정 분야 : 능력심리학과 고전적 교육과정이론 = 106
  3. Herbart주의자들 = 115
  4. 아동중심을 향하여 = 122
  5. 사회적 효율성을 위해 구성된 과학적 교육과정 = 130
  6. 진보주의 교육운동 = 145
  7. 결론 : 주요한 회고 = 167
 제3장 역사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위기, 변용, 위기(1928-1969) = 171
  1. 서론 : 소란스러운 1920년대와 1930년대 = 171
  2. 8년 연구 = 182
  3. 개론서 = 189
  4. 1940년대 : 중도의 승리 = 193
  5. 1950년대 : 비평, 갈등, 개혁의 10년 = 203
  6. 1960년대 : 확장, 갈등, 그리고 축소 = 213
   학문의 구조 = 213
   교육과정 프로젝트와 보고서 = 216
  7. 1960년대의 교육과정이론 = 223
  8. 결론 : 재개념화의 초기 단계 = 235
 제4장 역사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교육과정 분야의 재개념화(1970-1979년) = 245
  1. 서론 : 대격동과 패러다임 변화의 10년 = 245
  2. 인기 있는 출판물 = 246
  3. 1970년대의 인본주의 = 249
  4. Joseph J. Schwab = 253
  5. 개론서와 그 외의 개발 = 258
   국립교육원 : 교육과정개발특별위원회 = 270
  6. ASCD 내의 긴장 = 271
  7. 교육과정 분야의 재개념화 = 275
   현상학적·정치적·신학적 담론 : Dwayne E. Huebner의 연구 = 277
   초월성과 정치 : James B. Macdonald의 연구 = 279
  8. 여러 학술 회의 = 283
  9. 논쟁 = 298
  10. 결론 : 재개념화된 분야 = 308
제3부 현대의 교육과정 담론 1980-1994
 제5장 정치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313
  1. 서론 : 교육과정은 정치적이다 = 313
  2. 재생산이론 : Apple과 Giroux = 314
  3. 재생산에서 저항으로 : Apple, Giroux, Goodman = 324
  4. 교육학과 실천 : 계급, 인종, 그리고 성의 문제 : Carlson, Freire, Simon, Apple = 333
  5. 비판과 논쟁 = 341
   정치이론은 인간중심적이다 : C. A. Bowers = 346
   정치이론은 반동적이다 : Philip Wexler = 353
   정치이론은 관음증적이다 : Elizabeth Ellsworth = 357
   주체와 저항의 문제 = 359
  6. 정치적 교육과정이론의 담론 전환 : McLaren, Ellsworth, Willinsky, Bowers = 361
  7. 페미니즘, 기호학, 포스트구조주의, 그리고 = 373
   교육과정의 헌법 : James A. Whitson = 377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지식 : 담론 형성으로서의 사회적 실천 = 384
  8. 결론 : 정치적 측면은 분열되고 사라지는가? = 396
 제6장 인종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399
  1. 서론 : 인종이론은 자율적이다 = 399
  2. 흑인교육과정의 정향 : William H. Watkins = 404
  3. 다문화주의 : Cameron McCarthy = 409
  4. 정체성과 억압 : Castenell과 Pinar = 413
  5. 제도적 실제의 문제 : Troyna ; Hatcher ; Sleeter = 418
  6. 인종적 재현 : Taubman, Edgerton, Whatley, P. Collins, Luttrell = 423
  7. 교육과정정치학 : Young, Edelin, Gordon = 437
  8. 결론 : 인종의 의의 = 450
 제7장 성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453
  1. 서론 : 성의 일반적인 시스템 = 453
  2. 역사적 배경 = 455
  3. 가장 대중적인 혁명 = 459
   개혁주의자의 입장 = 461
   급진적 분석 = 462
  4. 페미니즘, 성 분석, 그리고 재개념화 = 467
   1970년대 후반 = 468
  5. 개념, 부정, 애착 : Madeleine R. Grumet의 연구 = 474
  6. 공간의 창출과 목소리의 발견 : Janet L. Miller의 연구 = 480
  7. 가부장적인 황무지 속에서의 교수 : Jo Anne Pagano의 연구 = 484
  8. 페미니스트 교육학 그리고 정치학 : 개관 = 487
  9. 성 분석과 남성의 정체성 = 499
   동성애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 James T. Sears의 연구 = 499
   친페미니스트적 남성들 : Jesse Goodman의 연구 = 502
   그 외의 성에 관한 분석 = 504
  10. 결론 : 소외와 영향 = 506
 제8장 현상학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509
  1. 서론 : 시적인 활동 = 509
  2. 사회과학의 주류에 대한 비판 : Aoki, Grumet, Jardine = 517
   currere의 현상학적 기초 = 520
  3. 교육과정의 언어 : Huebner와 Smith = 524
  4. 해석학 : Smith, Atkins, Reynolds, Martel, Peterat = 531
  5. 교수 : Aoki와 van Manen = 537
  6. 읽기와 쓰기 : Grumet, Hunsberger, van Manen = 545
  7. 비밀 장소 : Langeveld와 Smith = 552
  8. 일시성 : Huebner와 Lippitz = 556
  9. 결론 : 포스트구조주의로의 담론 전환? = 560
 제9장 포스트구조주의·해체·포스트모던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565
  1. 서론 : 언어, 권력, 욕망 = 565
  2. 포스트구조주의 = 567
  3. 해체 = 583
  4. 포스트모더니즘 = 587
  5. 포스트구조주의와 교육과정이론 = 596
   욕망과 정체성 : Peter Taubman = 596
   자살과 살인 사이 : Jacques Daignault = 601
   전통적 교육과정이론에 대한 포스트구조주의적 비판 : Cleo Cherryholmes = 609
   몸에 관한 본원적 글쓰기 : jan jagodzinski = 614
   언어 문제의 우위 : Clermont Gauthier = 616
   도교와의 관련 : Wen-Song Hwu = 617
   그 외의 현대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포스트구조주의의 영향 = 619
  6.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과정이론 : William E. Doll, Jr의 연구 = 624
  7. 포스트모더니즘, 페미니즘이론, 정치학 : Lather, Giroux, Kincheloe, Steinberg, McLaren = 631
   탈형식적 사고 : Joe L. Kincheloe와 Shirley R. Steinberg = 638
   Peter McLaren의 포스트모던적 비판이론 = 640
  8. 결론 : 포스트 포스트모더니즘? = 644
 제10장 자서전적/전기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647
  1. 서론 : 학문 경향의 세 흐름 = 647
  2. 자서전이론과 교실의 실제 = 650
   Currere = 650
   목소리 = 660
   장소 : Joe L. Kincheloe와 William F. Pinar = 670
   담론적 형태로서의 자아 : 포스트구조주의와 자서전 = 647
   꿈, 신화, 상상력 : Mary Aswell Doll = 681
  3. 페미니즘적 자서전이론 = 687
   중간 통로 : Grumet와 Miller = 692
   자아에 대한 자서전적 교화 : Grumet와 Reiniger = 695
  4. 교사들의 삶에 대한 연구 = 698
   협동적 자서전 : Richard Butt와 Danielle Raymond = 699
   개인적·실천적 지식 : F. Michael Connelly와 D. Jean Clandinin = 703
   교사의 지식 : William Schubert와 William Ayers = 708
   전기연구 : Ivor F. Goodson = 711
  5. 결론 : 학문들로부터 정리되지 않음 = 712
 제11장 심미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717
  1. 서론 : 찬미가 부르지 않기 = 717
  2. 예술의 중요성 : Broudy, Beyer, Hamblen = 719
  3. 심미적 앎과 탐구 : Rosario, Vallance, Barone = 721
  4. 20세기의 예술과 교육과정이론 : Ronald E. Padgham = 728
  5. 예술과 사회 : Landon E. Beyer = 731
  6. 교육과정과 교수의 기예 : Eisner, Vallance, Figgins = 734
  7. 연극으로서의 교육과정 : Grumet, Figgins, Norris, Steinberg = 744
   Currere의 형태/배경 : 1976년의 Rochester 대학 연극제 = 748
   교화 = 758
   집단적 창조 = 760
  8. 정신, 몸, 그리고 근대성 : jagodzinski, Hamblen, Sawada, Blumenfeld-Jones = 761
  9. 결론 : 상상력과 경이 = 764
 제12장 신학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767
  1. 서론 : 역사적 배경 = 767
  2. 당면 문제들 = 774
  3. 도덕적·윤리적 차원 : Huebner, Purpel, Oliver, Gershman = 794
  4. 해석학 = 808
  5. 해방신학 : Kincheloe와 Slattery = 815
  6. 종말론, 우주론, 페미니스트신학 : Slattery, Mitrano, Noddings = 826
  7. 결론 : 이상과 실제 사이에서 = 835
 제13장 제도화된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839
  제1절 교육과정개발 = 843
   1. 교육과정정책 : Elmore, Sykes, McNeil, Page, Shulman = 844
   2. 학교 개혁 : Sizer와 Cheney = 850
    분권화 : Hans Weiler와 David Tyack = 855
    재구조화된 학교의 교육과정 : D. Tanner, McNeil, Cuban, Kirst, Meister, Weiler = 859
   3. 교육과정계획, 설계, 조직 : Saylor, Alexander, Lewis, Egan, Noddings = 865
    현장에서의 변화 : Kieran Egan = 871
    보살핌 : Nel Noddings = 876
    중핵교육과정 : Goodlad와 Su = 880
   4. 교육과정실행 : Snyder, Bolin, Zumwalt, Fullan = 882
    주요한 세 가지 접근법 = 882
   5. 공학 : Saettler, Bereiter, Scardamalia, Bowers = 889
    시각수업 = 890
    프로그램수업 = 895
    공학교육 = 903
   6. 장학 : Sergiovanni, Smyth, Garman, Haggerson = 906
   7. 교육과정평가 : Scriven, Stake, Eisner = 920
    양적 방법 대 질적 방법 = 925
    학문적 기초 = 926
    교육과정 평가자로서의 예술가 : Eisner = 928
    결론 = 933
  제2절 교육과정과 교사 = 934
   8. 교수법 : Doyle, Shulman, Jackson, Cuban = 935
   9. 직전 교사교육 : Holmes 그룹 = 947
   10. 현직교사교육 : Aoki, Hargreaves, Fullan, Jackson = 956
    교사의 지식 : Schubert와 Ayers = 959
    교사의 삶에 관한 연구 : Goodson = 963
    교사의 사고와 개발 : Kincheloe, Smyth, Britzman, Carlson = 965
    비판적 사고 운동 : Ennis와 L. Tanner = 967
   11. 교과서 : Venezky, Elson, Doyle = 972
  제3절 교육과정과 학생 = 978
   12. 학교 급식 : Frederick Erickson과 Jeffrey Shultz = 979
   13. 대단한 사람되기 : Philip Wexler와 Nency Lesko = 984
   14. 과외활동 : Laura Berk = 988
   15. 결론 = 990
 제14장 국제적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993
  1. 서론 : 정치학과 연구 = 993
  2. 교육의 결과 = 998
  3. 세계화교육 = 1002
  4. 일본 = 1008
  5. 독일 = 1015
  6. 중국 = 1020
  7. 아프리카 = 1025
  8. 라틴 아메리카 = 1034
  9. 선별된 현재의 담론들 : Carson, Willinsky, Gutek, Thelin = 1040
  10. 결론 : 지구의 생존을 위한 교육 = 1053
제4부 결론 : 후기
 제15장 교육과정 이해 : 다음 세대를 위한 후기 = 1059
  1. 서론 = 1059
  2. 오늘날의 교육과정 분야 : 문제와 가능성 = 1061
  3. 교육과정 분야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1070
  4. 결론 = 1079
  5. 서언 = 1084
참고문헌 = 1087
찾아보기 = 1261
역자소개 = 127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