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84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00769470 | |
005 | 20100807100009 | |
007 | ta | |
008 | 020524s2001 ulka 000a kor | |
020 | ▼a 8995191880 ▼g 00330 : ▼c 6500.00 | |
035 | ▼a KRIC08168057 | |
040 | ▼a 211009 ▼c 211009 | |
041 | 1 | ▼a kor ▼h jpn |
049 | 1 | ▼l 111212984 ▼f 개가 ▼l 111212985 ▼f 개가 |
082 | 0 4 | ▼a 618.9289 ▼2 21 |
090 | ▼a 618.9289 ▼b 2001c | |
100 | 1 | ▼a 片岡直樹 , ▼d 1942- |
245 | 1 0 | ▼a 텔레비전이 자폐아를 만든다 : / ▼d 가타오카 나오키 지음 ; ▼e 김민영 옮김. |
246 | 0 3 | ▼a '비디오 증후군'과 '유사 자폐증'에 대한 진단과 처방 |
260 | ▼a 서울 : ▼b 컬처클럽 , ▼c 2001. | |
300 | ▼a 206 p. : ▼b 삽도 ; ▼c 19 cm. | |
500 | ▼a 김정수 監修. | |
700 | 1 | ▼a 김민영, ▼e 옮김 |
900 | 1 0 | ▼a 가타오카,나오키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18.9289 2001c | Accession No. 11121298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가타오카 나오키(지은이)
1942년 태어났으며, 1967년 오카야마 대학 의학부를 졸업하였다. 오키야마 대학 의학부 소아과 조수, 가와사키 의과대학 소아과 강사를 지냈다. 2002년 현재 가와사키 의과대학 소아과 교수이며, 일본 소아과학회 평의원, 일본 소아보건학회 평의원, 일본 미숙아신생아학회 평의원이다.
김정수(옮긴이)
정신과 전문의, 의학박사, 가톨릭 대학교 정신과 외래교수 1990년 가톨릭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수련 후 1995년 정신과 전문의가 되었다.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하였고 전역 후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과 대전성모병원에서 임상강사와 전임강사로 연구와 진료를 했다. 현재 서울 삼성동 성모정신과의원의 공동원장과 SM스트레스통증 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정신분석psychoanalysis, 분석심리학analytic psychology 그리고 신경과학neuroscience,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을 임상에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진료를 하고 있다. 주 진료 분야는 우울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강박증, 불면증 등 감정 관련 질환이며, 각종 성격 문제, 대인관계 문제, 내적 정체성 문제, 인격 성장에 대한 심층상담을 하고 있다. 또한 청소년들의 기분장애, 정체성 문제, 주의력 문제에 대한 치료도 함께 하고 있다. 여러 신문과 잡지에 정신건강에 대한 다양한 칼럼들을 기고한 바 있다. 십여 편의 논문과 『그녀들은 왜 정신과 의사를 찾아간 걸까』, 『일곱 색깔 정거장』, 『나도 가끔은 내가 누군지 궁금하다』, 『나는 내 마음과 만나기로 했다』, 『몸에 밴 어린 시절의 심리세계탐구』 등의 저서와 공동 번역서로 『마음의 발달』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텔레비전이 아이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저해한다 = 5 추천 및 감수의 글 - 행복은 좋은 인간 관계에서 출발합니다 = 11 제1장 텔레비전이 아이를 돌보고 있다면 새로운 유형의 언어 지체 = 25 '말도 하지 않고, 돌아보지도 않으며, 가리키지도 않는' 아이들 = 29 아이에게 텔레비전은 일방적인 자극에 불과하다 = 38 환경이 만들어 낸 자폐적 상태의 아이가 늘고 있다 = 42 일찍부터 텔레비전을 본 아이일수록 언어 지체가 심각하다 = 45 부모와 아이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지 않으면…… = 50 텔레비전을 끈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 55 장시간 텔레비전을 보는 아이들의 공통점 = 58 환경을 바꿈으로써 아이가 회복된다 = 61 제2장 언어 지체를 방치해 두면 어떻게 될까? 아이들이 안고 있는 모든 문제 뒤에 텔레비전이 있다? = 69 인간은 어떻게 말을 배워 가는가 = 72 자폐증이란 = 80 새로운 유형의 언어 지체와 자폐증은 비슷하지만…… = 87 왜 유사 자폐증을 가진 아동들이 늘어나는 것일까? = 93 텔레비전이 육아 부담을 덜어 준다 = 97 주의력 결핍·과잉 운동 장애(ADHD) = 99 ADHD와 텔레비전의 관계 = 104 학습 장애(LD)와 텔레비전의 관계 = 108 '새로운 유형의 언어 지체'를 발견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112 제3장 텔레비전·비디오를 보면 왜 안 될까? 텔레비전의 폐해에 눈뜬 부모들 = 117 텔레비전을 보아도 정서나 감정이 풍부해지지는 않는다 = 139 영유아기에는 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하다 = 143 부모로부터의 말걸기가 아이의 반응으로서 되돌아온다 = 147 화면에 못박혀 있는 것은 집중력이 아니다 = 151 감정이 없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아이들 = 156 기계를 상대로 해서는 의사 커뮤니케이션밖에 되지 않는다 = 162 몸과 마음을 토대로 지성이 생겨난다 = 166 '아이답게' 놀게 하자 = 170 제4장 텔레비전을 끄자 텔레비전 의존증을 고치려면 = 175 '텔레비전 추방'은 그렇게 어렵지 않다 = 179 텔레비전을 보고 있는 시간 동안 아이가 희생하고 있는 것 = 184 '새로운 유형의 언어 지체'를 예방하기 위한 15개의 조건 = 188 책 말미에 - 부모가 아이에게 해 줄 수 있는 것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