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78n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00769458 | |
005 | 20141007180240 | |
007 | ta | |
008 | 020429s2001 ulk b 000c kor | |
020 | ▼a 8978785670 ▼g 93370 | |
020 | ▼a 8955561210 | |
035 | ▼a KRIC08121866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72.4 ▼2 23 |
085 | ▼a 372.4 ▼2 DDCK | |
090 | ▼a 372.4 ▼b 2001 | |
100 | 1 | ▼a 이경화 ▼0 AUTH(211009)129749 |
245 | 1 0 | ▼a 읽기교육의 원리와 방법 / ▼d 이경화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이정, ▼c 2001 | |
300 | ▼a 469 p. ; ▼c 23 cm | |
500 | ▼a 부록: 말뭉치 구성 텍스트 목록 | |
504 | ▼a 참고문헌: p. 177-185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4 2001 | Accession No. 1112135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97.84071 2001 | Accession No. 1112135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2.4 2001 | Accession No. 1511125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4 2001 | Accession No. 11121359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97.84071 2001 | Accession No. 11121359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2.4 2001 | Accession No. 15111253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균형잡힌 읽기 지도를 강조한다. 읽기 지도 내용과 방법에서 기능과 흥미, 인지와 정서, 발음 중심 교육과 총체적 언어교육, 정보 읽기와 문학 읽기, 설명적인 글과 문학 작품, 현시적 지도와 독립적인 참여 등 균형있는 설계와 지도를 위한 지침서로 씌어졌다.
학생들이 스스로 독서 능력을 갖추고, 그 능력을 바탕 삼아 평생 독자로 성장해 갈 수 있도록 한다는 읽기 교육의 목표를 바탕으로 적합한 읽기 교육의 방법을 제시한 책. 읽기의 필요성과 읽기의 본질, 읽기의 이해 과정을 중심으로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발달 단계에 따른 읽기 지도 방법, 구체적인 독서 프로그램 등을 소개했다. 아울러 독서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들도 함께 실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제1부 읽기 이론과 읽기 교육 제1장 읽기의 개념과 이해 과정 = 21 1. 읽기의 개념 = 21 가. 읽기와 독서 = 21 나. 독해와 독서 = 23 2. 읽기의 역할 = 24 3. 읽기 과정의 이해 = 28 4. 읽기 과정 모형 = 29 가. 상향식 과정의 읽기 모형 = 31 나. 하향식 과정의 읽기 모형 = 35 다. 상호작용 과정의 읽기 모형 = 38 제2장 글 구조와 읽기 교육 = 41 1. 텍스트 유형 = 41 가. 텍스트의 유형 분류 기준 = 41 나. 텍스트의 유형 분류 = 44 2. 설명적인 글 구조와 읽기 = 52 가. 설명적인 글 구조 분석 방법 = 52 나. 설명적인 글의 상위 구조 = 56 다. 상위 구조간의 구성력 정도 = 63 라. 설명적 글 구조 파악 전략 = 68 3. 이야기 글 구조와 읽기 = 72 가. 이야기 글 구조 분석 방법 = 72 나. 이야기 문법 구조 = 73 다. 이야기의 개념 = 78 라. 인과 연결망 이론 = 88 마. 이야기 구조 파악 전략 = 91 제3장 스키마 이론과 읽기 교육 = 94 1. 스키마의 개념과 기능 = 94 가. 스키마의 개념 = 94 나. 스키마의 기능 = 95 2. 스키마의 유형 = 102 3. 내용 스키마와 형식 스키마의 상호작용 = 105 가. 독자의 스키마 활성화 정도 = 106 나. 중요 정보 선택 과제 = 109 다. 스키마 사용 진술 과제 = 110 4. 배경지식 활성화 전략 = 114 5. 스키마 평가 방법 = 120 제4장 읽기의 맥락과 읽기 교육 = 124 1. 읽기 목적 = 125 2. 사회문화적 맥락 = 127 3. 상황 맥락 = 128 4. 상호텍스트성 = 131 제2부 읽기 능력 발달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제5장 읽기 능력 발달 단계와 읽기 교육 = 139 1. 읽기 능력 발달 단계 = 139 가. Chall의 발달 단계 모형 = 140 나. 천경록의 읽기 발달 단계 = 145 2. 독서 흥미 발달 단계 = 149 3. 읽기 부진의 특징과 원인 = 153 가. 읽기 부진의 개념과 특성 = 154 나. 읽기 부진의 원인 = 156 다. 읽기 부진아의 분류 = 161 제6장 초기 독서 단계의 읽기 교육 = 164 1. 초기 독서 단계의 읽기 과정 = 164 2. 초기 문자 지도 방법 = 166 가. 발음 중심 지도 방법 = 167 나. 의미 중심 지도 방법 = 169 3. 초기 문자 지도 변천 과정 = 172 4. 초기 독서 단계의 읽기 지도 내용 = 174 5. 읽기 과정 지시자로서의 오독(miscue) = 176 제7장 독서 교육 프로그램 = 185 1. 발달적 독서 프로그램 = 185 가. 쓰기 중심 독서 활동 = 187 나. 그리기 및 만들기 중심 활동 = 197 다. 연극 중심 독서 활동 = 202 2. 교정 독서 프로그램 = 205 3. 치료 독서 프로그램 = 213 4. 임상 독서 프로그램 = 213 제3부 읽기 지도 내용과 어휘지도 제8장 읽기 지도 내용 구성 = 216 1. 읽기 지도 내용 = 216 2. 읽기 전략의 유형 = 221 3. 읽기 전략의 지도 내용 = 224 가. 질문하기 = 224 나. 훑어보기 = 230 다. 건너뛰며 읽기 = 231 라. 추론하기 = 231 마. 중심 생각 찾기 = 238 바. 요약하기 전략 = 239 사. 초인지 = 241 아. 독서 동기 유발하기 = 247 4. 읽기 과정별 읽기 전략 = 255 제9장 어휘와 읽기 교육 = 258 1. 어휘력과 읽기 능력 = 258 2. 어휘 지도 이론 = 259 3. 어휘 지도 원리 = 260 4. 어휘 지도 방법 = 262 가. 사전적인 뜻 익히기 = 263 나. 문맥을 통한 뜻 익히기 = 264 다. 의미지도 그리기 = 266 라. 의미 구조도 그리기 = 267 제4부 읽기 지도 방법과 평가 제10장 문학작품 읽기 지도 방법 = 273 1. 텍스트 읽기의 개념 = 273 2. 텍스트 해석의 불확정성 = 275 3. 독자 반응 이론 = 277 4. 읽기의 두 가지 방향 = 280 가. 반응 중심 이론과 학습 독자 = 280 나. 심미적 읽기와 원심적 읽기 = 282 5. 문학 작품에 대한 반응 = 287 가. 반응의 유형 = 287 나. 반응의 범주 및 분류 체제 = 289 다. 문학 반응의 발달적 특성 = 293 6. 심미적 읽기 지도 방법 = 296 가. 심미적 읽기 지도의 원리 = 296 나. 심미적 읽기 수업 모형 = 298 다. 문학 작품 보고서 쓰기 = 299 제11장 전략 중심의 읽기 교수 학습 방법 = 304 1. 전략 중심 읽기 수업 모형 = 304 2. 직접 교수법 = 305 3. 현시적 교수법 = 309 4. 상보적 교수법 = 311 5. 전략 중심의 읽기 수업 모형의 의의와 한계점 = 315 제12장 협동학습 방법 = 318 1. 지식의 사회적 구성 = 318 2. 협동학습의 특징과 의의 = 320 3. 협동학습의 기본 요소 = 322 4. 협동학습의 유형 = 326 가. 팀 성취도 배분 학습 = 326 나. 토너먼트 게임식 팀학습 = 331 다. 직소 모형 = 333 라. 함께 학습하기 모형 = 337 마. 집단 탐구 모형 = 338 바. 읽기 쓰기 통합 모형 = 340 사. 독서 클럽 = 342 5. 협동학습을 위한 읽기 활동 = 345 제13장 독서토의 수업 모형 = 349 1. 이야기식 독서토의 = 350 가. 이야기식 독서토의의 과정 = 350 나. 이야기식 독서토의의 독서일지 양식 = 352 2. 통합적 독서토의 = 352 가. 통합적 독서의 토의 과정 = 352 나. 통합적 독서토의의 독서일지 양식 = 354 3. 토의망식 토의 = 355 가. 토의망식 토의 과정 = 355 나. 토의망식 토의의 독서일지 양식 = 358 제14장 읽기 평가의 원리와 방법 = 359 1. 읽기 평가의 원리 = 359 2. 읽기 평가 방법 = 361 가. 선다형 평가 = 361 나. 빈칸 메우기법(cloze test) = 362 다. 중요도 평정법 = 365 라. 오독 분석법(reading miscue analysis) = 367 마. 프로토콜 분석법(protocol analysis) = 370 바. 포토폴리오(간이총평법, 읽기 활동철) = 373 사. 관찰법 = 374 아. 자유 회상법 = 377 제5부 읽기 연구의 발전과 전망 제15장 읽기 연구의 발전 = 381 1. 구조주의와 구성주의 = 381 2. 탈구조주의와 구성주의 = 383 3. 읽기 연구 발전 방향 = 385 제16장 구성주의와 읽기 교육 = 387 1. 읽기 교육의 구성주의 패러다임 = 387 2. 구성주의의 개념과 유형 = 390 가. 인지 구성주의 읽기 관점 = 390 3. 구성주의 읽기 교육 원리 = 399 4. 구성주의 읽기 교수 학습 이론 = 402 가. 인지적 도제 이론 = 402 나. 토의 중심 읽기 수업 모형 = 403 다. 교사의 비계 설정 방안 = 406 제17장 정보화 시대와 읽기 교육 = 409 1. 매체 언어 교육의 필요성 = 409 2. 매체 언어의 수용 형태 = 411 가. 학교교육으로 실행하는 방안 = 411 나. 국어 교육으로 실행하는 방안 = 412 3. 매체 언어를 중심으로 한 국어교육의 개념 = 415 4. 매체 언어의 국어교육적 요소 = 417 5. (읽기와 보기) 영역의 설정 = 424 6. 매체 언어의 교재화 방안 = 427 7.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 = 429 참고문헌 = 435