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서론
제1장 교육과정 탐구의 시각 = 15
1. 교육적 시각 = 15
2. 교육학의 시각 ; 대중 교육학과 전문 교육학 = 22
참고문헌 = 24
제Ⅱ부 교육과정 탐구의 현재
제2장 교육과정 연구자의 경향성 = 27
1. 전통주의자 = 27
2. 개념적 경험주의자 = 28
3. 재개념주의자 = 29
4. 포스트모더니스트 = 31
제Ⅲ부 한국 교육과정 탐구의 범위
제3장 한국의 학교 교육과정 ; 문제와 대책 = 35
1. 연구의 의도 = 35
2. 연구 방법 = 36
3. 한국 학교 교육과정의 주요한 문제 = 38
4. 문제별 원인과 대책 = 52
5. 제언 : 한국 학교 교육과정 문제의 종합적 해결을 위한 정책건의 = 68
참고문헌 = 74
제4장 한국의 주요한 교육과정 문제에 대한 교육전문가·정책입안자·교육자·학부모의 대응책 = 77
1. 연구 문제 = 77
2. 선행 연구 개관 = 78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주요한 쟁점들 = 82
4. 연구 방법 = 83
5. 연구 결과 및 해석 = 86
6. 결론, 논의 및 시사점 = 97
참고문헌 = 102
제Ⅳ부 한국 교육과정 탐구의 맥락
제5장 한말 개화기의 교육내용과 방법 = 105
1. 서론 = 105
2. 교육 내용과 방법 : 변화의 추이와 배경 = 107
3. 결론 및 논의 = 121
참고문헌 = 127
제6장 일제 식민지기 학교 교육과정의 전개 = 129
1. 연구 문제 = 129
2. 공식적 학교 교육과정 = 132
3. 비공식적 교육과정 = 146
4. 결론 및 시사점 = 152
참고문헌 = 155
제7장 광복후 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 157
1. 문제 = 157
2. 공식적 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 158
3. 현장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 교과서, 수업 = 171
4. 교육과정 변천의 배경 = 178
5. 결론 : 교육과정 변천의 평가 및 시사점 = 182
참고문헌 = 186
제8장 교육과정의 정치학 = 189
1. 문제 의식 = 189
2. 교육과정 정치학의 관점 = 190
3.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맥락 = 194
4. 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한 과제 = 207
참고문헌 = 212
제9장 한국의 사회구조와 학교 교육내용 : 연구들의 검토 = 213
1. 문제 = 213
2. 검토의 범위 및 방법 = 215
3. 학교 교육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 = 215
4. 사회성을 반영하는 학교 교육내용 = 222
5. 사회구조와 학교 교육내용 = 229
6. 시사점 : 연구들의 의의, 문제점, 과제 = 231
참고문헌 = 233
제Ⅴ부 한국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
제10장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 237
1. 문제 = 237
2.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개념과 원리 = 238
3. 제7차 교육과정 = 244
4. 과제 = 253
참고문헌 = 255
제11장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 모형 = 257
1. 서론 = 257
2. 수준별 교육과정 = 259
3.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 262
4. 한국형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 모형 = 265
참고문헌 = 272
제12장 열린 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 = 273
1. 열린 교육 = 273
2. 수준별 교육과정 = 275
3. 열린 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 = 278
4. 열린 교육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과제 = 280
참고문헌 = 283
제13장 통일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설계 = 285
1. 정책적 과제 = 286
2. 교육과정 설계의 지침 = 288
3. 통일에 대비한 교육과정의 설계안 = 293
참고문헌 = 298
제14장 교육과정 운영 = 299
1. 서론 = 299
2. 교육과정 운영의 개념, 관련 연구 결과 = 301
3. 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02
4. 교육과정의 운영 모형 = 306
5. 교육과정 운영의 한국적 맥락 = 309
6. 결론 : 과제와 개선 방향 = 317
참고문헌 = 320
제15장 현장 교사의 수업모형 ; 수업에 대한 교사의 사고 경향 = 323
1. 연구 문제 = 323
2. 선행 연구 고찰 = 324
3. 연구 방법 = 331
4. 자료 처리 = 336
5. 연구 결과 및 해석 = 337
6. 결론, 논의 및 시사점 = 345
참고문헌 = 349
제16장 교육과정과 교과서 및 교수·학습 자료 ; 시각, 현황, 과제 = 351
1. 서론 = 351
2. 시각 ; 교육과정과 교과서, 교과서의 사용 = 352
3. 맥락 = 358
4. 교육과정의 적절한 운영을 위한 교과서, 교수·학습 자료의 과제 = 361
참고문헌 = 364
제Ⅵ부 결론 ; 한국 학교 교육과정 탐구의 현재 그리고 미래
제17장 한국 학교 교육과정 탐구의 평가와 과제 = 369
1. 탐구의 시각 및 범위 = 369
2. 탐구의 맥락 = 371
3. 교육과정 개발 = 372
4. 교육과정 운영 = 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